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청소년의 알레르기질환과 정신건강실태를 파악하고 알레르기질환과 정신건강의 관련성을 확인하여 발달단계 청소년의 효율적인 질환 관리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제17차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 자료를 이차분석하였으며,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복합표본 기술통계, 교차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알레르기질환을 하나 이상 가진 경우 스트레스 1.286배(B=1.286, p<.000), 우울 1.289배(B=1.289, p<000), 범불안장애 1.399배(B=1.399, p=.000) 경험할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알레르기질환을 가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경제적 수준, 학업성적, 음주경험, 흡연경험 이었다. 스트레스와 범불안장애는 여학생이, 경제적 수준과 학업성적이 낮을수록, 음주와 흡연을 한 경우 경험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우울은 남학생이, 경제적 수준과 학업성적이 높을수록, 음주와 흡연을 하지 않은 경우 경험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시기의 알레르기질환과 이로 인하여 발생 가능한 정신건강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효과적인 전략을 수립하여 실질적인 접근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status of allergic diseases and mental health in adolescents,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allergic diseases and mental health, and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effective disease management measures for adolescents at the developmental stage. Secondary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data from the 17th Youth Health Behavior Online Survey, and complex sample descriptive statistics, cross-tabulation,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6.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those with one or more allergic diseases were 1.286 times more likely to have stress (B=1.286, p<.000), 1.289 times more likely to be depressed (B=1.289, p<.000), and 1.399 times more likely to have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B=1.399, p<.000) was highly likely to experience it. Additionally, factors affecting the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with allergic diseases were gender, economic level, academic performance, drinking experience, and smoking experience. Stress and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were more likely to be experienced by female students, if they had a lower economic level and academic performance, and if they drank alcohol or smoked. Male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depression if their economic level and academic performance were higher, and if they did not drink alcohol or smoke. Based on these results, we hope to establish a practical approach by establishing effective strategies to manage allergic diseases in adolescents and the mental health conditions that may arise from them.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활용한 지능형 CCTV 플랫폼의 편익 추정 연구 = A study on valuation of intelligent CCTV platforms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CVM) 김태균, 심동녘 p. 1-13

등산스틱에 적용 가능한 고효율 발전기 구현 = Implementation of high efficiency generators applicable to climbing sticks 방걸원 p. 15-21

개인-조직적합성 연구 동향 분석 = Analyze research trends in person-organization fit : focusing on SCOPUS DB : SCOPUS DB를 중심으로 김재붕 p. 23-30

노인 일자리 창출 모델로서 스포츠협동조합의 활용방안 =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sports cooperatives as a model for creating jobs for the elderly 김정동, 박성태 p. 31-41

요통을 가지고 있는 일반인에게 적용된 두 가지 테이핑 방법의 효과 비교 연구 =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s of two taping methods applied to patients with low back pain 조일영 p. 43-48

(A) pedagogical study on the conflict experiences of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 중학교 체육교사의 갈등경험에 관한 교육학적 연구 Seung-Yong Kim p. 49-59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내부고객지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Exploratory study on the internal customer orientat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신숙경 p. 61-68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성 소수자에 대한 인식 = Awareness of sexual minorities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in graduation year 염은이 p. 69-79

알레르기질환 청소년의 정신건강 = Mental health in adolescents with allergic disease : using data from the 2021 Korean Youth’s Health Behavior Online Survey : 2021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 활용 서영선, 조수미, 서은주 p. 81-91

(The) impact of professional self-concept on th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hospital nurses = 전문직 자아개념이 병원간호사의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Su-Hee Oh, Youngshin Song p. 93-102

부모의 지지가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arent’s support on school adaptation of immigrant adolescents :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moderating effect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및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조절효과 따브카, 조혜정 p. 103-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