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글에서는 대순사상의 공사(公私) 개념에 나타난 종교적 함의에 대한 논의를 다루었다. 이를 위해 논자는 먼저 동양 전통의 공ㆍ사 개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대순사상에서는 동양 전통의 공ㆍ사 개념 중에 어떠한 내용이 강조되고 있는지 검토한 후 그 종교적 함의를 논하였다. 동양 전통에서 보면, 공과 사는 크게 세 가지 의미가 있다. 이는 ①지배권력과 기구로서의 ‘공’과 개인 영역으로서의 ‘사’, ②공동의 이익과 의견으로서 ‘공’과 개인의 이익과 의견으로서의 ‘사’, ③공정한 윤리 원칙으로서의 ‘공’과 불공정한 비도덕적 의미로서의 ‘사’ 등의 의미이다. 이중 대순사상에서는 윤리 원칙과 비도덕적인 측면의 공ㆍ사 개념이 강하게 나타난다. 그리고 대순사상에서 공ㆍ사를 구분하여 수행하는 것은 후천선경이라는 대순진리회가 지향하는 새로운 삶의 질서를 열어가는 중요한 방법이 된다. 사를 억제하고 공을 지향하는 대순사상의 공사론(公私論)은 도덕의 실천을 통해 자신을 변혁하며 증산이 제시한 후천선경에 참여할 수 있는 수행의 견고한 방안이라 할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religious implications of the concept of public (gong, 公) and private (sa, 私) affairs as presented in Daesoon Thought. To achieve this, the article first explores the three main meanings of gong and sa in the East Asian tradition: ①gong as ruling powers or institutions and sa as the personal sphere, ②gong as communal interests or opinions and sa as individual interests or opinions, and ③gong as fair ethical principles and sa as unfair, immoral intentions. The analysis reveals that Daesoon Thought strongly emphasizes the conceptualization of gong and sa in terms of ethical principles and immoral aspects. The practice of distinguishing between gong and sa is seen as an important way to open up the new order of life, called the Earthly Paradise of Later World, that Daesoon Jinrihoe aims to achieve. Daesoon Thought’s theory on public versus private, which restrains the private (sa, 私) and prioritizes the public (gong, 公), provides a solid framework for self- transformation through moral practice, enabling participation in the Earthly Paradise of Later World envisioned by Jeungsan, the originator of Daesoon Jinrihoe’s teachings.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