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의 목적은 소득이전을 통한 정책효과 추정 논의의 적실성을 제고하기 위해 소득원천의 추가에 따른 가구 빈곤 및 가구 소비지출의 변화를 분석하는 데 있다. 분석결과, 일반가구에서는 대체로 공적이전소득의 빈곤율 감소효과가 가장 크며, 저소득가구에서도 공적이전소득의 빈곤율 감소효과가 크지만, 그 효과는 일반가구보다 낮았다. 빈곤의 심도와 관련, 일반가구에서는 공적연금소득을 통해 빈곤갭이 크게 감소하고 있으며, 저소득가구에서는 공적이전소득을 통해 빈곤갭이 크게 감소하고 있었다. 소득원천에 따른 가구 소비지출의 변화 양상도 다르게 나타났다. 일반가구에서는 요소소득이 가구 소비지출을 결정하는 유일한 소득이었던 반면, 저소득가구에서는 공적이전소득 외 요소소득-사적이전소득-공적연금소득-기타 공적이전소득의 순으로 가구 소비지출을 결정하고 있었다. 이는 저소득가구에서는 각 소득원천의 소비지출 용도가 달라 한계소비성향이 다를 수 있다는 점을 함축한다. 분석결과는 가구의 경제적 불평등 완화와 후생수준 개선을 위해 공적이전소득의 전략적 확대 필요성을 시사한다. 먼저, 공적이전소득 지급기준 세분화를 통해 저소득층을 표적화한 차등화 전략이 필요하다. 또한, 사회안전망인 국민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지급기준 확대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동시 수급 시 감액 완화를 통해 저소득층을 위한 실질 공적이전소득 규모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