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마조는 송대 복건 미주도(湄洲島)에 실존했던 무녀(巫女) 임묵(林默: 960-987)으로, 생전과 사후에 보인 여러 이적(異蹟)으로 인해 신으로 받들어졌다. 일개 지방신에서 중국의 대표적인 해양여신으로 자리 잡은 마조에 대한 신앙은 현재 중국 정부의 전통문화 부흥 정책에 힘입어 일종의 문화브랜드로서 전 세계에 그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그러나 중국 역사 속에서 마조신앙은 늘 시대적 요구에 따라 이용되고 수용되는 모습을 보인다.

명청대 마조 신앙은 조정이 의도한 대로만 규정되지 않고 여러 사회 계층과 이해관계가 얽혀 다양성을 드러내고 있다. 본고에서는 명청대 마조 신앙을 형성시킨 여러 시선과 요소들을 살펴보고 국가와 민간의 상호 공조 속에 마조 신앙이 확산될 수 있었음을 확인했다. 이는 양안관계와 화인 네트워크를 뛰어넘어 마조 문화의 세계화와 표준화를 꾀하는 중국 정부의 큰 그림 중에 간과해서는 안 될 요소들이 무엇인지 성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궁정 작가와 귀족 여성의 ‘정치적 우애’로 보는 카롤루스 궁정 문화 = The culture of the Carolingian court viewed as a ‘political friendship’ 이정민 p. 133-154
신라 尼師今 시기 왕권의 추이 = The transition of royal authority during the Isageum period of Silla 이기봉 p. 5-30
반민특위조사기록에 나타난 정상참작 사유 연구 = A study on extenuating circumstances found in the investigation records of special investigation committee of anti-national activitiesvities 김제정 p. 31-57
명청대 마조(媽祖) 신앙의 표준화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Mazu(媽祖) belief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박계화 p. 59-95

인도 고전무용 쿠치푸디에 나타난 젠더 변화와 새로운 실험 = Gender change and new experiments in Indian classical dance Kuchipudi 이성재 p. 97-132
르네상스기 프랑스의 아시아 인물 전기 = Writing about an illustrious Asian man during the French Renaissance : the case of Tamerlane’s Biography by André Thevet : 앙드레 테베의 『명사초상록』 제8부를 중심으로 이혜민 p. 155-191
리소르지멘토 시기의 이상적인 아내 만들기 = Making an ideal wife in the Italian Risorgimento : the example of Teresa Confalonieri : 테레사 콘팔로니에리의 사례 임동현 p. 193-222
식품과 건강 = Food and health in modern America : cultural politics of nutrition and dietary advice : 20세기 미국에서의 영양학과 식이 지침을 중심으로 이동규 p. 223-247

서구문화를 수용한 한인의 정체성 문제 = The problem of the identity of Koreans who have embraced Western culture : centered on Lee Mi-rok’ The Yalu River Flows : 이미륵의 『압록강은 흐른다』를 중심으로 최선아 p. 249-268
Historical controversies and collective memory = 역사적 논란과 집단 기억 :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원자폭탄의 재평가 : reassessing the atomic bombings of Hiroshima and Nagasaki Yu-Jung Lee p. 269-291

탈냉전 초기 미국의 외교안보 정책 = U.S. foreign security policy in early post-Cold War period : a case study of the Panama invasion : 파나마 침략을 중심으로 장준갑 p. 293-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