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어린이들의 유튜브 시청 시간이 급증함에 따라 어린이들이 시청하는 영상콘텐츠의 분석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어린이들이 자주 보는 유튜브 영상에서 주요 발달영역인 인지, 정서, 사회화와 관련된 내용의 양과 표현방식을 살펴보기 위해 만 4∼7세 어린이들이 자주 본다고 응답한 유튜브 상위 20개 채널 내 영상콘텐츠의 자동화 분석을 실시했다. 인지 분야는 페이싱과 언어, 정서 분야는 정서 표현, 사회화 분야는 성역할 고정관념과 사회적 상호작용으로 나누어 각 분야에 맞는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인지 차원의 페이싱 분석은 평균 3초당 1개의 장면이 전환되는 것으로 나타나, 교육프로그램의 평균(7~8초당 1개)보다 빠른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언어 분석에서는 평균 분당 어절수는 52.02개이며 비속어와 은어가 다수 등장했다. 정서 차원에서는 중립적 표현이 가장 많고, 이어 긍정적 표현이 많았으며, 부정적 정서 표현도 나타났으나 혐오 표현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화 차원에서는 객체 검출 알고리즘을 사용, 각 캐릭터의 등장 크기와 성별 등을 분석했다. 어린이들이 주로 보는 영상콘텐츠에는 여성캐릭터보다 남성캐릭터가 많이 등장하고, 남성캐릭터의 등장크기가 더 큰 경우가 많아 어린이들이 시청하는 애니메이션이 성역할 고정관념을 강화할 가능성을 확인했다. 사회적 상호작용 측면에서는 성별 차이가 두드러지지 않았다. 연구 결과는 어린이 영상의 품질을 평가하는 지수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부모와 교사 등 어린이의 올바른 영상 시청 지도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것으로 예측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미디어의 재현, ‘타자’에의 연대를 ‘나’에의 환대를 = Representation of drama, solidarity with 'others' and hospitality to 'self'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drama <Our Blues> : 드라마 <우리들의 블루스> 분석을 중심으로 김지연 p. 5-47
지상파 TV에 대한 태도와 SNS에 대한 유용성 = The attitude of the terrestrial television and the usefulness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 focusing on the Instagram and Facebook service :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문성준 p. 48-76
부정적 ESG 뉴스 보도와 기업 가치 변동 = The impact of negative ESG news coverage on corporate valuation : insights from AI-driven big data analysis of news articles : 생성형 AI 활용 뉴스 빅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박노일, 박대근, 정지연 p. 77-118
넷플릭스가 재현하는 ‘한국성’과 글로벌 K-콘텐츠의 다층적 함의 = A study on the 'Koreanness' represented by Netflix and the multi-layered implications of global K-contents : focused on the case of Korean remake contents : 한국판 리메이크 콘텐츠의 사례를 중심으로 박수연, 류웅재 p. 119-154
사회적 재난 방송 뉴스 보도 화면 분석 = An image clustering analysis of broadcast news coverage : how Itaewon tragedy in Korea is reported as journalism practice : 이태원 참사 보도 화면 구성으로 본 저널리즘 실천 방식 윤호영, 오령 p. 155-203
양성애자를 재현하는 리얼리티 연애 프로그램의 함의 = Implications of representing bisexuality in reality dating shows : focusing on the interpretation by bisexual viewers of <Love Alarm Clap! Clap! Clap!> : <좋아하면 울리는 짝!짝!짝!>에 관한 양성애자 시청자의 해독을 중심으로 장서홍, 박지훈 p. 204-239
미세 플라스틱 관련 환경정보 탐색과 처리가 친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seeking and process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related to microplastics on pro-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s : focusing on the risk information seeking and processing model (RISP) : 위험정보 탐색처리모형(RISP)을 중심으로 장혜연, 채윤정, 최의락, 조재희 p. 240-280

하이퍼로컬 미디어를 통한 지역공동체 의식의 강화 가능성에 대한 실증분석 = An empirical study of testing the possibility of strengthening community consciousness through hyperlocal media : effect of usage motives and behaviors of 'Daangn Market' on social solidarity and community attachment : “당근마켓” 이용동기 및 행동이 사회적 결속과 지역 애정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조재희, 주남 p. 281-324

어린이 영상콘텐츠 품질지수 개발을 위한 자동화 분석 = Computational analysis of video content for developing the children media quality index : focusing on cognition, emotion, and socialization : 인지, 정서, 사회화 차원을 중심으로 최윤정, 양아정, 정유진, 김은 p. 325-376

공영방송의 개인 콘텐츠 제작자에 대한 저작권 행사에 관한 범위 검토 = A study on the scope of public broadcasters' copyright for individual content creators 홍순건, 김대규 p. 377-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