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에서는 민요가 통속이 지닌 중층적 함의를 대표적으로 구현하는 문예적 대상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민요를 둘러싼 정치와 통속성의 착종에 대해 밝히려 한다. 이를 위해 근대 이후 민요를 둘러싼 담론의 각축 속에서 수행해 온 문화적 실천의 과정을 살피고자 한다. 통속은 일반적으로 광범위한 사람들에게 용인된 관례나 풍속이라는 의미에서 출발하였지만, 수용층의 문화적 교양을 문제 삼으면서 ‘저속’이나 ‘천속’의 의미로 폄하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전통적으로 민요는 아속의 질서 내에서 ‘풍’ 혹은 ‘풍속’의 일부로 존재하면서, ‘관풍’이라는 제도적 장치를 통해 아속을 매개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즉 민요는 ‘민요’라는 명명을 얻기 전부터 통속의 정치를 수행해 왔던 것이다. 민요가 그 기반이었던 생활 현장을 떠나 흥행을 위한 노래로 각광 받기 시작하면서, 민요는 풍속을 해치는 통속적 노래라는 이유로 배격과 극복의 대상이 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국가건설을 위한 정념이 뜨겁게 분출되었던 20세기 벽두와 민요의 수용과 활용을 둘러싼 담론과 실천의 각축이 다양하게 펼쳐졌던 1920·30년대로 시선을 돌려 민요가 지닌 중층적 위상을 탐색하고, 이것이 민요의 통속성을 바라보는 시선과 무관하지 않다는 점을 규명하려 한다. 민요가 태생적으로 지닐 수 밖에 없었던 통속성과 정치적 활용 간의 딜레마를 통해 ‘가장 통속적이면서, 가장 정치적인’ 민요를 둘러싼 다양한 실천에 대해 해명하는 단초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고전시가의 통속성과 그 사회문화적 배경 고찰 = Examination of the commonality and socio-cultural background of classical Korean poetry 황병익 p. 7-63

통속의 정치와 민요 = The politics of ‘Tongsok(通俗)’ and folk songs 박애경 p. 65-102

판소리 서사 통속화의 의미 = The meaning of Pansori narrative’s popularization : the affirmation of everyday life and the popularization and appropriation of Confucianism : centered on <Chunghyangga> : 일상의 긍정·유교의 통속화와 專有 : <춘향가>를 중심으로 서유석 p. 103-138

권호문의 은거 동인과 <閑居十八曲>의 창작 동인 = Kwon Ho-mun’s hermit life motivation and creative motivation of <Hangeosippalgok(閑居十八曲)> 전상은 p. 141-165

‘남학가사’ <나옹화상셔왕가라> 연구 = Study on Namhak Gasa <NaonghwasangSeowanggara> 김기종 p. 167-194

<창란호연록>에 나타난 도덕적 감정으로서의 수치심 = Shame as a moral emotion in Changranhoyeonrok 고은임 p. 195-227

<宗生傳>의 인물 형상과 서사구조 = The characterization and narrative structure of Jong-saeng-jeon : focusing on the succession and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romantic Jeongisoseol : 애정전기소설의 계승과 변용을 중심으로 유해인 p. 229-264

세책본 계열 <김원전>의 특징과 의미 =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novels for lending edition of Kim Won Jeon 최현민 p. 265-295

『分類杜詩考證』의 편찬과 주해 방식 = The compilation and annotation method of <Bullyudusigojeung> 정우봉 p. 297-344

민담 구성요소 간 관계의 네트워크 시각화 방안 시론 = A preliminary study on network visualization of relationships among folk tale components : focusing on the Fox Sister tale : <여우누이>를 대상으로 김준희 p. 345-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