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스크래치 같은 드래그 앤 드롭 방식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하여 복잡한 도형의 한붓그리기 과제를 해결하는 활동의 교육적 활용가능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주어진 도형이 한붓그리기가 가능한지를 판별하는 문제와 실제로 한붓그리기의 경로를 찾아서, 프로그래밍으로 구현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가 된다. 특히 규칙성을 가지는 복잡한 도형에 대해 한붓그리기가 가능한 규칙적인 경로를 찾고, 이를 프로그래밍으로 구현하는 것은 다양한 수학지식의 융합을 바탕으로 하는 문제해결 역량을 요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각형 관련 도형들, 테셀레이션 관련 도형들, 프랙탈 도형들 중에 한붓그리기와 관련된 문제를 제시하고, 해당 도형의 한붓그리기 프로그래밍 결과를 예시하였다. 또 예시된 문제의 해결과정을 위해 필요한 수학지식과 계산적 사고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수학과 정보가 융합하는 수학교육에 대한 새로운 예시라는 의미를 갖는다.

This study propose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an activity that solves the task of one-stroke drawing of complex figures using a drag-and-drop type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such as Scratch. The problem of determining whether a given shape is capable of one-stroke drawing is a separate problem from actually finding the path of one-stroke drawing and implementing it through programming. In particular, finding a path that allows one-stroke drawing of complex shapes with regularity and implementing it through programming requires problem-solving capabilities based on the convergence of various mathematical knowledge. Accordingly, in this study, problems related to one-stroke drawing concerning polygon-related shapes, tessellation-related shapes, and fractal shapes were presented, and the results of one-stroke drawing programming of the shapes were exemplified. In addition, the mathematical knowledge and computational thinking elements necessary for the solution of the illustrated problem were analyzed.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a new example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that combines mathematics and informatio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수학 교육에서의 온라인 교육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A systematic review on on-line educa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 focused on before and after COVID-19 : COVID19 전후를 중심으로 황선영, 한선영, 조윤진, 정혜진, 이재민 p. 93-120

TIMSS 수학 평가에서 학교급 전환에 따른 학생들의 학업성취 변화 추이 분석 = Analysis of the trend of mathematical achievement of students according to school grade change in TIMSS 권점례 p. 121-144

이중 수사(數詞) 사용에서 나타나는 한국어학습자의 오류 유형 분석 = Analysis of the error types made by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e use of dual numerals 도주원 p. 145-165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내용 체계의 세 범주와 초등학교 1~2학년 수학 교과서 차시명의 연계성 분석 = Analysis of the linkage between the three categories of content system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and the lesson titles of mathematics textbooks for the first and second-grade elementary school 김성준, 김은경, 권미선 p. 167-186

수학 일지 쓰기 활동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수학불안 및 수학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mathematics journal writing on mathematics anxiety and mathematical communication in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유동훈, 최인용 p. 187-213

합동과 대칭의 교수학습에서 오목다각형의 활용에 대한 교과서 분석 = Textbook analysis on the application of concave polygons in congruence and symmetrical teaching and learning 강윤지 p. 215-230

텍스트 코딩을 활용한 중등수학 모바일 콘텐츠 개발 연구 = Mathematics & coding mobile contents for secondary education 이상구, 이재화, 남윤 p. 231-246

프로그래밍을 이용한 복잡한 도형의 한붓그리기 문제의 교육적 가능성 탐색 = Exploration of the educational possibilities of one-stroke drawing problems of complex figure using programming 정용욱 p. 247-261

고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공학 도구 활용 현황 분석 = An analysis of the use of technology tools in high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based 오세준 p. 263-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