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고는 동물리터러시의 개념과 범위를 설정하고, 이를 통해 황순원 소설 「목넘이 마을의 개」를 새롭게 분석한 연구이다. 동물리터러시는 동물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이해하고 동물들에게 공감하며, 그것을 분석하고 때론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는 능력 혹은 관점, 가치관을 말한다. 이에 따라 텍스트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동물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이해의 부재는 인간중심적인 사고와 인식, 나아가 생명을 빼앗을 수도 있을 만큼 매우 부정적 결과를 초래한다는 점을 작품 안에서 확인하였다. 이는 인간이 동물을 어떻게 바라보고 인식하고 행동하느냐에 따라 생명의 문제와 직결될 수 있다. 둘째 개와 인간의 정서적, 감정적 교감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인간과 개의 관계 맺음에 있어 친밀한 접촉이 없더라도 인간-개의 서로 바라보기를 통해서도 교감이 충분히 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셋째 오늘날 동물리터러시와 관련하여 중요한 문제는 동물의 문제를 해결하고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이나 목소리를 내는 것이다. 그런데 간난이할아버지는 이를 잘 실천한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신둥이를 위해 최선의 방법을 선택하고 무엇보다도 행동에 옮겨 문제를 해결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동물리터러시라는 개념을 통해 「목넘이 마을의 개」를 새로운 관점으로 이해 할 수 있으며, 동물 문학의 연구 방법 저변을 확대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나아가 인간동물학을 연구하는 데 문학작품이 연구의 토대가 될 수 있는 가능성도 확인하였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