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정구는 조선 중기 문장가 중 만시를 가장 많이 지었고, 홍이상은 만시에 뛰어나다고 알려졌다. 외조부 이정구와 조부 홍이상의 창작 전통을 계승한 홍주원의 만시 작품은 400제가 넘는다. 만시의 양적인 면으로 보면 조선조에서 전무후무한 시인이다. 그의 전체 작품에서 따지면 만시가 삼분의 일을 차지한다. 당시 인적 네트워크의 중심에 자리한 홍주원이 유례없이 많은 사람을 애도한 만시를 통해 17세기 가문의 교류와 인적 관계를 조망할 수 있다.

홍주원의 만시는 양적으로 많을 뿐만 아니라 질적인 면에서 그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망자의 미덕을 전하는 일을 살아남은 자의 도리로 여긴 홍주원의 시적 재능이 발휘된 장르가 만시라고 할 수 있다. 대상 인물이 누구든 홍주원이 만시에서 중시한 표현 요소는 구체성과 진실성이다. 그 결과 홍주원의 작품은 만시가 의례적인 문자 행위로 변질되는 시기에 모범이 된 것으로 보인다. 당대인이 그의 만시를 애송했으며 후대 시선집 편자가 그의 대표작으로 만시를 뽑았다는 사실이 이를 증명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문학의 (재)전성기를 위한 소론 = A discussion on the heyday of literature : the definition of literature and its response to 'education' : 문학의 (재)정의와 ‘교육’으로의 대응 강정화 p. 7-39

빈센트 반 고흐의 진로 내러티브 정체성 구성 양상 = Aspects of Vincent van Gogh's career narrative identity construction : centering on Savickas's career theory : Savickas의 진로 이론을 중심으로 고희정, 최인자 p. 41-78

소통 부재의 시대, 아마추어 작가들의 응전과 문학교육의 과제 = The response of amateur writers and the task of literary education in an age of disconnection : focusing on literary communication around the silver Senryu : 실버 센류를 둘러싼 문학 소통을 중심으로 김미혜 p. 79-109

2인칭 소설의 상호신체성과 문학교육적 의미 = The intercorporeity of second-person narratives and their educational significance in literature : focusing on the second-person address in Han Kang's 'Human Acts' : 한강 『소년이 온다』의 2인칭 호명을 중심으로 이수진 p. 111-145

홍주원 만시 연구 = A study on the poetry of Mansi(挽詩) by Hong Joo-won(洪柱元) 이현지 p. 147-182

팬데믹 이후 대학 문학교육의 전환 = Transformation of university literature education after the pandemic 황혜진 p. 183-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