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쟁력 강화 위한 선순환 구조, 국가 차원에서 디자인해야 : 내수시장의 함정에 빠진 TV
|
조아라
|
p. 8-12
|
|
|
|
방송사 '비상 경영'… K-콘텐츠 성장 핵심 기반 '흔들' : 국내 지상파 방송사의 경영 현황 진단
|
유수정
|
p. 13-17
|
|
|
|
회복·혁신·역량 강화가 방송 미디어 지원의 핵심 : 유럽의 방송 지원 정책
|
최지선
|
p. 18-21
|
|
|
|
세금 공제, 보조금 지원 등으로 재정 부담 덜어주는 정부 : 미국의 방송 지원 정책
|
배수영
|
p. 22-25
|
|
|
|
TV 없는 세상 속의 세대, 봐야 할 이유 만들어줘야 : TV 안 보는 Z세대, TV를 말하다 [대담]
|
김은수, 김정호, 박민진, 연윤서, 이윤 [대담] ; 남유원 [정리]
|
p. 26-31
|
|
|
|
경제적 보상과 AI 기술의 조합으로 챗GPT를 품에 안다 : 오픈AI와 계약한 파이낸셜타임스·뉴스코퍼레이션
|
김익현
|
p. 33-35
|
|
|
|
저널리즘 원칙을 지키기 위한 치열한 고민과 합의의 산물 : 국내 최초 AI 활용 준칙 제정한 한국일보
|
김희원
|
p. 36-38
|
|
|
|
심층 취재와 제작의 조력자, 최대 22억 원까지 지원 가능해 : 국내 주요 취재·제작 지원 사업 총정리
|
정서현
|
p. 39-42
|
|
|
|
AI 저작권부터 뉴스 회피까지, 세계 미디어는 생존을 건 전쟁 중 : WNMC 2024 참관기
|
박세익
|
p. 44-49
|
|
|
|
AI가 몰고 올 정보 생태계의 위기, 난관 속에도 성공 전략은 있다 : WNMC 2024 존 리딩 파이낸셜타임스 CEO 기조연설
|
배수경
|
p. 50-54
|
|
|
|
넷플릭스는 K-드라마의 구원자인가? [서평]
|
박조원 [평]
|
p. 55-58
|
|
|
|
카메라의 시선이 다른 <미스트롯>과 <미스터트롯> : 《오디션 서바이벌 프로그램의 성별화된 재현 이미지에 대한 고찰》
|
김은영
|
p. 59-62
|
|
|
|
한국 언론의 '디지털 콤플렉스', 그 해법은? : 《해외 미디어 동향: 뉴스위크의 혁신 사례》
|
이은별
|
p. 63-66
|
|
|
|
뉴스 큐레이션부터 경제·여성·요리·동물까지 다양한 주제, 친근한 문체로 독자와 한 걸음 더 [대담]
|
김정화, 박지연, 송정, 한애란 [대담] ; 정선호 [진행]
|
p. 68-71
|
|
|
|
언론사가 만든 다큐멘터리, 칸영화제에 입성하기까지 : 국제신문 <영화 청년, 동호> 제작기
|
장세훈
|
p. 79-81
|
|
|
|
모두가 안다고 착각하지만 아무도 몰랐던 사실, 기억해야 할 이야기 : 한국일보 <산 자들의 10년> 취재기
|
진달래
|
p. 82-87
|
|
|
|
'경알못'을 위한 경제 교육 다큐멘터리 : EBS 다큐프라임 <돈의 얼굴> 제작기
|
이혜진
|
p. 88-91
|
|
|
|
라이브 업데이트, 팟캐스트 등 생중계 금지 뛰어넘는 새로운 시도 : 미국 언론의 트럼프 재판 보도
|
김유진
|
p. 93-96
|
|
|
|
국민연합(RN)의 급부상, 프랑스 언론은 무엇을 우려하나? : 유럽연합 의회 선거 이후
|
조영중
|
p. 97-100
|
|
|
|
공식을 깬 기자회견, 대중을 사로잡는 파토스의 힘 : 수사학 관점에서 본 민희진 기자회견
|
손윤락
|
p. 101-105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