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글에서는 대순사상의 공사(公私) 개념에 나타난 종교적 함의에 대한 논의를 다루었다. 이를 위해 논자는 먼저 동양 전통의 공ㆍ사 개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대순사상에서는 동양 전통의 공ㆍ사 개념 중에 어떠한 내용이 강조되고 있는지 검토한 후 그 종교적 함의를 논하였다. 동양 전통에서 보면, 공과 사는 크게 세 가지 의미가 있다. 이는 ①지배권력과 기구로서의 ‘공’과 개인 영역으로서의 ‘사’, ②공동의 이익과 의견으로서 ‘공’과 개인의 이익과 의견으로서의 ‘사’, ③공정한 윤리 원칙으로서의 ‘공’과 불공정한 비도덕적 의미로서의 ‘사’ 등의 의미이다. 이중 대순사상에서는 윤리 원칙과 비도덕적인 측면의 공ㆍ사 개념이 강하게 나타난다. 그리고 대순사상에서 공ㆍ사를 구분하여 수행하는 것은 후천선경이라는 대순진리회가 지향하는 새로운 삶의 질서를 열어가는 중요한 방법이 된다. 사를 억제하고 공을 지향하는 대순사상의 공사론(公私論)은 도덕의 실천을 통해 자신을 변혁하며 증산이 제시한 후천선경에 참여할 수 있는 수행의 견고한 방안이라 할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religious implications of the concept of public (gong, 公) and private (sa, 私) affairs as presented in Daesoon Thought. To achieve this, the article first explores the three main meanings of gong and sa in the East Asian tradition: ①gong as ruling powers or institutions and sa as the personal sphere, ②gong as communal interests or opinions and sa as individual interests or opinions, and ③gong as fair ethical principles and sa as unfair, immoral intentions. The analysis reveals that Daesoon Thought strongly emphasizes the conceptualization of gong and sa in terms of ethical principles and immoral aspects. The practice of distinguishing between gong and sa is seen as an important way to open up the new order of life, called the Earthly Paradise of Later World, that Daesoon Jinrihoe aims to achieve. Daesoon Thought’s theory on public versus private, which restrains the private (sa, 私) and prioritizes the public (gong, 公), provides a solid framework for self- transformation through moral practice, enabling participation in the Earthly Paradise of Later World envisioned by Jeungsan, the originator of Daesoon Jinrihoe’s teaching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대순진리회의 시간관 연구 = A study on Daesoon Jinrihoe’s view of time. 2, Focusing on re-calibrated and governed time. 2, 재조정되고 통치되는 시간을 중심으로 차선근 p. 1-52
고불선원 신종교 관련 자료 연구 = Study on new religious materials preserved at Gobulseonwon Monastery 박병훈 p. 53-92
문화생태주의에서 본 대순사상의 천지공사와 지상선경의 경계 =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in Daesoon thought and the horizon of the earthly paradise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ecologism : focusing upon the sustainable gaze of dissolution and reconciliation : 해소와 화해의 지속가능한 시선 김연재 p. 93-125

증산사상(甑山思想) 형성에 미친 지역적 영향원(影響源)으로서의 농악·당산제에 관한 사례적 고찰 = A case study on Nongak and Dangsanje as regional sources of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Jeungsan thought : focused on Jeongeup City, Jeonbuk-do province : 정읍지역을 중심으로 허정주 p. 127-156

제화시에 나타난 용(龍)의 표상과 그 의미 = The dragon symbol and its meaning in the painting poetry 박혜영 p. 157-186

대순진리회 템플스테이 전망 고찰 = A vis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Daesoon Jinrihoe’s temple stay 주소연 p. 187-227

북어는 액막이 부적인가, 행운의 부적인가? = Was dried pollack a talisman against evil or for good luck? : an examination of the socio-economic origins of the magical symbolism of dried pollack : 북어의 주술적 상징성의 사회경제적 기원에 관한 고찰 심형준 p. 229-263

변화의 시대, 인문학적 변화 연구와 방법에 대한 고찰 = In a time of change : reflections on humanities research and methodologies 김덕삼 p. 265-294

정재학파 조긍섭과 한주학파 곽종석의 심론 고찰 = A study on the mind theory of the Jeongjae school of Cho Geung-seop and the Hanju school of Kwak Jong-seok 안유경 p. 295-329

대순사상의 공사론(公私論)에 나타난 종교적 함의 = The religious implications of the concepts of public and private affairs in the Daesoon thought 최정락 p. 331-364

당 태종 ‘정관(貞觀)의 치’와 가정(苛政) = The burden of the population and people during the reign of Tang Taizong before his invasion of Goguryeo in 645 : 645년 고당 전쟁 이전 조세·요역 수탈의 실상 최진열 p. 365-399

고시조(古時調)에 수용된 ‘바람’의 양상과 역할 = The aspects and meaning of “wind” accepted in Sijo 변승구 p. 401-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