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한국인의 첨단과학기술문화 분야에 대한 미래 선호가치를 조사하여, 이를 통해 정책 이슈를 발굴하고 첨단과학기술문화 정책 개발 및 관련 정책에 중요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통합적 문헌고찰을 통해 한국인의 미래 첨단과학기술문화 분야 선호가치를 조사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목적의 효율적인 달성을 위해 청소년과 20대의 가치관에 중점을 두기 위해 200명씩 총 400명을 확보하였으며,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 집단별로 각각 100명씩 총 80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인은 첨단과학기술이 삶의 질과 가치를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있으며, 첨단과학기술정책의 실현 주체로서 정부의 주도적 역할을 기대하고 있었다. 또한 첨단과학기술의 활용에 대해 현재는 통제를 선호하지만, 중장기적인 관점에서는 고도화된 기술의 확산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을 보였다. 미래 과학기술 분야 혁신정책의 실현 주체로서 정부보다는 사회구성원의 수요에 따른 실현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한국인은 첨단과학기술이 전반적인 삶의 질 향상, 경제 발전, 문화 수준 향상, 국민 건강 증진 등 다양한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첨단과학기술의 가치와 기능에 대해 높은 기대감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첨단과학기술문화정책 개발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며, 한국 사회의 전반적인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이주민의 사회화에 관한 문화변용 모형 연구 = A study on the acculturation model regarding the socialization of immigrants : from the traditional acculturation model to the cultural evolution model : Berry의 문화변용 모형과 문화진화 모형의 비교를 중심으로 윤향옥 p. 133-162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of multicultural youth on school life adapta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 자아존중감과 이중문화수용태도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홍혜경, 송진영 p. 227-248
K-컬처 콘텐츠를 활용한 교수·학습 설계 및 적용 = Design and applic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using K-culture content 문희진, 이성희 p. 393-420
시민주도 생활문화활동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social value of citizen-led living cultural activities : focusing on the Japanese Utagoe movement : 일본 우타고에운동을 중심으로 강현정 p. 443-472

한국인의 미래 첨단과학기술문화 분야 선호가치 조사 = Survey on the future preference values of Koreans in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culture 김민규, 박찬민, 김승환, 문승현, 박수정 p. 601-617

엘리트 배구 코칭교육 문화에 따른 지도자의 정체성 변화 탐색 = Exploring the coaches' identity changes according to elite volleyball coaching education culture 박희상, 조미혜 p. 651-672
이혼 갈등 원인에 대한 상담사례분석 = Counseling case analysis of cause of divorce conflict : using text-mining and content analysis : 루단스의 갈등이론을 중심으로 권요셉, 하예린, 정서윤, 김민욱 p. 695-712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의 파찰음 오류 분석 및 교육방안 = Analysis of pronunciation errors in /ㅈ, ㅉ, ㅊ/ by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and educational approaches 박부전 p. 351-370
베트남 결혼이주여성 K씨의 한국사회 적응 경험 연구 =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Vietnamese married migrant woman K's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 focusing on F. Schütze's life history study method : 슛제(F. Schütze)의 생애사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오은주 p. 67-98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개선을 위한 독일과 스웨덴의 통합 교육 과정 연구 = A study on integration programs in Germany and Sweden for a betterment of KIIP(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성수정, 김정 p. 1-30
유학생에서 결혼이민자가 된 베트남 이주여성의 임파워먼트에 관한 탐색적 사례연구 = An exploratory case study on the empowerment of Vietnamese migrant women transitioned from international students to marriage immigrants 김나경 p. 31-66

국내 대학원 재학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 생활에서의 그릿(Grit) 성장 경험 = Chinese graduate students' experiences of grit growth in Korea 김서현, 두지가 p. 99-131
국제결혼을 통해 정착한 이주여성의 삶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life experiences of immigrant women who settled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 박미선, 이선화 p. 163-191
중국 중학생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학업 소진 간의 관계에서 통제 = The mediating role of control, value, and academic buoya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academic burnout among 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 가치와 학업 부력의 매개효과 Liao Haoyu, 안도희 p. 193-226
초·중등 다문화교육을 위한 게임 콘텐츠 개발 = Development of game content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 focused on <Local Stone Explorers> : <로컬스톤 탐험대>를 중심으로 김성미, 권미경, 서은숙 p. 249-279

경인지역 가족센터 이용자의 상호문화소통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experiences of users at family centers in the Gyeonggi-do and Incheon region 함보연, 최현정, 곽민정, 황윤아 p. 281-302
중국 U3A의 발달 과정 및 발전 방향 = The developm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U3A in China 우려연, 윤만근 p. 303-323
외국인을 위한 조선어 교재 연구 = A study on Josŏn language textbook as a foreign language : focused on 『Josŏnŏ』 of publishing house of Kim Il Sung University(2022) : 김일성종합대학출판 『조선어』(2022)를 중심으로 조현용, 김낭예 p. 325-349
재외한글학교 교육 목표와 교육과정 운영 및 평가에 대한 분석 = Curriculum analysis of educational goals, curriculum proper and critique of overseas Korean schools 김태진, 최현희 p. 371-392
에카르트(A.Eckardt)의 일제강점기 한국의 미적 인식과 현대 문화와의 소통적 의미 = A. Eckardt's aesthetic perception of Korea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communicative meaning of modern culture 박세연 p. 421-441
현대인들을 위한 성화로써 벨리니와 베이던의 예수 죽음 작품 분석 = An analysis of Bellini and Weyden's artwork on the death of Jesus as an icon for modern people 조은식, 이나리 p. 503-524
두루미를 매개로 하는 국제 다문화 생태예술 교류 및 창작 활동 = International ecological art exchange and creative activities using cranes as a medium 전영국 p. 525-547
노인보호전문기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job stress on burnout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mong workers of elder protection agency :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임현승, 문선혜 p. 549-566
노인 대상 인문융합치료 프로그램 연구 동향 분석 = Humanities convergence therapy program for the elderly analysis of research trends : 2014-2023 papers in journal : 2014-2023년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정연주 p. 567-599
정물화의 관점으로 본 죽음의 존엄성 = The dignity of death in the perspective of still life painting : focusing on the movie <Still Life> : 영화 <스틸라이프>를 중심으로 김영민 p. 473-501
의료인문학 연구동향 분석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medical humanities : focusing on topic modeling (LDA) : 토픽모델링(LDA)을 중심으로 장현정 p. 619-650

평생교육사의 무형식학습 경험을 통해 본 직업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 Occupational identity development through informal learning experiences at lifelong educator : Illeris 학습 모델을 중심으로 오세경 p. 673-693

전통주 제조 스타트업의 경쟁력 분석 = Competitiveness analysis of a traditional liquor manufacturing startup according to the VRIO model : a case study of 'Wonspirits Co., Ltd' using the VRIO model : VRIO Model을 활용한 ‘원스피리츠 주식회사’ 사례 연구 김기창, 이상연, 김선영 p. 713-7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