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리더의 역량모델링 연구
|
윤가원, 장미정, 김지영, 이지연
|
p. 7-9
|
|
|
|
정신분석 사회심리학에 근거한 환경교육의 방향 고찰
|
김미란, 김찬국
|
p. 10-16
|
|
|
|
기후위기 시대의 새로운 정서 역량, '생태 감응력 모형(Ecological Affect Model)' 개발
|
조아라, 이재영
|
p. 17-19
|
|
|
|
초등교사의 먹거리 환경교육 실천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김진경, 김찬국
|
p. 20-23
|
|
|
|
초등교원 양성대학에서의 환경교육 통합 : C 교육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
이선경, 권혁순, 나귀수, 박윤경, 염은열, 윤옥경
|
p. 27-30
|
|
|
|
초등교원 양성대학 국어과 영역에서의 환경교육 통합 사례 : 국어과 개설 필수 교과목 '국어과교수학습방법론'을 중심으로
|
염은열
|
p. 31-34
|
|
|
|
초등교원 양성대학 과학과 영역에서의 환경교육 통합 사례 : '생활 속의 화학' 강좌를 중심으로
|
권혁순
|
p. 35-36
|
|
|
|
초등교원 양성대학 사회과 영역에서의 환경교육 통합 사례 : '지역탐방'과 '글로벌사회의 이해'를 중심으로
|
윤옥경
|
p. 37-39
|
|
|
|
우즈베크 속담에 나타난 환경 관련 지식
|
이유미, 손연아
|
p. 55-56
|
|
|
|
칠레의 환경교육 역사 : 비극적이고 흥미로운 유사점
|
이재영
|
p. 57-60
|
|
|
|
초국적 환경위기대응과 지역환경문제해결을 위한 환경교육 활동의 시기적 변화 : 환경운동연합 30년 활동기록과 구성원 인식조사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
장미정, 임수정
|
p. 61-64
|
|
|
|
사회환경교육 전문기관 환경교육 활동의 성찰적 평가 : (사)환경교육센터 22년 사업을 중심으로
|
임수정, 장미정, 이승민, 김룻
|
p. 65-68
|
|
|
|
해양환경교육에서 해양공간 개념의 필요성과 가치
|
이화진, 이두곤
|
p. 69-72
|
|
|
|
기후행동을 실천하는 중학생들의 행위주체성 발전 탐색 : 위치짓기(Positioning)와 실천(Enacting)을 중심으로
|
이향운, 임미연
|
p. 73-76
|
|
|
|
기후변화 인식과 기후변화 대응 행동에는 왜 격차가 존재할까? : 자긍심과 죄책감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지혜성, 윤순진
|
p. 77-81
|
|
|
|
문학작품을 기반으로 한 환경과 문학의 융합교육 방안 제시 : 환경교육표준의 환경소양 4단계를 중심으로
|
전지윤, 조아라
|
p. 85-88
|
|
|
|
영화 『플립』에 나타난 생태적 메시지 탐색과 환경교육적 활용
|
정한나
|
p. 89-93
|
|
|
|
그림책을 활용한 업사이클링 예술융합 환경교육 프로그램 연구
|
이혜선
|
p. 94-95
|
|
|
|
기후위기를 주제로 다룬 예술가의 예술적 경험이 주는 환경교육적 함의
|
김지영, 윤순진
|
p. 96-100
|
|
|
|
청소년 창작시에 나타난 기후감정
|
박지연, 윤순진
|
p. 101-105
|
|
|
|
순환패션 실천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최민경, 윤순진
|
p. 106-110
|
|
|
|
미디어를 활용한 지역연계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
권주영, 이화진
|
p. 111-113
|
|
|
|
Research on spacecraft design methodology for efficient orbital debris collection
|
Hyeok Jun Kweon
|
p. 117-120
|
|
|
|
원자력과 재생에너지에 대한 대학생 인식의 소속 단과 대학별 차이와 에너지 교육적 함의
|
윤윤선, 윤순진
|
p. 121-125
|
|
|
|
승용차 이용자의 대중교통 이용을 증가시키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이익-손실 틀 짓기 전략과 대중교통 이용 관련 정적 정서 경험을 중심으로
|
이승언, 윤순진
|
p. 126-131
|
|
|
|
초등학생 대상 지역기반 해상풍력발전 수업 개발에 관한 실행연구 : 제주도 해상풍력발전 사례를 중심으로
|
원하린, 윤순진
|
p. 132-137
|
|
|
|
클라우드를 이용하는 대학교 학생들의 디지털 비축 행동 형성과 지속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서울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이은재, 윤순진
|
p. 138-141
|
|
|
|
건전한 물순환 개념의 환경교육적 가치와 필요성
|
안희재, 이두곤
|
p. 142-145
|
|
|
|
기후위기 시대의 수자원 환경교육의 필요성
|
노예림, 이두곤
|
p. 146-149
|
|
|
|
고교학점제 지역특화 교육과정 '기후변화와 순천만'의 개발 및 운영 연구
|
강형일, 김대희, 안삼영, 신은주, 신효연
|
p. 153-156
|
|
|
|
지역형 환경교육표준 개발의 필요성 : 충청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
김문옥, 조아라, 이다희, 조성희, 최병무
|
p. 157-161
|
|
|
|
넛지를 활용한 '급식 골고루 다 먹기' 캠페인 설계 :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
정희연, 윤순진
|
p. 162-167
|
|
|
|
커뮤니티 매핑을 활용한 학교 안 자연 관찰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
류미, 주은정
|
p. 168-169
|
|
|
|
지구를 생각하는 생태학교 운영을 통한 지구시민의식 함양 고찰 : 생태학교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김숙희
|
p. 170-173
|
|
|
|
'지구를 생각하는 생태학교'의 생태전환소양 연구 : 용인시 사례를 중심으로
|
이성희, 장지은
|
p. 174-175
|
|
|
|
생태교구 활용 수업을 통한 자연 관찰 역량 개발
|
김지안, 김동렬
|
p. 179-182
|
|
|
|
환경적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기후위기 프로그램 개발
|
이은주, 송영근
|
p. 183-186
|
|
|
|
최근 환경교육 학술지 논문의 분석과 고찰 : 연구방법론을 중심으로
|
임보민, 정은영, 조윤숙, 최희, 이화진
|
p. 187-190
|
|
|
|
국가 교육과정 관련 환경교육 연구 동향을 통해 본 환경교육 패러다임 변화 : KCI 등재지를 중심으로
|
전푸름, 윤순진
|
p. 191-195
|
|
|
|
학교 관리자의 친환경 경영 촉진을 위한 탐색적 연구
|
마효경, 윤순진
|
p. 196-200
|
|
|
|
초등학생의 소비일기 내용 분석
|
김소현, 윤순진
|
p. 201-205
|
|
|
|
환경 주제를 다루는 교사들의 교육 실행 원동력 분석
|
엄세원, 임미연
|
p. 206-207
|
|
|
|
환경수업을 위한 교수역량 평가틀 개발
|
윤진아, 남윤경
|
p. 208-209
|
|
|
|
초등학생의 동·식물 양육 경험이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
|
김윤희
|
p. 210-214
|
|
|
|
(A) correlation analysis study on allergy sensitivity according to mask usage before and after COVID-19
|
Sung Hyuk Choi
|
p. 217-219
|
|
|
|
(A) study on the ability of youth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distinguish between artificial intelligence-generated images and natural images and their impact on environmental education
|
Minseo Kwon, Kyumin Chris Kim, Portia Mingzhu Nee, Linda Lee
|
p. 220-223
|
|
|
|
디지털콘텐츠를 통한 청년층의 환경보호의 인식변화와 실천 유도 분석
|
한예찬, 김승현, 권혁준
|
p. 224-227
|
|
|
|
지속가능한 시민 환경 교육의 필요성
|
최효정, 김재우, 김성준, 임수호, 연익준, 안소연
|
p. 228-229
|
|
|
|
청소년 환경정책 제안 활동의 기획 주체 및 참여자의 경험에 대한 분석
|
박병열, 이유미, 최재혁, 오현정, 김서현, 손연아
|
p. 230-231
|
|
|
|
초등 예비교사들의 해양소양을 기르기 위한 해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 국립해양박물관 중심으로
|
김동렬
|
p. 232-235
|
|
|
|
국민 인식 분석을 통한 해양 교육과 해양 정책의 방향성 제고
|
김윤정, 남정희, 윤자영, 이유림, 권혁준
|
p. 236-237
|
|
|
|
초등 영재 학생의 지역사회 환경을 위한 창의적 프로젝트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윤소희, 임미연
|
p. 238-242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