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의 목적은 일제강점기 최승희(崔承喜, 1911~1969 일본명 Sai Shoki) 친일행적의 진실을 규명하고 역사적 성찰을 하려는 것이다. 문헌 연구방법으로 『친일인명사전』 및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의 최승희 문서, 신문자료를 검토했다. 1937-1944년에 최승희의 친일 행위는 첫째 거액을 국방헌금 및 친일단체에 기부, 둘째 수많은 황군 위문공연, 셋째 친일 작품 「무혼」으로 국민총력문화표창 수상 등이다. 해방 직후, 최승희는 자신의 친일 행위를 부정-인정-속죄-변명하는 과정을 보였다. 최승희의 친일에 관한 자신의 입장, 남한과 북한의 입장, 해금 이후 남한 무용계의 입장을 논의하며 ‘사실’과 ‘인정’의 간극을 확인했다. 결론적으로, 최승희의 친일 과오와 춤의 공적을 함께 ‘기억’해야 함을 강조했다. 한나 아렌트가 통찰하였듯, ‘무사유’가 엄청난 악으로 귀결되는 현상은 과거의 나치나 친일뿐만 아니라, 오늘날에도 있을 수 있다는 경각심을 갖고, 각자가 사유하는 주체로서 무용계에 존재하는 데 이 연구가 도움이 되길 소망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공연예술 디지털 큐레이션 플랫폼의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digital curation platform for performing arts : focusing on the performing arts archive platform 'Byeolbyeol Stage' : 국립중앙극장 공연예술 아카이브 플랫폼 ‘별별스테이지’를 중심으로 주선영 p. 1-19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산조춤의 연구동향 = Sanjo dance's research trends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기도은, 조남규 p. 1-19

현대무용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신체 관련 연구동향 분석 = Research trends of contemporary dance majors : through topic modeling and network analysis : 토픽모델링 및 네트워크 분석 적용 김민지, 김슬기, 김승아, 박지원, 박혜진, 김영미 p. 1-21

무용작품 「Concept」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the dance work Concept : focusing on the dépaysement technique : 데페이즈망을 중심으로 신숙경 p. 1-33

비평적 관점에서 접근한 알렉산더 에크만의 「백조의 호수」의 예술적 특성 연구 = A critical perspective on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Swan Lake by Alexander Ekman 정석지, 심정민, 정은주 p. 1-24

근대 무용가 최승희의 친일 행적에 관한 역사적 성찰 = A historical reflection on modern dancer Choe Seunghui's collaboration with Japanese imperialism 조경아 p. 1-40

「도살풀이춤」에 내재된 무속굿의 기·예능적 요소 고찰 = Examination of functional and artistic elements of shamanic ritual inherent in Dosalpuri dance 최하진 p. 1-17

명작무 산조춤의 공간기호학적 의미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spatial semiotics analysis of the Myeongjakmu (Korean masterpiece dance) Sanjo dance activation 함선호, 윤혜정 p. 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