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고는 사회보험법의 관문에 해당하는, 독일 「사회법전 제4권」 제7조 제1항상 종속취업 개념, 이와 관련된 위장자영인의 억지를 위한 종속취업 추정규정의 재도입의 문제 그리고 이러한 논의들에 기한 우리 법상 근로자 추정규정의 도입 문제 등에 관하여 고찰한 글이다. 본고에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법전 제4권」 제7조 제1항상 종속취업 개념은, 사회보험법의 독자적 취지 및 목적에 따라 형성된 것으로서 「민법전」 제611조a 제1항에 따른 근로관계보다 다소 확대된 개념이다. 특히 연방사회대법원(BSG)은, 근로관계가 성립하지 않은, 일정한 범위의 직업군(가령 유한회사의 이사 등)을 그 종속취업에 포섭시키고 있고, 또한 특히 업무과정에 대한 기능상 보조적 참여와 기업가적 활동의 전형적 특성의 결여를 중요한 척도로 삼아 종속취업 개념을 보다 유연하고 탄력적으로 형성하기도 한다.

둘째, 위장자영인의 문제는 사회보험의 재정에 위협이 됨은 물론 해당 사람에 대한 사회보험법상 보호를 부인하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이를 억지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일정한 요건하에 종속취업으로 추정하는 규정을 다시 도입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추정규정은 비례성원칙에 부합하여 독일 기본법에 합치하고 또 그 밖에 그 정당성도 긍정된다.

셋째, 「사회법전 제4권」 제7조 제1항상 종속취업 개념의 논의에 기초하여, 플랫폼 노동 등 부상 등 변화하는 직업세계를 고려하여, 주된 표지인 ‘지휘구속성’, 독자적 표지인 ‘업무조직에 대한 편입’ 그리고 보충적 표지인 ‘기업가적 활동의 전형적 특성의 결여’라는 표지로 구성된 근로자 추정규정을 「근로기준법」에는 물론 「고용보험법」과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도 도입하는 입법안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discusses the concept of “employment”(Beschäftigung) in sec. 7 para. of the Fourth Book of the Social Security Code in Germany, which is a gateway to social insurance law, the issue of reintroducing a presumption rule under which the person whose legal qualification is being examined is presumed to be a “worker”(Beschäftigter), and the issue of introducing such a presumption rule under specific requirements into the Employment Insurance Act etc. The conclus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Beschäftigung’ in sec. 7 para. of the Fourth Book of the Social Code is shaped in accordance with the sense and purpose of social insurance law is and a somewhat broader concept than employment in sec. 611a para. 1 of the German Civil Code. Particularly the Federal Social Court of Germany(BSG) has ruled that a certain range of professions (e.g. directors of limited liability companies etc.), in which no employment has been established, are subsumed under ‘Beschäftigung’. Further, there is also a tendency for the BSG to interpret the concept of employment in a more flexible and elastic way, using as important criteria in particular a “functionally serving participation in the work process” and the absence of typical characteristics of an entrepreneurial activity.

Second, since the problem of bogus self-employment is a threat to the finances of the social security system and it is undesirable to deny ‘Beschäftigter’ the protection of the Social Security Code, it is necessary to reintroduce a presumption rule under which the person whose legal qualification is being examined is presumed to be a ‘Beschäftigter’. The presumption rule is compatible with the proportionality principle and the Basic Law for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Besides, its legitimacy is also affirmed.

Third, based on the discussion of the concept of ‘Beschäftigung’ in sec. 7 para. of the Fourth Book of the Social Security Code, and taking into account the changing world of work, such as the rise of platform work, a legislative proposal is proposed to introduce a presumption rule based on three indicators, according to which the person whose legal qualification is being examined is presumed to be an employee, into the Employment Insurance Act, the Labour Standards Act and the Trade Union and Labour Relations Adjustment Act. The three indicators are related to the alleged contractor’s subjection to the instructions of an alleged purchaser, which is the main criterion. Additionally, a putative employee’s integration into the work organisation of an alleged employer is the independent criterion, and lack of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 alleged employer's entrepreneurial activity is the complementary criterio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과학증거의 조사에 있어서 법원의 역할 = Courtʼs role in taking of scientific evidence : 인과관계에 대한 역학적 증거의 이해를 중심으로 全元烈 p. 7-46

프랑스 민법상의 수단채무와 결과채무 = Obligation de moyens and Obligation de résultat 呂河潤 p. 47-80

맞춤형 광고를 위한 개인정보 처리의 법적 쟁점 = Legal issues in processing personal data for targeted advertising : data law, contract law, and anti-trust law : 정보법, 계약법, 그리고 경쟁법 李東珍 p. 81-107

장래채권양도와 채권양도금지특약 = Assignment of future claims and contractual prohibition of assignment 崔竣圭 p. 108-141

채무불이행에 의한 손해배상의 범위 = Scope of compensation for damages due to non-performance 金己煥 p. 142-168

민사소송에서 공동소송인의 증인적격 = Can a co-plaintiff or co-defendent be a witness? 姜侖希 p. 169-191

공범인 공동피고인의 자백과 대면권 = Co-defendantʼs confession and the right to confrontation : with respect to Samia v. US (2023) : 미연방대법원의 Samia v. US (2023) 판결과 관련하여 金鍾九 p. 192-223

기소유예약정(DPAs) 제도는 한국의 기업범죄 제재를 위한 대안이 될 수 있나? = A comparative analysis of deferred prosecution agreements as a potential solution for corporate crime in Korea : 비교법적 관점에서 趙慈雲 p. 224-261

객관화된 의사침해설에 따른 주거침입죄 판단 = Establishment of home invasion based on the objectified will of resident 金智娟 p. 262-287

특별사법경찰제도의 변천(變遷)에 관한 연혁적 고찰 = A historical study on the transition of the special judicial police system : focused on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 일본제국주의 시기를 중심으로 朴世榮 p. 288-312

독일 「사회법전 제4권」상 종속취업 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 = Critical reflections on the concept of Employment(Beschäftigung) in the fourth book of the social code 吳錀植 p. 313-352

미국 연방준비제도에 관한 공법적 고찰 = A public law study on the federal reserve system in U.S 黃義官 p. 398-433

수 개의 가액배상판결이 내려진 경우의 법률관계 = A study on the legal issues in case multiple monetary compensation judgments rendered : 대법원 2022. 8. 11. 선고 2018다202774 판결에 대한 평석 宋方兒 p. 434-464

자금 차용을 위한 물적 담보 설정행위의 사해성 판단 = The assessment of avoiding the transaction that granted a security to a creditor for borrowing funds : focusing on the supreme courtʼs decision of December 23, 2015(2013 Da 83428) : 대법원 2015. 12. 23. 선고 2013다83428 판결을 중심으로 李한슬 p. 465-487

토지 경계 침범이 등기의 추정을 복멸하는지 여부 = Whether the encroachment on land boundaries rebuts the presumption of registration : supreme court decision 2023Da223591, 223607 decided on July 13, 2023 : 대법원 2023. 7. 13. 선고 2023다223591, 223607 판결 金瑜信, 鄭炳浩 p. 488-517

균등론의 제3, 5요건 = The 3rd and 5th requirement of doctrine of equivalent : the case in question : supreme court, February 2, 2023, decision 2022hu10210 : 전구약물(prodrug)의 변경의 용이성, 의식적 제외의 문제 : 대상판결: 대법원 2023. 2. 2. 선고 2022후10210 판결 李知映 p. 518-563

미국법상 ʻ역외적용 부인 추정ʼ의 새로운 전개 = New developments in the presumption against extraterritoriality in American law : an analysis of its disconnection with international law : 국제법과의 단절 현상의 심화와 함의 李承鎬 p. 353-3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