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고는 『고지키(古事記)』에서 요쿄쿠(謡曲) 『오야시로(大社)』에 이르기까지 고대・중세 문예에 나타난 ‘이즈모(出雲)’를 규명함으로써 이즈모 신앙의 변모 양상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고대 문예에서 이즈모 신앙은 『고지키』 『니혼쇼키(日本書紀)』에 나타난 오쿠니누시(大国主) 신(神)에서 그 원형을 찾아볼 수 있는데 그 역할은 「건국(国造り)」이다. 또한 『후도키(風土記)』에서는 「대신(大神)」이자 농경신이면서 건국신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고지키』중권・스이닌기(垂仁記)의 호무치와케 이야기에서는 지벌의 신으로서의 이즈모 대신의 신위(神威)가 그려져 있다. 또한 이즈모 대사(出雲大社)는 『엔기시키 진메이쵸(延喜式神名帳)』에는 명신 대사(名神大社)에 열거되어 있으며, 『센게분슈(千家文集)』에는 제신(祭神)이 「전국 제일의 영신(霊神)」, 본전(本殿)은 「천하무쌍의 대하(大廈)」로 묘사되어 있다. 그리고 『오기쇼(奥義抄)』에는 10월(神無月)에 각국의 신들이 진좌지를 떠나 이즈모에 모인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가가쿠슈(下学集)』에서도 이즈모는 신들이 모이는 장소로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세 문예 중 이즈모 신앙은 우선 『쓰레즈레구사(徒然草)』에서 살펴볼 수 있는데, 이즈모 대사의 분사(分社)인 단바(丹羽)의 이즈모 신사가 그려져 있다. 여기에서는 쇼카이(聖海) 승려 일행에게 깊은 신심을 일으키는 대상이 되고 있다. 간제야지로 나가토시(観世彌次郎長俊)의 요쿄쿠 『오야시로』에서는 10월에 전국의 신들이 이즈모에 모이기 때문에 이즈모에서는 ‘가미아리즈키(神有月)’, 이즈모 이외의 곳에서는 ‘간나즈키(神無月)’라고 표현하는 것에서 이즈모를 중심으로 한 신앙권의 존재를 짐작할 수 있는데, 이즈모 대사는 38개의 신사가 모시는 곳이라고도 기록되어 있다. 또한, 이즈모 대신이 등장하여 춤추는 장면에서는 용신(龍神)이 등장하여 용신과의 관계를 엿볼 수 있으며, 상자에서 작은 용을 꺼내어 이즈모 대신에게 바치고 있어서 이즈모 대신은 봉납을 바치는 대상으로 그려져 있는데, 이는 이즈모 대신이 영험한 신으로서 신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치리즈카 모노가타리(塵塚物語)』에서는 오쿠니누시 신이 다이코쿠텐(大黒天)으로 새로운 신격(神格)을 가지게 되는 것을 엿볼 수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再生産領域の再構成と再配置 = Reconfiguring and relocating the reproductive realm : thinking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sm and literature : フェミニズムと文学から考える 飯田祐子 p. 1-21
#MeTooの輝きのあとにメディア文化とフェミニズムの不幸な関係を問い直す = After the #MeToo glowing rethinking the unfortunate relationship between media culture and feminism 田中東子 p. 23-34
台湾同性愛文学における『日本』 = "Japan" in Taiwanese homosexual literature : focusing on Qiu Miaojin and Li Kotomi : 邱妙津と李琴峰を中心 張文薫 p. 35-51
2000년대 이후 일본에서 나타난 두 번의 젠더 백래시 = Two gender backlashes in Japan since the 2000s 신기영 p. 53-72
英学資料における外国語表記 = The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s in English materials : focusing on to the use of 'エ(e)' and 'ヱ(we)' : 「エ」と「ヱ」の使用に注目して 姜盛文 p. 73-86
TV 드라마에 나타난 직장 내 일본인 여성의 관계성에 따른 행위요구표현 변화 양상 = How Japanese woman's request expressions get different depending on a occupational hierarchy : based on discourse of TV series 김지원 p. 87-102
시각장애 대학생 학습 평가 연구 = Learning evaluation of visually impaired college students : focusing on the instructor's reasonable accommodation : 교수자의 합리적 배려를 중심으로 신은진 p. 103-120

中国人元留学生社員の日本留学経験の活用と仕事満足度 = Former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 employees' utilization of experience of studying in Japan and their job satisfaction : the case of employment in Japanese companies in Japan : 日本国内の日本企業に就職した場合 黄美蘭 p. 121-136
1930년대 일본어문학과 재조일본인 여성 표상 = Japanese language-literature and the representation of Japanese female settlers of Chosun in the 1930's : focusing on "Waiting for Spring" in the Keijyonitpo : 『경성일보』의 「봄을 기다리며(春を待つもの)」를 중심으로 송혜경 p. 137-156

『조선시보』 연재 소설 기시 야마지의 「마의 보관(魔の寳冠)」론 = Study of a serial novel "The Demon's Tiara", in Chosunsibo 조미옥 p. 157-180
자기 서사로 가장한 역사적 기억에 대한 물음 = Questions about historical memories masquerading as a self-narrative : focused on Shūsei Tokuda's Kasō Jinbutsu : 도쿠다 슈세이(徳田秋声)의 『가장인물(仮装人物)』론 조수일 p. 181-200

冷戦とジェンダーが交差する場, 北に渡った「日本人妻」に向けられるまなざし = The intersection of the Cold War and gender : eyes directed at the 'Japanese wife' who went to North Korea : focusing on "I'm going to North Korea for a while." directed by Yoma SHIMADA : 島田陽磨監督『ちょっと北朝鮮まで行ってくるけん。』を中心として 畑中愛 p. 201-215
変貌する出雲信仰 = Transforming Izumo faith : Izumo in ancient and medieval Japanese literature and art : 古代·中世文芸における「出雲」 韓正美 p. 217-232

일본의 우생보호법 제정과 인공임신중절에 대한 논의 = Eugenic Protection Act and abortion in post-war Japan : 1945년부터 1960년대까지를 중심으로 김율리 p. 233-253
일본 지역예술제 활성화의 정책적 배경과 아티스트 및 기업의 활동 변화 = Policy background of activating local art festival and changes in the activities of artists and companies in Japan 차진혁, 이호상 p. 255-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