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조선음악서』 「무편」(舞篇)은 이왕직아악부가 전승한 궁중악무 중 춤에 대한 내용을 기록한 책이다. 「무편」의 제1 총론에는 일무의 전승 배경, 제2 일무는 종묘육일무와 문묘팔일무, 제3 정재에는 51종의 정재종목을 춤명, 창작시기 및 창작자, 무원, 악곡의 항목으로 나누어 표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처용무〉, 〈춘앵전〉, 〈무고〉, 〈가인전목단〉, 〈향령무〉, 〈봉래의〉, 〈보상무〉, 〈장생보연지무〉, 〈수연장〉, 〈만수무〉의 10종 정재를 간단한 설명과 동작절차를 제시하였다. 정재 종목과 서술방식을 검토한 결과, 「무편」에 수록된 정재 10종은 1920-30년대에 거행된 공연에서 선보인 종목이었으며 특히 영친왕 환국 만찬연을 준비하며 정리한 인쇄본 『무의』(1929년), 이병성․성경린 노트(1931년)의 수록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조선음악서』 「무편」은 이왕직아악부에서 재현한 당대의 정재를 무보로 기록화하고, 일관된 체계를 갖추면서 도판이나 사진 자료를 넣어 정리하려 했다는 점에서 『악학궤범』의 악서 편찬 방식을 따르려 했다는 역사적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이왕직아악부의 『조선음악서』 「무편」(舞篇) 연구 = A study on the Mup'yŏn (舞編) of Chosŏn ŭmaksŏ (朝鮮音樂書) : based on descriptions of Chŏngjae performances : 정재 서술을 중심으로 김은자 p. 5-60

국악영재의 의미와 존재이유에 대한 논의 = Discussion on the meaning and raison d'etre of the gifted in Korean traditional music 라예송 p. 61-72

19세기 『한양가』에서 노래한 조선의 음악문화 = Chosŏn's musical culture sung in Hanyangga of the 19th century 송지원 p. 73-91

전라남도 영광 출신의 명창/명고 김종길의 생애와 예술 = The life and art of Kim Chong-gil, a master singer and drummer from Yŏnggwang, Chŏlla-namdo Province 이용식 p. 93-119

북한 초기 인민가요의 음악적 특징 = The musical features of early North Korean people’s songs : with a focus on Yi Myŏn-sang’s songs in Chosso Kagok 100Kokchip : 『조쏘가곡 100곡집』의 리면상 곡 중심으로 이정아 p. 121-159

<춘면곡>의 노랫말과 선율 구조 = The lyrics and melodic structure of Ch'unmyŏn'gok 최선아 p. 161-201

19세기 군영의 악기 신호 체계 연구 = A study on the instrument signal system in the 19th century military : based on the Ch'ongwiyŏng Sŭpcho Holgi : 『總衛營習操笏記』를 중심으로 박라희 p. 203-238

일제강점기 박람회 및 공진회의 전통공연예술 연행에 대한 검토 = A review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presented at exhibition (博覽會) and a competitive exhibition (共進會)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최민아 p. 239-340

조선전기 궁중정재의 박(拍) 운용 양상 = Trends in Pak (拍) usage in the royal court dance (呈才) of the early Chosŏn Dynasty : focusing on Ak’ak Kwebŏm (樂學軌範) : 『악학궤범』을 중심으로 하현주 p. 341-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