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챗GPT를 활용하여 시각장애인의 복지서비스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챗GPT의 유용성과 효과성을 탐색하는 데 있었다. 연구방법은 GPT-3.5와 GPT-4가 제공한 시각장애인 복지서비스 관련 응답을 복지공무원, 관련 기관 웹사이트, 공식 문건, 네이버 검색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방대한 자료에서 장애유형별로 선별된 자료를 체계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정보 접근성을 강화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공급자 위주의 분절된 사회복지서비스 정보를 통합 제공하여 사용자의 정보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셋째, 복지공무원의 역할 분담을 통해 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넷째, 디지털 정보 격차 해소를 통한 장애인의 정보 접근성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챗GPT의 효과적인 활용을 통해 디지털 정보 사회에서 시각장애인 복지서비스의 정보 접근성 향상을 제안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챗GPT를 활용한 시각장애인 복지서비스 정보 접근성 탐색 = Exploring the accessibility of welfare service informa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using ChatGPT 김지혜 p. 126-152

장애인복지관 시민옹호 활동에 참여한 장애인 피옹호인의 경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disabled people who participated in citizen advocacy at the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채경미, 이동석 p. 36-65

정신장애인의 음악창조 경험 연구 = Exploring the music creation experiences of individuals with mental disorders : a focus on composition majors : 작곡전공자를 중심으로 채민 p. 93-125

농촌지역 성인 발달장애인의 복지서비스 개선방안 = A qualitative study on improvement of welfare service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rural areas : focusing on the case of Chungcheongnam-do Province : 충청남도 5개 시·군 사례를 중심으로 황신영 p. 1-35

학령기 발달장애인의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이용이 어머니의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ocial care service on labor supply of mothers car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장미희, 최영 p. 153-178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제공기관의 특성이 서비스 품질 평가결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The effect of characteristics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 providers for the disabled on service quality evaluation results 조윤화, 한기명, 김동기, 박시은 p. 66-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