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고는 동물리터러시의 개념과 범위를 설정하고, 이를 통해 황순원 소설 「목넘이 마을의 개」를 새롭게 분석한 연구이다. 동물리터러시는 동물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이해하고 동물들에게 공감하며, 그것을 분석하고 때론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는 능력 혹은 관점, 가치관을 말한다. 이에 따라 텍스트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동물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이해의 부재는 인간중심적인 사고와 인식, 나아가 생명을 빼앗을 수도 있을 만큼 매우 부정적 결과를 초래한다는 점을 작품 안에서 확인하였다. 이는 인간이 동물을 어떻게 바라보고 인식하고 행동하느냐에 따라 생명의 문제와 직결될 수 있다. 둘째 개와 인간의 정서적, 감정적 교감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인간과 개의 관계 맺음에 있어 친밀한 접촉이 없더라도 인간-개의 서로 바라보기를 통해서도 교감이 충분히 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셋째 오늘날 동물리터러시와 관련하여 중요한 문제는 동물의 문제를 해결하고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이나 목소리를 내는 것이다. 그런데 간난이할아버지는 이를 잘 실천한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신둥이를 위해 최선의 방법을 선택하고 무엇보다도 행동에 옮겨 문제를 해결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동물리터러시라는 개념을 통해 「목넘이 마을의 개」를 새로운 관점으로 이해 할 수 있으며, 동물 문학의 연구 방법 저변을 확대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나아가 인간동물학을 연구하는 데 문학작품이 연구의 토대가 될 수 있는 가능성도 확인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탈문명 시대의 생태적 사유 = The ecological thinking of post-civilization : Loren Eiseley’s relational imagination : 로렌 아이즐리(Loren Eiseley)의 관계적 상상력 이동환 p. 95-131

전시 사회에서 '쳐다보기'의 폭력성과 과학기술문명의 긍정성 재고 = A study on the violence of looking behaviours and rethinking the positiven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display society focused on the film NOPE : 영화 <놉>(NOPE)에 나타난 외계생명체와 인물들을 중심으로 전주희 p. 157-184

문화유산에 대한 니체의 비판적 시각 = Nietzsche’s critical perspective on cultural heritage 김화임 p. 45-68

인류세 시대의 개안(開眼) = Opening of the eyes in the anthropocene : human vis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vision in Richard Powers’s The Overstory : 리처드 파워스의 『오버스토리』에 나타난 인간의 시각과 인공지능의 시각 정나리 p. 185-219

『H 마트에서 울다』를 통해 생각해 보는 음식과 치유의 문제 = Reflecting on the issues of food and healing through Crying in H Mart 한미야 p. 247-268

윤이형의 단편소설 「대니」에 나타난 돌봄 기계와 생태-돌봄의 관계 윤리 = The care machine and the relationship ethics of eco-caring in Yun Yi-hyeong’s short story “Danny” 정연희 p. 221-246

쓰레기-인간의 공생과 돌봄의 윤리 = Waste - human symbiosis and care ethics : 영화 <웨이스트 랜드>를 중심으로 임보람 p. 133-155

J.G.밸러드의 『가뭄』에 나타난 기후위기 시대의 모빌리티와 횡단-신체성 = Mobility and tran-corporeality of the climate crisis era represented in J.G. Ballard’s The Drought 강수진 p. 5-22

'동물리터러시’로 본 「목넘이 마을의 개」의 특징 = Characteristics of “The Dog of Moknumee Village” through ‘animal literacy’ 남진숙 p. 69-94

이문구 소설과 생태환경 문화콘텐츠 제안 = Proposal for Lee Mun-goo’s novels and ecological environmental cultural contents : focusing on GwanchonSupil : 『관촌수필』를 중심으로 김인경 p. 2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