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글은 보편적 돌봄과 그런 돌봄을 위한 연대라는 시대적 요청을 어떻게 수용할 것인지의 문제를 다룬다. 돌봄이 시대의 화두가 되었다. 그것은 돌봄이 위기에 처했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해법으로 종종 인식틀의 전환이, 다시 말해 우리 사회를 지탱하고 있는 체제와 그런 체제를 내면화하고 있는 우리의 인식을 바꿔야 한다고 요청되곤 한다. 그런 요청의 실천적 방안들은 아울러 주체성 강화를 요구한다. 이 글은 이러한 요청의 화용론적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모두에게 행동할 것을 요청하는 일은 때때로 아무도 나서지 못하게 할 수도 있거나 과잉된 자기 주장으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 따라서 돌봄의 요청이 실천적 힘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이념적 선명성만이 아니라 현실의 조건에 대한 세심한 고려가 필요해 보인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 상황을 주체성의 빈곤이라는 또 다른 문제 상황과 연결해 드러내 보이고자 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Transformation and education to an inclusive community from Hegel’s dialectical perspective Christian Hofmann p. 1-32
인식틀 전환의 화용론적 효과 = A pragmatical effect of the transition of framework : the deficiency of subjectivity and the care problem : 주체성의 빈곤과 돌봄 문제 박승억 p. 51-70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The politics of life in the post-COVID-19 era : an intersectional perspective on immunity and vulnerability focusing on healthcare and public health : 의료와 공중보건을 중심으로 황임경 p. 71-100

서울가정법원의 소년법원적 기원과 비인간화의 기술 = The origins of the Seoul Family Court as a juvenile court and techniques of dehumanization : focusing on “therapeutic justice” as applied to juvenile delinquency and divorce mediation : 소년비행 및 이혼 조정에 적용된 ‘치료적 사법’을 중심으로 김대현 p. 101-144

할리우드 SF 영화 속 반-아시아 인종주의 담론 비판 = Critique of anti-Asian racism discourse in Hollywood sci-fi films : focusing on the film <The Creator>(2023) : 영화 <크리에이터>(2023)를 중심으로 김혜윤 p. 145-171
소설 「철도원」에 나타난 이항 대립적 구도와 그 의미 연구 = A study on the binary confrontational structure in novel 「Railroad Man」 and its signification 김경회 p. 173-201
둘만의 에고이즘 = Egoism of two : the paradoxical meaning of eros in Totality and Infinity : 『전체성과 무한』에서 에로스의 역설적 의미 김동규 p. 203-238
마을아카이브 활동을 통한 마을공동체 성장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growth of communities through village archive activities : focusing on Haebangchon in Yongsan : 용산 해방촌을 중심으로 송안나 p. 239-274

한국어교육 전공생을 위한 진로교육의 방향성 = The direction of career education for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based on the situation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수도권 소재 교육대학원의 상황을 바탕으로 이윤진 p. 275-301
게이 뮤직비디오, 게이 포용과 재현 전략 = The rhetoric of gay inclusiveness in South Korean gay music videos 조진희 p. 303-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