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어문 규정 교육 실태 연구 =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on Korean language usage regulations / 황경수 ; 정진수 1

차례 1

국문초록 1

1. 서론 2

2. 어문 규정 실태 2

2.1. 조사 개요 2

2.2. 낱말의 정확한 사용(문항1-문항5) 8

2.3. 띄어쓰기(문항6-문항10) 9

2.4. 의미에 맞는 어휘 사용(문항11) 10

2.5. 조사의 사용(문항12-문항15) 11

2.6. 어문 규정 조항(문항16-문항20) 13

2.7. 실태 종합 15

3. 국어과 교육의 어문 규정 18

4. 어문 규정 교육 방향 24

5. 결론 28

참고문헌 29

Abstract 30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언어 속에 반영된 사회와 문화 = Research on the reflection of society and culture in language 김봉국 p. 5-20

보기
드라마의 지역 방언 구현 양상 = Aspects of regional dialects representation in dramas : focusing on Korean Dramas produced since 2018 : 2018년 이후 제작된 한국 드라마를 중심으로 김아영 p. 21-46

보기
온라인 가나다 상담에 나타난 띄어쓰기 질문 유형 고찰 = Examining the types of spacing questions that appear in online alphabet consultations 서은아 p. 47-66

보기
사용역에 따른 의미 운율의 사용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aspects of usage of semantic prosody by register : focus on '-eoseo' and '-nikka' : '-어서'와 '-니까'를 중심으로 유인선 p. 67-93

보기
보조사 '이요'에 대한 새로운 해석 = A new interpretation of the auxiliary 'iyo' 이규호 p. 95-112

보기
왕실 여훈서 『후감』의 구개음화 실현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palatalization pattern of royal women's lessons in the book of 『Hugam』 전설교, 배영환 p. 113-137

보기
조명희와 강태수의 재소 고려인 디아스포라 문학 = Korean diaspora literature by Cho Myeong-hee and Kang Tae-soo 고명철 p. 139-158

보기
정재학 시에 나타난 초현실 공간과 가족 인식 = Surreal space and perceptions of family in Jung's poetry 김중일 p. 159-186

보기
고전문학의 콘텐츠화를 위한 교육방안 연구 = Research on educational methods for converting classics into aontent[실은 content] : focusing on the classic DB search base : 고전 DB 탐색 기반을 중심으로 이영환 p. 187-205

보기
강의 전과 후, 발표하기 활동에 대한 학생 반응의 비교 분석 = Comparative analysis of student responses to pre-lecture, presentation activities and post-lecture presentation activities : case study of presentation classes of K university students : K대학 발표하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정은주 p. 207-243

보기
어문 규정 교육 실태 연구 =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on Korean language usage regulations 황경수, 정진수 p. 245-275

보기
중앙아시아 지역의 한국어 및 한국학 교육의 확대와 미래 비전 = Expansion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education in Central Asia with future visions 김지형 p. 277-313

보기
로마자 표기를 활용한 한국어 발음 지도 방안 연구 = A study on teaching Korean pronunciation using romanization : focusing on beginner English-speaking learners : 초급 수준 영어권 학습자를 중심으로 노미숙, 송현정 p. 315-339

보기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한국어 듣기 불안 분석 = Analysis of Korean listening anxiety among beginner Korean language learners 안성민 p. 341-364

보기
한국어 화용 교육 연구의 현황 및 과제 = The current state and challenges of research for Korean pragmatics education : using topic modeling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 토픽 모델링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이정란 p. 365-386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