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제주 방사탑을 통해 본 풍수적용의 지역적 특수성 = Regional specificity of feng shui application seen through Jeju Bangsa Tower : comparative perspective with stone pagodas on mainland : 육지 돌탑과의 비교관점 천인호 p. 7-48

「태일생수(太一生水)」의 디지털인문학적 연구 = A study of the Taiyi sheng shui through digital humanities : focused on the comparison with the Taiji tu shuo : 「태극도설(太極圖說)」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학재 p. 49-79

陰陽五行의 生剋制化에 의한 病因과 그 和解方案에 관한 硏究 = A study on the etiology and reconciliation plan by the SaengGeukJeHwa (生剋制化) of yin-yang five-elements 최미숙, 김일환 p. 81-112
『육임신과금구결』의 이론체계와 그 성격 고찰 = A study on the theory structure and character of 『Liurenshenkejinjujue』 이수동 p. 113-139
甲骨卜辭의 유형화 硏究 = A study on the types of oracle bone scripts 최명자, 최정준 p. 141-168
한국식 奇門書 『홍연진결(洪烟眞訣)』연구 = A study on the book of Korean-style Qimen(奇門) ‘Hongyanjinjue (洪烟眞訣)’ 서미선 p. 169-199
자살 충동 조현병 증상의 명리학적 이론 고찰 = A study on the Myeong-ri characteristics of suicide impulse schizophrenia symptoms 정현미 p. 201-224
민간회화로서 무화(巫畵)의 예술적 가치 = The artistic value of shaman painting as folk painting : focusing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images : 이미지의 미적 특질을 중심으로 한유진 p. 225-260

현대 도시 무속촌의 형성과 무속의 혼종 = The formation of modern urban shaman villages and the hybridity of shamanism : focusing on the shaman village around Jungnangcheon in Uijeongbu City : 의정부시 중랑천변 무속촌을 중심으로 김태우 p. 311-352
20세기 한국 성리학의 함축과 전망 = The implications and outlooks of Korean Neo-Confucianism in the 20th century : with a focus on Iljae Jeong Hong-chae : 일재 정홍채를 중심으로 서영이 p. 353-377

여왕의 탄생, 그 시대적 불(佛)⋅문(文)⋅율(律) = The birth of the queen, the era of Buddhism⋅culture⋅law : focusing on the appearance of Suiko⋅Seondeok⋅Wu Zetian : 동아시아 불교⋅문화⋅율령의 관점에서 본 스이코⋅선덕⋅무측천의 등장 이영숙 p. 261-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