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교육자가 ‘뉴스포츠를 활용한 체육수업’ 강좌 운영에서 주목한 내용 측면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연구를 진행한 연구자 자신이다. 이 연구는 연구 참여자의 수업일지와 수업 관찰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귀납적 범주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주목한 내용 측면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나’는 뉴스포츠 환경조성 측면에서 수업 환경 조성하기, 학습 동기 유발하기, 흥미 있는 도구 활용하기 등에 주목하였다. 둘째, ‘나’는 뉴스포츠 수업 참여 측면에서 축소형 신체활동, 수업 관리하기, 과제구조를 다양화하기 등에 주목하였다. 셋째, ‘나’는 뉴스포츠 수업 전략 측면에서 수준별 수업 운영하기, 과제 교수를 활용하기, 학습자의 내용 발달 전략으로 운동 수행력 높이기 등에 주목하였다. 넷째, ‘나’는 뉴스포츠 수업 평가 측면에서 평가 방법의 다양화, 평가도구의 다양화, 평가영역의 균형성 등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뉴스포츠를 활용한 체육수업에서 주목한 내용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그것이 교수자와 학습자의 움직임과 기본 운동기능에서 제공하는 교육적 가치를 이해하도록 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ontent aspects observed by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 in the operation of a course entitled “Physical Education Class Using New Sports.” The participant is the researcher who conducted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using class logs and observations, and content aspects that were observed in the news sports class were analyzed using the inductive category analysis method. First, I focused on creating a class environment , stimulating learning, and using interesting tools in terms of creating a news sports environment. Second, in terms of participating in news sports classes, I paid particular attention to reduced physical activities, class management, and the diversification of task structures. Third, in terms of strategies for news sports, I focused on operating classes by level, utilizing assignment teaching, and enhancing exercise performance through the content development strategies of learners . Fourth, I examined the diversification of methods of evaluation, the diversification of evaluation tools, and the balance of evaluation areas in terms of assessing news sports classes. This study confirmed the content highlighted in the news sports class and elucidate the positive value it provides in terms of improving movement and basic motor skills for instructors and learner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문제중심학습(PBL)을 활용한 환경갈등해결 교육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conflict resolution education program using problem-based learning 김수정, 이상원 p. 1-24

교사학습공동체의 협력으로 실현하는 활동중심 생태전환교육 = Implementing activity-centered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through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 a design-based research approach : 설계기반연구에 의한 프로그램 개발 이화진, 이상원 p. 25-41

초등 예비교사교육자가 ‘뉴스포츠를 활용한 체육수업’ 강좌 운영에서 주목한 내용 측면 = Aspects observed by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during a physical education class using news sports 고문수 p. 43-61

듀이 교육이론에서 지리교과의 가치와 구조 = The value and structure of geography education in Dewey’s educational theory 김보매 p. 63-78

규범적 AI윤리 가이드라인과 초등 AI윤리교육 적용 방안 모색 = Exploring the application of normative AI ethics guidelines in elementary AI ethics education 박형빈 p. 79-95

제1차∼제3차 교육과정 시기 국민학교 1∼2학년 음악 교과 편제 및 교육과정 고찰 = A study on the organization of school subjects and music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grades 1 and 2 in the first to the third curriculum periods 김은주 p. 97-114

에듀테크 기반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그림책 개발 활동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picture book development activities for digital storytelling using EduTech 양지선 p. 115-136

알고리즘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사회과 수업 구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organization of social studies classes to cultivate algorithm literacy 김소연, 박기범 p. 137-153

언어의 잉여성과 독자의 텍스트 이해 = Language redundancy and the understanding of text by reader based on Deleuze and Guattari’s <Thousand Plateaus> chapter 4 “postulates of linguistics” : 들뢰즈와 과타리의 『천 개의 고원』 4장 ‘언어학의 기본 전제들’을 토대로 김도남 p. 155-174

2022 초등 영어과 개정 교육과정 반영 교실영어 사용 능력 평가 기준 연구 = A study of the evaluation criteria for classroom English proficiency reflecting the 2022 revised curriculum 임희정, 조보경, 김은주 p. 175-191

초등학생의 학습동기, 수업태도, 영어 수업이해도, 영어 학업성취도와 수능 영어등급 간의 구조적 관계 =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class attitudes, understanding of English class,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and English grades on the CSAT 김은송, 곽현석 p. 193-208

수석교사 역량의 개념 모형 개발과 타당화 연구 = Development of a concept model of master teacher competency and its validity 박일수 p. 209-228

초등학생 자기조절 학습전략 프로그램의 효과와 성패 요인 = A study on the effects and success/failure fact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program : focusing on successful case method 최은혜, 전푸름 p. 229-248

한국 초등교사 외상후 스트레스 척도(K-PTST)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a post-traumatic stress scal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김재헌, 하문선 p. 249-266

수감각과 수학적 추론의 관계에 대한 교육적 고찰 = Pedagogical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umber sense and mathematical reasoning 조은혜, 홍성두 p. 267-291

초등 경계선 지능 자녀의 학교생활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과 지원 요구 = Awareness and support needs of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이현진, 강옥려 p. 293-313

초등학생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또래관계의 질 간의 관계 = The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고하영, 김광수, 양곤성 p. 315-330

교육대학교 교수가 경험한 연구 열정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the professors’ research passion in a university of education : a collaborative auto-ethnographic study : 공동 자문화기술지 연구 임효진, 맹승호, 강훈식, 장은영, 김영화 p. 331-354

디지털 에듀 배지 시스템 구현 및 사용성 평가 = Implementation and usability evaluation of the digital edu badge system 구덕회 p. 355-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