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논문은 우리 자전문학사에서 가장 많은 자전 작품을 남긴 영조대왕과 영조어제첩에 주목하여, 영조어제첩본 가운데 자전적 성격이 두드러진 작품을 대상으로 그 저술배경과 특징, 의미 등을 고찰한 것이다.
영조가 노년에 지은 5천여 편의 영조어제첩은 영조가 선왕보다 많은 시문을 짓지 않겠다고 선언한 이후 노년의 삶과 사유, 감정을 토로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으로서 저술되었다. 따라서 공식 문집보다 진솔한 영조 노년의 삶과 사유를 살필 수 있다. 영조어제첩의 대표적 주제이자 소재는 바로 회고였으며, 과거를 회상하고 현실을 자각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을 성찰하고 본인의 정체성을 확인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이는 영조어제첩 속 수많은 자전적 작품이 탄생하게 된 주요한 배경이 되기도 한다.
영조어제첩에는 산문과 운문을 망라한 다양한 자전적 작품이 수록되어 있고 주제의식과 글쓰기 소재 또한 한 가지로 귀결되지 않는다. 그중에서도 당대 여타 자전과 차별화 된 특징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는 자기 가족사를 중심으로 일생을 회고하면서 효제(孝悌)를 다하지 못한 자신에 대해 성찰하고 반성하는 내용들로 채워져 있다는 점, 둘째는 자신의 지향, 독서이력, 매미소리, 근심거리 같은 다양한 소재를 활용해 전통적 글쓰기와 참신한 글쓰기를 모두 보여준다는 점이다.
영조의 자전적 작품들은 영조어제첩의 기본적 성격을 가장 잘 보여주는 자료이면서 어제첩에 편린되어 있는 영조의 일생과 감회들을 총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한국 자전문학사에서 한 개인이 이처럼 다양한 유형과 글쓰기 방식 선보인 사례가 없다는 점에서 영조의 자전적 작품들은 의미를 지닌다. 무엇보다 국왕으로서의 정체성과 정통성을 공고히 하려는 의도가 담긴 점에서 영조의 자전적 작품들은 개인과 공인으로서의 양면적 자의식과 정체성을 가진다고 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Focusing on King Yeongjo, who left the most autobiographical works in the history of Korean autobiographical literature, and the Yeongjouhjecheop(英祖御製帖), background,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works with outstanding autobiographical character among the Yeongjouhjecheop More than 5,000 Yeongjouhjecheop by King Yeongjo in his old age were written as a new alternative to expressing the life, thoughts, and emotions of his old age after King Yeongjo declared that he would not build more poems than his predecessor. Therefore, one can examine the life and thoughts of King Yeongjo in his old age rather than the official collection of writings.
The representative theme and subject of Yeongjouhjecheop was retrospective, and there is a strong tendency to reflect on oneself and confirm one's identity through the process of recalling the past and realizing reality. In this way, retrospect and reflection, inquiry into one's existence, and firm perception of the self can be said to be the main background for the birth of numerous autobiographical works in Yeongjouhjecheop.
Yeongjouhjecheop contains various types of autobiographies, including prose and verse, and the subject matter and writing material are more than one. Among them, there are two main characteristics that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other autobiographies of the Joseon Dynasty. First, most of the autobiographical writing is filled with reflection and reflection on oneself who failed to Hyo-Je(孝悌) while reflecting on life centering on the history of one's own family. Second, he shows both traditional and novel writing by utilizing various materials such as his values, reading history, cicadas' sounds, and worries.
Yeongjo's autobiographical works are the data that best shows the basic character of the Yeongjouhjecheop and show the life and emotions of Yeongjo distributed in the Yeongjouhjecheop in an integrated manner. The autobiographical works of the Yeongjouhjecheop have special significance in that there has been no case in the history of Korean autobiographical literature in which an individual has shown such various types and writing methods. Most importantly, his autobiographical works have two-sided self-consciousness and identity as individuals and public figures in that they can confirm all of Yeongjo's personal history, personal memories, and values he has held since he was young.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