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은 인간과 사물 사이의 관계에 관한 근본적 성찰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 성찰은 포스트휴먼의 문화적 특성을 이룬다. 포스트휴먼의 성찰은 인간-사물의 관계성 위에서 환경과 사회적 위기 상황을 반성하는 것이다. 본고의 목적은 비인간에 관한 예술적 인식과 그 인식을 바탕으로 한 이주·탈식민의 양상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본고에서 두 가지 과제를 수행한다. 첫째 브뤼노 라투르(Bruno Latour)의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ctor network theory)과 신기후체제 정치론을 검토한다. 라투르는 인간-비인간의 관계와 포스트휴먼의 기본 개념을 제공한다. 둘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국내에서 개최된 주요 공공 전시 이벤트를 사례로 생태와 이주, 비인간의 문제와 그 문제를 촉발한 사회적 모순의 미술적 표현을 검토한다. 2022부산비엔날레 《물결 위 우리》가 물의 물성을 이주, 여성노동, 생태계, 부산의 로컬리티와 연결했다면, 14회 광주비엔날레 《물처럼 부드럽고 여리게》는 물에 관한 도가 철학적 사유를 통해 광주정신을 재해석했다. 이들 비엔날레는 적극적으로 물을 통해 자연과 인간의 얽힘에 관한 선조들의 전통적 사유를 재조명하고, 예술의 이름으로 지역과 기후, 이주의 위기에 대처하는 예술적 대안을 성찰했다. 《노래하는 땅》 (부산현대미술관, 2023)은 언어·문화의 다양성을 생태위기에 대처하는 토대로 삼고자 했다. 대구포럼III 《누구의 숲, 누구의 세계》 (대구미술관, 2024)는 동시대 지구적 위기를 초래한 사회적 모순을 문제 삼았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예술적 대안을 과학과 기술에 근거해 제안하려 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기술적 기후 재앙과 더스트 생태학자의 환영 = Technological climate catastrophe and dust ecologist's illusion : focused on Kim Cho-Yeop’s The Greenhouse at the End of the Earth : 김초엽의 『지구 끝의 온실』을 중심으로 오윤호 p. 1-26

나희덕의 시와 시론에 나타난 포스트휴먼 시대 공생의 상상과 윤리 = The imagination and ethics of symbiosis in the posthuman era as expressed in Na Hui-deok's poetry and poetics : focusing on works from the 2010s onward : 2010년대 이후 작품을 중심으로 황선희 p. 27-67

김뉘연의 『문서 없는 제목』에 나타난 디지털적 대상과 하이퍼텍스트성 연구 = A study on digital objects and hypertextuality in Kim Nui-Yeon’s Title without a Document 한상우 p. 69-97
<오토마타>에 나타난 기계의 자의식과 포스트휴먼의 도래 = Self-awareness of machines and the advent of posthumans in Automata 조민현 p. 99-122
한국인 원폭 피해의 문학적 재현 양상 = Literary representations of Korean survivors of the fall out of atomic explosions of the Second World War : focused of Go Hyeong-ryul's Little Boy : 고형렬의 『리틀보이』를 중심으로 김현정 p. 123-149

(A) corpus-based comparative analysis of newspaper coverage on China’s human rights issues = 중국 인권 문제에 대한 신문 보도의 코퍼스 기반 비교 분석 Chen, Yue p. 151-182
인공지능의 자아 정체성 문제를 통해 본 인지과학과 불교의 ‘자아 없음’ 입장 비교 = A compari[s]on and examination of cognitive science and the Buddhist concept of ‘no-self’ in relation to the problem of AI self-identity 이충현 p. 183-211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공공 전시이벤트에서 나타난 포스트휴먼과 이주·탈식민의 미술적 양상들 = Artistic aspects of posthuman and postcolonialism that appeared at public exhibition events following the COVID-19 pandemic 김동일 p. 213-254

아동문학 사전 『100개의 키워드로 읽는 한국 아동청소년문학』 연구 = A study on the dictionary of children's literature: 100 Keywords for Korean Children's and Young Adults’ Literature : focusing on comparisons with keywords for children's literature : 영미 아동문학 사전 Keywords for Children's Literature 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박치범 p. 255-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