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research on the influence upon the user satisfaction by the special makeup contents features and the influencer characteristics.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under 7 research hypotheses. The research subjects included totally 308 people with 152 men and 156 women by gender.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watched the special effects makeup contents. As a result, the following are the hypothesis adoption verification results by sub-factor. Among 5 sub-factors of the special makeup contents features, 2 element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user satisfaction. Even as for the effect on commitment, 2 factors out of 4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user satisfaction, 2 factors had 3 elements among 4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user satisfaction, 2 factors had a positive influence upon the flow degree. Whit regard to the impact of the influencer characteristics on commitment, 2 thing out of 4 factors had a positive effect, Resultingly, the flow degree appear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user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 in consequence of having figured out the mediation effect of commitment when the special makeup contents features affect the uset satisfaction, all four detailed hypotheses were rejected. As to the mediating effect of the flow degree when the influencer characteristics have an impact on the user satisfaction, 2 things among 4 detailed hypotheses were adopted. Consequentially, in relation to the special makeup contents features, the reliability and the information had an influence upen the user satisfaction. But the information and the entertainment had an effect on the flow degre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ICT기반의 기업-소비자 연동 패션콘텐츠 모델제안 = Proposal of ICT-based linked Hanbok and fashion contents for enterprises and consumers model 이병화 p. 5-19

분장 콘텐츠와 인플루언서 특성이 콘텐츠 이용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upon the user satisfaction by the special effects makeup contents features and the influencer characteristics : the mediating effect of flow degree : 몰입도의 매개효과 황선희, 최진은 p. 21-35

18세기 후반 평안감영 외관직 복식 고찰 = A study of external officers' costumes of Pyeongan Gamyeong in the late 18th century : focusing on the Welcoming Banquet for the Governor of Pyeongan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평안감사향연도》를 중심으로 김미경 p. 37-60

전통 직물의 기하무늬를 활용한 그랜파코어(granpacore) 감성의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granpacore textile design using the geometric patterns of traditional textiles 김지연, 김정아 p. 61-81

여성용 기능성 요실금 팬티 착의 평가 = Wearing evaluation of women's functional incontinence panties 차수정 p. 83-99

조선 시대 궁중 보자기를 활용한 디지털 패션디자인 개발 = Development of digital fashion design utilizing the Gungjung-bojagi of Joseon Dynasty 신하람, 염미선 p. 101-116

박규수의 『거가잡복고(居家雜服考)』에 나타난 방령심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Bangryeongsimui in the Park Gyu-Su's 『Geogajapbokgo(居家雜服考)』 이영주 p. 117-142

블랙핑크 신한복 패션을 중심으로 메타버스 플랫폼 한복 아이템 선호도와 구매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reference and purchasing factors of Hanbok on the metaverse platform with a focus on Blackpink's Shinhanbok 박소윤, 김은정 p. 143-155

조도센서와 LED를 적용한 기능성 의상 제작 연구 = A study on producing functional clothing using illuminance sensors and LEDs : focused on hand warmers : 핸드워머를 중심으로 권유미 p. 157-175

참고문헌 (1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오픈서베이 소셜미디어 검색포털 트렌드 리포트 2023 [2023.08.10.검색], https://blog.opensurvey.co.kr/trendreport/socialmedia-2023/ 미소장
2 오픈서베이, 소셜미디어, 검색포털 트렌드 리포트 2023 [2023.08.10.검색], https://docs.opensurvey.co.kr/report/opensurvey_trend_socialmedia_2023.pdf 미소장
3 임승연ㆍ한지수(2022), Z세대 미용인의 분장 영상 콘텐츠 관심도와 만족도에 대한 연구 –OTT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12(2). 233-243. 미소장
4 C. Lou ㆍ S. Yuan (2019), Influencer marketing:How message value and credibility affect consumer trust of branded content on social media. Journal of Interactive Advertising 19(1), 58-73. https://doi.org/10.1080/15252019.2018.1533501. 미소장
5 김수지ㆍ김은실(2023), 분장 1인 방송 콘텐츠의 선호도 분석, 한국의류산업학회지 25(3). 366-378. https://doi.org/10.5805/SFTI.2023.25.3.366. 미소장
6 정효준(2022), 유튜브 관광콘텐츠 정보 특성이 만족도, 방문의도, 정보공유 의도에 미치는 영향:구전정보 수용여부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7 신지민(2020), 여행 유튜브 속성이 몰입, 지속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유튜브 사용자의 감각추구성향, 인지욕구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8 김윤경(2020), 유튜브(YouTube)의 특성이 구매의도와 자발적인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사회적 실재감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9 R. Ohanian(1990),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celebrity endorsers’ perceived expertise, trustworthiness, and attractiveness. Journal of Advertising 19(3), 39-52. https://doi.org/10.1080/00913367.1990.10673191. 미소장
10 무범기(2021), 인플루언서 특성이 라이브 스트리밍 커머스에서 중국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1 엥흐바트 노민(2022), 인플루언서와 콘텐츠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몽골 소비자들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2 차윤주(2023), 소셜미디어 인플루언서의 특성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모방의도의 매개효과와 콘텐츠에 대한 인식의 조절효과, 한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3 왕덕가(2023), 가상 인플루언서 특성이 SNS이용자의 모방욕구와 구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4 권미정(2020), 뷰티 유튜브 채널구독 이용동기가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영상길이에 따른 조절효과 및 채널구독특성에 따른 매개변수 분석,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5 이희지(2022), 뷰티 유튜브 콘텐츠 특성 및 뷰티 유튜버 특성이 뷰티유튜브콘텐츠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6 R P. BagozziㆍY. Yi(1988),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6(1), 74-94. https://doi.org/10.1007/BF02723327. 미소장
17 J.F Hair et al(2006), Multivariate data Analysis (Vol.6), Upper Saddle River. NJ:Pearson Prentice Hall, 360-418. 미소장
18 Kline. R.B(2016),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ird Edition, New York: The Guilford Publications. 74-77. 미소장
19 M. Reuben et al(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