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봉황문 인문보는 조선시대 왕실에서 가례와 같은 중요한 행사에 사용하기 위해 제작된 보자기로 창덕궁유물로 지정되어 국립고궁박물관에 14점이 소장되어 있다. 인문보引紋袱의 일종인 봉황문 인문보는 보자기 중앙에 봉황문양이 그려져 있는 것을 말한다. 인문보는 채색 물감을 이용하여 보자기 위에 다양한 문양을 화려하게 그린 보자기이다.

봉황문 인문보 앞면에는 동물문양, 식물문양, 문자문양, 자연현상문양, 보배문양이 복합적인 형태로 그려져 있다. 시문된 문양에 담긴 복합적인 의미를 분석해본 결과 왕조의 연속성, 자손 번창, 부귀영화, 무병장수 등을 담아 조선 왕실이 추구하는 이상향을 표출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봉황문 인문에 관련된 고 문헌을 살펴본 결과 왕실에서 사용하는 인문보의 제작은 왕의 허가가 있어야 하는 엄격한 절차에 의해 진행되었다. 아쉬운 점은 왕실의 주요한 행사를 기록한 고 문헌에는 수백 장의 인문보가 제작되었다는 기록은 있으나 제작과정에 관련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봉황문 인문보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대부분 궁중보자기를 연구한 학술논문이나 학위논문 속에 일부분으로 다뤄지고 있다. 본 논문은 이들 선행연구와 궁중 복식 연구, 궁중문양 등을 연구한 논문과 단행본,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제공한 봉황문 인문보의 관련 자료와 수장고에서 실물 친견 등을 참고하여 분석하였다.

봉황문 인문보에 시문된 문양 분석은 발생 배경과 함께 각 문양에 담긴 의미를 분석하였고 색채 분석은 동양 전통 오방색과 음양오행 원리에 따른 색채의 상징성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표현 기법 연구는 조선시대의 전통 채색 기법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봉황문 인문보에 담긴 수준 높은 조선시대의 예술적 가치를 증명하였다.

봉황문 인문보의 문양과 색채 및 표현 기법을 분석한 본 논문이 현대 회화와 공예, 디자인, 건축 등의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새롭게 재해석되어 활용하기를 기대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발달장애 자녀 부모의 자아 탄력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Examining the ego resilience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focusing on post-traumatic growth 김서정 p. 129-151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봉황문 인문보의 문양 분석과 색채 및 표현 기법 연구 =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Palace Museum a study on the pattern analysis and color and expression techniques of Bonghwangmun-Inmunbo 배정하 p. 13-44

북헌(北軒) 김춘택(金春澤)의 제주 유배지 삶에 대한 고찰 = The life an examination of Bukheon Kim Chun-taek’s exile in Jeju 고영진 p. 153-188

평보 서희환 한글서체의 형성과정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of Pyeongbo Seo Hee-hwan's Hangul calligraphy 남채현 p. 189-216

벨라 바르톡(Béla Bartók) <현악기·타악기·첼레스타를 위한 음악>에 관한 음악적 특징 분석 = A study on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Bartok Bela, focusing on <Music for Strings, Percussion, and Celesta> 이신이 p. 217-236

한·중 예술가곡 창조 풍격의 차별화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differentiation of the creative style of Korean and Chinese artist songs : focusing on <Majung(마중)> and <Tata-ha's kiss(親吻沱沱河)> : <마중>과 <친문타타하(親吻沱沱河)>를 중심으로 고옥상 p. 237-263

20~30대 국악전공자의 진로장벽과 진로 스트레스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 and career stress of Korean music majors in their 20s to 30s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maturity :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손혜진, 류승완 p. 265-298

실학사상이 반영된 한·중·일 실경산수화 고찰 = A review of real landscape paintings in Korea, China, and Japan that reflect Silhak thought 하영준 p. 299-327

한국에서의 일본어 교육 현황 연구 =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n Korea 바나 p. 45-70

Research on the inheritance and design of Madam Xian's cultural heritage in social innovation = 시안부인의 문화유산 계승과 사회혁신 디자인 연구 He Huanshu p. 71-97

가족 건강성의 다차원 특성이 기혼직장여성의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multi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family health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arried working women 목미란, 김재환 p. 99-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