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음주규범과 음주기대는 음주행동을 설명하는 중요 사회심리적 요인이지만 이들 간의 관계에 대한 국내 관심은 부족한 편이다. 음주규범이 음주행동에 영향을 미칠 때 음주기대가 매개하는지를 검토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2017년 보고된 ‘우리나라 국민의 음주행태 심층 조사’ 원자료를 바탕으로 전국에 거주하는 19~79세 성인 3,000명으로 최소자승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음주행동은 일 년 동안 마신 총 알코올소비량으로 조작화하였으며 이는 계층적 주량 빈도 측정법으로 추정하였다. 음주규범은 상황별 음주규범으로 측정하였고 음주기대는 긍정음주기대와 부정음주기대로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음주규범은 알코올소비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음주기대는 음주규범과 음주행동 사이를 부분 매개하였다. 음주규범은 긍정음주기대와 긍정적인 관계이었던 반면 부정음주기대와는 부정적인 관계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음주폐해 예방 사업의 효과성 제고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음주규범과 음주기대는 서로 독립적으로 음주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상호 작용을 하면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는 실질적인 대안을 제시하였다.

Although drinking norms (DN) and alcohol expectancy (AE) are major psycho-social factors explaining drinking behaviors (DH), not enough attention has been given to describing their relationship in Korea. This study aims to examine AE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E and DH. Data were drawn from a national representative sample of 3,000 adults aged 19-79 collected in 2017, and partial least squares path analyses were employ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under study. Alcohol consumption (AC) in the previous year, representing DH, was estimated using a graduated quantity-frequency method. DN measured the acceptability of the likelihood of drinking alcohol in specific situations. A brief version of alcohol effects was used to measure two dimensions of AE: positive alcohol expectancy (PAE) and negative alcohol expectancy (NAE). The results showed that D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C, and AE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s of DN on AC. D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AE, while it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NAE.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se psycho-social factors are interrelated, and the effectiveness of preventive interventions to prevent alcohol-related harms would be enhanced by considering the interaction between DN and AE rather than treating them separately in planning.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가구분화에 따른 노인가구의 빈곤 및 소득불평등 추정과 정책 방향 = Estimation of the elderly poverty rate due to household separation and policy response 강성호 p. 4-29

성인 화상 생존자 보호자의 의료기관 기반 사회복지서비스 욕구 = Hospital-based social welfare service needs among caregivers of adult burn survivors 황세희, 박소영 p. 30-49

5세 미만 영유아 세부시기별 사망위험요인과 사망원인 분석 = A study on risk factors for death and the causes of death in infants (12 months old or younger) and toddlers (1-4 years old) : based on Statistics Korea’s birth-and-death data on infants under the age of 5, 2012~2015 : 통계청 5세 미만 영유아 출생사망연계자료를 활용하여(2012~2015년) 박상희 p. 50-66

이주민 가족의 사회통합을 위한 법제도 검토 = Review of legal framework for social integration of immigrant families : focus on childcare and suppor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single-parent family support : 영유아 보육 및 장애인, 한부모가족 지원을 중심으로 장주영, 김희주 p. 67-84

사회복지 실천현장의 ICT 활용 의도에 영향을 주는 조직 요인 분석 =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factors on the intention to use ICT in social work practice 신준섭, 신유선, 양호정 p. 85-107

지역약국 신규 도입 서비스에 대한 재정 분석 = Financial analysis of new specialty services provided by community pharmacy pharmacists 최한실, 권순홍, 황태원, 이진형 p. 108-128

사회서비스 공급기관 규모화와 사업체 특성 변화 연구 = Scaling-up in social service sector and changing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함선유, 안수란, 하태정 p. 129-153

의료사회복지사의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work engagement of medical social worker :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perspective : 직무요구-자원 모형을 중심으로 유진선, 이유진, 공보경 p. 154-177

음주규범이 음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음주기대의 매개효과 = Drinking norms and drinking behavior : alcohol expectancy as a mediator 박정선, 손창우, 김광기 p. 178-196

팬데믹의 인식과 대응이 지역주민의 신체활동과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perception and respond to pandemics on residents’ physical activity and social capital 정현 p. 197-217

초기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공감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on empathy in early adolescence : serial mediating effects of maternal attachment and self-esteem : 모애착과 자아존중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이상미 p. 218-238

우울장애 진단-자살사망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duration between diagnosis of depressive disorder and suicide 성근혜, 최진화, 이동현, 황태연 p. 239-255

비영리 모금기관에 대한 인식과 기부 행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of nonprofit charitable organizations and giving behavior 최성언, 최수빈, 강다은 p. 256-280

자립지원전담인력의 주체성 지향 <자립지원 사례관리> 실천을 위한 실행연구 = An action research on the practice of independence support workers’ agency-oriented <Independence Support Case Management> 정선욱, 임세희, 이상정, 윤수경 p. 281-310

부모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자녀의 스마트폰 의존도의 전이관계 = The latent transition analysis of smartphone dependency from parents to children 안선경, 정익중, 강진아, 김소연 p. 311-335

가족돌봄청년 일상의 재구성과 정서적 경험 = Young carer’s reconstruction of everyday life and emotional experiences 노혜진 p. 336-359

토픽모델링과 의미연결망을 이용한 국내 언론의 마약 보도 주제와 경향 분석 = Topic model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themes and trends of news reports on drugs in South Korea 백혜진, 정유미 p. 360-380

청소년의 여가활동과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에 관한 종단연구 = A longitudin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ctivities and subjective happiness among adolescents 신성희, 이선우 p. 381-402

다자녀정책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awareness of the multi-child policy : topic modeling analysis of comments on news articles about the multi-child policy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다자녀정책 뉴스 기사의 댓글 분석 배혜원 p. 403-429

부산시 소지역 주민참여 건강사업의 형성과 발전 과정 =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community participatory health programs in Busan : fifteen years of the healthy Bansong project : 건강반송사업 이후 15년 윤태호 p. 430-449

참고문헌 (5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광기, 오세현, 제갈정. (2019). 우리나라 성인의 간접음주폐해 경험정도와 관련 요인. 보건과 사회과학, 0(52), 161-180. 미소장
2 김광기, 제갈정, 권용미, 박민수. (2012). 지역사회의 환경적 특성이 개인의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수준분석.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9(5), 103-113. 미소장
3 김광기, 제갈정, 이지현, 최민주, 조화연. (2017). 우리나라 국민의 음주행태 심층조사. 질병관리본부,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소장
4 김광기, 제갈정, 최민주, 조화연. (2023). 국민건강영양조사 기반의 음주 심층분석 연구. 질병관리청,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소장
5 김광기, 최승희, 방형애. (2005). 서울시 직장인 음주행동 및 사업장 절주환경 실태조사 보고서. 인제대학교 음주연구소, 서울특별시. 미소장
6 김대수. (2013). 직장인의 음주기대와 음주행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음주동기의 매개효과 검증. 알코올과 건강행동연구, 14(2), 81-96. 미소장
7 김대수, 이재훈. (2013). 직장인의 음주규범 및 태도와 음주행위 간의 관계 [음주동기의 매개효과]. 한국경영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3(12), 1-24. 미소장
8 김명순, 김광기. (2004). 직업관련 특성이 여성의 음주소비에 미친 영향.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1(1), 1-23. 미소장
9 박은영. (2005). 알코올기대 반박개입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5(1), 458-459. 미소장
10 박은영. (2017).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 알코올기대의 매개효과와 대처반응의 조절효과. 스트레스硏究, 25(4), 265-271. 미소장
11 손애리. (2019). 성인의 음주규범과 음주동기 척도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알코올과 건강행동연구, 20(1), 1-11. 미소장
12 신행우. (2009). 대학생 음주규범 지각과 음주 및 음주문제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4), 871-890. 미소장
13 이정림, 김형태, 김선영, 윤미은, 천성수. (2015). 대학생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음주효과기대, 음주자제이유가 문제음주에 미치는영향.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16(1), 83-92. 미소장
14 이지현, 제갈정, 김광기. (2017). 여성 직장인의 음주폐해 영향요인 탐색. 알코올과 건강행동연구, 18(1), 1-13. 미소장
15 이희종, 제갈정. (2002). 직장인 음주문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조사연구. 고양: 한국음주문화센터. 미소장
16 정준수. (2022).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성년과 중년 남녀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3(1), 105-133. 미소장
17 제갈정, 김광기, 최민주. (2019). 음주경험이 없는 청소년의 음주의도 영향 요인: 계획된 행동론에 근거하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6(3), 1-14. 미소장
18 조혜정, 이은숙. (2019). 한국 성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폭음, 우울 간의 종단적 관계.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6(2), 11-21. 미소장
19 진경, 손애리, 김성민, 김용범, 홍영선. (2018). 사회규범인식과 음주태도에 대한 성별 차이.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5(1), 13-24 미소장
20 질병관리청. (2016). 국민건강통계-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3차년도(2015). 미소장
21 질병관리청. (2023). 국민건강영양조사 기반의 음주 심층보고서. 미소장
22 한소영, 이민규, 신희천. (2005). 남녀 대학생의 음주 문제 위험요인 [사회 인지적 요인과 정서적 요인의 역할].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17(4), 1003-1019. 미소장
23 Bandura, A. (2002). Social cognitive theory in cultural context. Applied psychology, 51(2), 269-290. 미소장
24 Chen, J., Li, Y., Zhang, Y., Feng, J., & Jia, L. (2022). Descriptive peer drinking norms and binge drinking: Enhancement motives as a mediator and alcohol resistance self-efficacy as a moderator. Frontiers in Psychology, 13, 01-10. 미소장
25 Choi, J., Park, D.-J., & Noh, G.-Y. (2016). Exploration of the independent and joint influences of social norms and drinking motives on Korean college students’ alcohol consumption.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21(6), 678-687. 미소장
26 Cockerham, W. C., & Ritchey, F. (1997). Dictionary of medical sociology. Bloomsbury Publishing USA. 미소장
27 Cook, M., Labhart, F., Monk, R., Kuntsche, S., Heim, D., Qureshi, A., & Kuntsche, E., (2023). Validation of the revised Alcohol Expectancy Task[rAET]. Experimental and Clinical Psychopharmacology 31(1), 84-91. 미소장
28 Fishbein, M., & Ajzen, I. (2010). Predicting and changing behavior. New York: Psychology Press. 미소장
29 Gmel, G., Graham, K., Kuendig, H., & Kuntsche, S. (2006). Measuring alcohol consumption—should the ‘graduated frequency’approach become the norm in survey research? Addiction, 101(1), 16-30. 미소장
30 Greenfield, T. K., & Room, R. (1997). Situational norms for drinking and drunkenness: trends in the US adult population, 1979–1990. Addiction, 92(1), 33-47. 미소장
31 Jones, B. T., Corbin, W., & Fromme, K. (2001). A review of expectancy theory and alcohol consumption. Addiction, 96(1), 57-72. 미소장
32 Lee, C. M., Atkins, D., Cronce, J. M., Walter, T., & Leigh, B. C. (2015). A daily measure of positive and negative alcohol expectancies and evaluation: Documenting a two-factor structure and within- and between-person variability.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and Drugs, 76(2), 326-335. 미소장
33 Lee, E. S., & Bong, E. J. (2014). Influence of Alcohol Outcome Expectancy,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on Problem Drinking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2), 121-128. 미소장
34 Leigh, B. C., & Stacy, A. W. (1993). Alcohol outcome expectancies: Scale construction and predictive utility in higher order confirmatory models. Psychological Assessment, 5, 216-229. 미소장
35 Maddock, J. E. (1997).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decisional balance and processes of change inventories for heavy and episodic drinking. University of Rhode Island. Unpublished Master’s Thesis. 미소장
36 Montano, D. E., & Kasprzyk, D. (2015). Theory of reasoned action,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the integrated behavioral model. Health behavior: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70(4), 231. 미소장
37 Morean, M. E., Corbin, W. R., & Treat, T. A. (2012). The anticipated effects of alcohol sca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novel assessment tool foe measuring alcohol expectancies. Psychological Assessment 24(4), 1008-1023. 미소장
38 Moskalewicz, J., & Sierosławski, J. (2010). Drinking Population Surveys: Guidance Document for Standardised Approach: Final Report Prepared for the Project Standardizing Measurement of Alcohol-Related Troubles-SMART. Institute of Psychiatry and Neurology. 미소장
39 Moussaoui, L. S., White, K. M., & Desrichard, O. (2023). Collective Behaviours: Mediation Mechanisms Underlying the Influence of Descriptive and Injunctive Norms. International Review of Social Psychology, 36(1), 1–15. https://doi.org/10.5334/irsp.806 미소장
40 Neighbors, C., Lee, C. M., Lewis, M. A., Fossos, N., & Larimer, M. E. (2007). Are social norms the best predictor of outcomes among heavy-drink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and drugs, 68(4), 556-565. 미소장
41 Oei, T. P., & Morawska, A. (2004). A cognitive model of binge drinking: The influence of alcohol expectancies and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Addictive behaviors, 29(1), 159-179. 미소장
42 Probst, C., Vu, T. M., Epstein, J. M., Nielsen, A. E., Buckley, C., Brennan, A., Rehm, J., & Purshouse, R. C. (2020). The normative underpinnings of population-level alcohol use: An individual-level simulation model. Health Education & Behavior, 47(2), 224-234. 미소장
43 Reesor, L., Vaughan, E. M., Hernandez, D. C., & Johnston, C. A. (2017). Addressing outcomes expectancies in behavior change. American journal of lifestyle medicine, 11(6), 430-432. 미소장
44 Rimal, R. N. (2008). Mode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scriptive norms and behaviors: A test and extension of the theory of normative social behavior (TNSB). Health Communication, 23(2), 103-116. 미소장
45 Room, R., Kuntsche, S., Dietze, P., Munné, M., Monteiro, M., & Greenfield, T. K. (2019). Testing consensus about situational norms on drinking: a cross-national comparison.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and drugs, 80(6), 651-658. 미소장
46 Room, R., MacLean, S., Pennay, A., Dwyer, R., Turner, K., & Saleeba, E. (2022). Changing risky drinking practices in different types of social worlds: concepts and experiences. Drugs: Education, Prevention and Policy, 29(1), 32-42. 미소장
47 Room, R. & Roizen, R. (1973). Some notes on the study of drinking context. Drinking and Drug Practices Surveyor, 8, 25-32. 미소장
48 Savic, M., Room, R., Mugavin, J., Pennay, A., & Livingston, M. (2016). Defining “drinking culture”: A critical review of its meaning and connotation in social research on alcohol problems. Drugs: Education, Prevention and Policy, 23(4), 270-282. 미소장
49 Walther, C. A., Pedersen, S. L., Cheong, J., & Molina, B. S. (2017). The role of alcohol expectancies in the associations between close friend, typical college student, and personal alcohol use. Substance use & misuse, 52(12), 1656-1666. 미소장
50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0) International Guide for Monitoring Alcohol Consumption and Related Harm. Geneva: Author. 미소장
51 Wilson, T. D., Wray, L. A., & Turrisi, R. J. (2019). Positive alcohol expectancies and injunctive drinking norms in drinking to cope motives and alcohol use among older adults. Addictive behaviors reports, 10, 100207.https://doi.org/10.1016/j.abrep.2019.100207. 미소장
52 Zamboanga, B. L., Schwartz, S. J., Ham, L. S., Jarvis, L. H., & Olthuis, J. V. (2009a). Do alcohol expectancy outcomes and valuations mediate peer influences and lifetime alcohol use among early adolescents?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70(4), 359-376. 미소장
53 Zamboanga, B. L., Schwartz, S. J., Jarvis, L. H., & Van Tyne, K. (2009b). Acculturation and substance use among Hispanic early adolescents: Investigating the mediating roles of acculturative stress and self-esteem. The journal of primary prevention, 30, 315-333.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