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중소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직무과부하가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잡크래프팅의 매개효과와 직무 자율성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직무 과부하가 직무수행 및 조직 행동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완화하거나 긍정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직무과부하가 잡크래프팅과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을 분석하며, 잡크래프팅이 이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지, 직무 자율성이 조절 효과를 가지는지를 연구하였다. 중소기업기본법의 기준에 부합하는 총 427부의 중소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중소기업의 인적자원관리와 직무 개선 전략 수립에 기여할 수 있는 실질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적응적 리더십이 조직동일시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adaptive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 the serial multiple meditating effects of collective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career growth : 집단지성과 조직경력성장의 직렬다중매개효과 조항석, 신제구 p. 1-26

유가증권 상장기업의 특성이 ESG성과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haracteristics of securities listed companies on ESG performance : focusing on family companies : 가족기업을 중심으로 전덕영 p. 27-56

안전자산 선호도를 나타내는 EMBI 스프레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MBI spread to indicate the perference for safe asset 조용구, 백재승 p. 57-84

중소기업 생존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 An empirical study of the determinants of SMEs’ survival 유범준, 김영준, 김봉근 p. 85-117

Z세대 구직자의 링크드인 사용수준이 직무 및 조직정보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LinkedIn usage level of generation Z job seekers on job and organization information : the moderating effect of openness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 개방성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시내, 김태형 p. 119-148

중소기업 종사자의 직무과부하가 잡크래프팅을 매개로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job overload on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rough job crafting among SME employees :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job autonomy : 직무자율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기숙, 전순영 p. 149-176

기업의 CSR 실행과 소비자의 태도 및 행동 = CSR implementation and consumer attitudes and behavior : the mediating effect of CSR authenticity and CSR fit : CSR 진정성과 CSR 적합성의 매개효과 배성주, Yu Meng-Ying, 채명수 p. 177-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