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글은 과학기술학(STS) 분야에서 출발해, 매체학, 도시학, 개발학, 인류학, 지리학, 환경 인문학,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학제적 주목을 받은 기반 시설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멀게도 느껴지는 기반 시설을 친근하게 탐구해 볼 생태적 역사학의 가능성을 고민해 본다. 기반 시설은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의 번역어로, 사람, 물, 에너지, 자원, 정보, 상품 등 지구상 모든 것을 유통하는 거대한 과학 기술 체제를 일컫는다. 공학 책, 개발 기획, 경제 기사에서나 다뤄지던 기반 시설에 인문학적 관심이 쏟아지는 이유는 굳건할 것만 같던 기반 시설이 위태롭기 때문이다. 시공간의 제약이나 힘든 노동으로부터의 해방을 내걸며 20세기 전후로 등장한 철도, 전신, 상하수도와 같은 기반 시설은 노후화와 기후 변화, 신기술 도입과 민영화라는 다중 압박 속에 곤경을 겪고 있다. 이 글은 도시의 싱크홀이 무너지고, 지하도로 침수로 인명 피해가 나고, 산불로 인한 정전과 단수가 이어지며, 이상한 고속 도로와 적자 공항이 지어지는 기반 시설의 생태적, 사회적 곤경을 지구적 차원에서 짚어보고, 기반 시설에 대한 논의가 갖는 세 가지 학문적 가능성을 고민해 본다. 첫째는 기반 시설의 물질적 실체성에서 비롯되는 ‘물질적 전회(material turn)’와의 확장적 접속 가능성이다. 둘째는 해방을 약속한 근대 기반 시설의 복잡한 실제 궤적을 살펴봄으로써 근대 시공간을 더 자유롭게 횡단할 가능성이다. 셋째는 자연과 사회가 얽힌 기반 시설의 특성에 기대어 인공과 자연이 더 잘 조화된 사회생태 기간망(socioecological backbone networks)으로서의 기반 시설을 탐구할 생태 역사학적 가능성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동학의 ‘수도’와 ‘개벽 운동’ = Donghak (東學) training and the Gaebyeok movement : a Buddhist perspective : 불교적 관점을 중심으로 정혜정 p. 7-47

‘철학’과 조우한 조선 지식인의 자기 이해와 변화 = The transformation of a Joseon intellectual through his encounter with Western philosophy : Jeon Byeonhun's Jeongsin Cheolhak Tongpyeon : 전병훈, 『정신철학통편』의 문제의식을 중심으로 백민정 p. 49-95

염상섭 문명비평 사상의 기본 성격 = The civilizational criticism of Yeom Sang-seop : 1920년대 작품과 비평을 중심으로 강경석 p. 97-132

인류세 시대의 신동엽과 개벽 사상 = Shin Dong-yeop and Gaebyeok in the anthropocene 황정아 p. 133-161

일제 강점기 영등포 지역의 장소성과 젠더 = Place identity and gender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Yeongdeungpo textile factories of the 1930s : 1930년대 방적 여성 노동자를 중심으로 예지숙 p. 163-194

가(歌)·요(謠)·곡(曲)의 해부학 = An anatomy of song (歌), ballad (謠), tune (曲), and ditty (唄). 1, The terminology of popular music during the early modern age in Korea and Japan. 1, 근대 조선과 일본에서 대중음악의 용어들에 대한 고찰 신현준 p. 195-238

자유를 통한 노동 개입 = Legal intervention in labor disputes : controlling labor through modern civil law : 근대 시민법과 현대적 법치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자유와 노동의 관계를 중심으로 박홍근 p. 239-275

개념의 의미 지평에 대한 다원적 접근법 = A pluralistic approach to the semantic horizon of concepts : W.B. Gallie's 'essentially contested concept' : W.B. 갤리의 ‘본질적으로 논쟁적인 개념’을 중심으로 김민혁 p. 277-316

기반 시설, 혹은 사회생태 기간망을 통한 생태적 역사학 = Infrastructure as a socioecological backbone network, for ecological histories 이정 p. 317-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