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북한이 지난 2021년 12월 새로운 농촌혁명강령을 발표하였다. 1964년 사회주의농촌문제해결을 위한 농업테제를 발표한 지 57년만의 일이다. 이 글은 김정은 정권의 새로운 농촌혁명강령의 혁신과 변화를 탐구하기 위해 ‘농촌 본보기’를 대상으로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정권의 본보기 형성메커니즘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북한의 농촌 본보기는 정권별 선정기준의 차이가 존재하지만 김정은 정권의 새로운 농촌혁명강령은 선대 정권의 농촌발전전략을 유지, 계승하고 있다. 그리고 사회주의문화농촌건설과 과학농사, 인민대중제일주의를 결합하여 농촌 본보기의 대형화, 거점화, 실용화를 추구하는 차별적 특징도 나타났다. 그러나 국가의존성이 높은 북한의 농촌 본보기는 지속가능한 자립형 본보기로 전환되기 어려우면 파급과 확산에도 한계가 존재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현저성과 복잡성으로 살펴본 헨더슨 컬렉션 = Examining the Henderson Collection through salience and complexity : the significance of private actors in unreleased documents of the U.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NARA) :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 비공개 해제문서 속 민간 행위자의 의미 구진영 p. 5-37

탈북에서 가정해체까지, 탈북민 위기가구 문제와 탈북 트라우마 = From North Korean defection to family breakdown : North Korean refugee trauma and mutual influence issues within the family seen through oral life story of North Korean refugees 박재인 p. 39-67

북한의 ‘본보기(model)’에 투영된 농촌발전전략 변화 연구 = A study on the change of rural development strategy through North Korea's rural model 박희진 p. 69-103

통일억제 인식의 유형화 및 통일태도와의 영향 관계 분석 = Study on the type of latent class regarding perception of obstacles to unification, and its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attitude toward unification 양옥경, 최혜지, 김선화, 조성은, 허세미 p. 117-147

EU 대외관계에서 전략적 자원으로서 문화유산외교 연구 = Cultural heritage diplomacy as a strategic resource in the European Union's external relations 김새미 p. 147-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