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COVID-19로 인해 도입된 원격수업은 여러 장점을 지니고 있지만, 수업의 질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수업의 질제고를 위한 방안 중 하나로 피드백의 역할이 강조되지만, 교사들은 원격수업에서 피드백을 제공하는 데 어려움을 보고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형성적 피드백 실행에 미치는 교사의 피드백 인식, 피드백 의도 및 디지털 리터러시의 영향에 주목하여서 이들 간의 관계를 원격 및 대면수업 맥락에서 비교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국내 D 및 K 지역 중학교 교사 총 34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변인 간 구조적인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교사가 피드백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지닐수록 대면 및 원격수업 모두에서 형성적 피드백 실행을 적극적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원격수업에서는 대면수업과는 달리 교사의 긍정적인 피드백 인식이 피드백 의도를 매개하여 형성적 피드백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정적인 피드백 인식의 경우, 원격 및 대면수업 모두에서 피드백 의도를 매개하여 형성적 피드백 실행에 간접 효과만을 보였다. 즉, 피드백에 대한 교사의 부정적 인식은 피드백 의도를 약화시킴으로써 원격 및 대면수업 모두에서 형성적 피드백 실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피드백 리터러시는 형성적 피드백 실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피드백 의도를 매개하여 형성적 피드백 실행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형성적 피드백 실행에 있어서 교사의 피드백 인식 및 의도, 그리고 디지털 리터러시의 역할을 논의하였다.

As remote instruction began due to COVID-19, problems with the quality of instruction were caused, and the role and necessity of feedback were emphasized. However, as a result of several surveys on the operation of remote instruction, teachers have difficulty providing feedback and communicating with students in remote instruction. Therefore, in this study, for teachers’ effective feedback practic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practice of formative feedback in remote and face-to-face instructions were explored. The teaching environment such as face-to-face and remote instructions, the teacher's conception of feedback, feedback intention, and digital literacy were assumed to have effects on teachers’ feedback practic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42 middle school teachers, an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First, in the case of positive feedback conception, both its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formative feedback practice were shown in remote instruction, while only its direct effects were shown in face-to-face instruc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negative feedback conception, there was no direct effect on formative feedback practice in both remote and face-to-face instructions, but only an indirect effect. Second, in the remote instruction, the teacher's digital literacy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he practice of formative feedback, but only an indirect effect. Third, feedback intention showed a direct effect on formative feedback practice in both remote and face-to-face instructions.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the importance of teachers’ conceptions of feedback and digital literacy in their feedback practice even in remote instruction as well as face-to-face instructio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잠재전이분석을 활용한 초등학생의 학교 밖 쓰기 활동 변화 유형과 영향요인 탐색 = Exploring patterns of change and influencing factors in out-of-school writing activitie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latent transition analysis 이빛나, 신은진, 손원숙 p. 119-132

Desmos를 활용한 수학수업에서 익명성이 학생들의 학습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anonymity in mathematics classes utilizing Desmos on student participation 박도현, 손홍찬 p. 133-152

외국인 유학생 대상 비교과 교육 CIPP 평가 지표 연구 = Decision-centered extracurricular educa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 a CIPP evaluation model study focused on content validity using I-CVI : I-CVI를 활용한 4단계 평가 지표 개발을 중심으로 김성재 p. 167-182

중학교 교사의 피드백 인식과 의도 및 디지털 리터러시가 형성적 피드백 실행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conception of feedback, feedback intention, and digital literacy on middle school teachers’ formative feedback practice : remote and face-to-face instruction : 원격 및 대면수업 비교 김경남, 손원숙 p. 183-200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한 시스템 사고 검사 도구 개정 및 타당화 = Revision and validation of the systems thinking measuring instrument for pre-service teachers 이현동 p. 217-236

초등교사의 체육수업 전문성과 신체적 유능감이 교수불안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tise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physical competence on teaching anxiety 조건상, 최영준, 곽상원 p. 237-250

메타버스 플랫폼 ZEP을 활용한 지리 학습의 교육적 효과 = Educational effects of geography learning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ZEP : focusing on learning interest,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 학습 흥미, 학습 몰입감, 학습 만족도를 중심으로 박아름, 김민성 p. 251-266

중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참여를 통한 성취목표성향이 스포츠자신감 및 학업적 그릿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achievement goal tendency on sports confidence and academic grit through participation in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by middle school students 이다영, 조건상 p. 153-166

교사의 AI융합교육전공 대학원 학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eachers’ learning experiences in graduate school of AI convergence education 정영선, 강병희 p. 20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