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전통 민속 연희에는 여전히 장애인을 모방한 등장인물과 이른바 ‘병신춤’이 남아있다. 채희완은 이를 ‘춤출 수 없는 사람들을 대신해서 추는 춤’ ‘춤출 수 없는 몸을 거두어 춤을 추어 몸의 굴레를 벗어난 육체 해방을 꿈꾸는 춤’이라고 해석한다. 이에 대한 비판적 논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장애인 당사자성이다. 전통 민속 연희에서는 장애인을 통해 기득권층을 풍자하고 장애인 역시 타자로 설정한다. 타자화는 ‘대리치유’로 드러난다. Titchkosky는 서구 맥락에서 ‘인간됨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장애화 된 몸’을 관찰하면서 장애가 ‘어떤 가능성도 존재하지 않는 한계점’으로 간주한다고 주장한다. 장애화 한 몸은 변화를 기다리는 상태이고 다른 사람들에게 변화의 기회를 제공한다고 여긴다. 대리인은 장애인의 욕구를 대변하기보다 강제적 정상성의 시스템을 강화하고 치유를 위해 노력해야 하는 책임을 스스로 부여하며, 이와 동시에 장애인을 이러한 노력의 보상을 받게 되는 수동적 대상으로 만든다. 전통 민속 연희가 장애를 다루는 시선에서 대리 치유 논리를 발견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전통 민속연희가 장애인을 다루는 기존 관점을 동질화가 빠진 타자화, 대리치유 논리로 보고, 장애인 당사자 관점에서 분석하고 비판할 것이다. 결론에서는 전통이라는 명목을 앞세워 장애인에 관한 부정적 시각을 수정하지 않는 전통 민속 연희 계가 장애 서사를 없애고, 예술적으로 전환할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는 주장을 담을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해외 개인예산제도 형성 주도 세력과 이용자 선택권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the forces leading the formation of personal budgets and user choice 이동석 p. 1-31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의 탈가족화 및 재가족화 현상과 대안 탐색 = Exploring the phenomenon of de-familialization and re-familialization of disability support services and alternatives 김광백, 전지혜 p. 33-57

중국 예비특수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차이 =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s inclusive education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China 이아정, 정진자, 범효이 p. 59-84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의 직무요구와 직무가치인식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job demands and perceived job value on job burnout of group home worker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박영숙, 전희정 p. 85-109

타인간의 대화에 대한 비밀녹음의 증거능력 = Admissibility of evidence of secret recordings of conversations between third parties : focusing on exceptional recognition : 예외적 인정을 중심으로 화지원, 김민지 p. 111-130

전통 민속 연희에서 장애인을 다루는 방식에 관한 비판적 분석 = Critical analysis of the way the disabled are treated in traditional folk performances :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isabled and the perspective of cure by proxy : 장애인 당사자 시각과 대리치유(cure by proxy) 관점 이상헌 p. 131-155

장애인 사회서비스 분야 내 복지기술 도입을 위한 개선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for the introduction of welfare technology in the social service sector for the disabled : focusing on the public service project for welfare technology development : 복지기술 개발 공모사업을 중심으로 남미정 p. 157-180

다문화 가족 지원교육을 통한 결혼 이주 농인 여성의 한국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daptation of deaf marriage migrant women to life in Korea through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education 윤인지, 이준우 p. 18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