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인류사에서 세계 최초 문명인 메소포타미아문명이 탄생했던 배경과 ‘우룩 팽창’ 현상이라고 불리는 서아시아의 초기 문명 발전 과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초기 문명이 발생했던 남부 메소포타미아지역은 레반트를 비롯한 이른바 ‘비옥한 초승달’ 지역에서 비해 농경 발전이 뒤늦은 지역이었지만, 사냥-채집 활동에 유리한 생태 환경으로 문명단계에 도달하기 이전부터 대규모 취락이 형성되었던 지역이었다. 그러나 기원적 3500년, 즉 후기 우룩 시대부터 시작된 건조화로 인해 남부 메소포타미아지역에 거주하던 복합사냥-채집사회는 생태적 위기를 맞이하게 되고 이를 극복하고자 사회적-생태적 ‘적응 유연성’을 높이는 과정에서 관개 농업이 발전하게 되었고 궁극적으로 도시와 국가가 출현하게 되었다. 따라서 관개 농업은 문명의 전제 조건이 아니라 결과일 뿐이며, 그런 측면에서 관개 농업이 초기 문명 발전의 원동력이라는 기존의 해석은 재고되어야 한다.

메소포타미아문명의 주요 특징은 문명이 형성되자마자 장거리 교역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게 되었고, 그 과정에서 ‘우룩 문화’로 대표되는 남부 메소포타미아 문화가 상류 메소포타미아지역은 물론 레반트, 튀르키예, 이란 등 주변 지역으로까지 광범위하게 확산되었다는 점이다. ‘우룩 팽창’이라고 불리는 이러한 현상이 처음 학계에서 제기되었을 때는 이 현상을 ‘세계체제론’의 관점에서 중심지와 주변부 간의 정치-경제적 비대칭 관계로 인식하여 고대 제국주의와 식민주의의 결과물로 해석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 현상을 단순하게 정치-경제적 관계로만 해석하기에 무리가 있으며, 좀 더 다양한 시각에서 대칭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인식이 점점 공감대를 얻고 있다. 대표적으로 ‘국제적 상호 작용 모델’과 ‘세계문화론’이 ‘세계체제론’의 대안으로 현재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대안 가설들은 정치-경제적 표준 서사에서 벗어나, 문화적 관점에서 코이네, 문화접변, 혼종화 및 사회적 모방 경쟁 등과 같은 개념들이 강조하면서 ‘우룩 문화’가 내포하는 다양한 스펙트럼을 규명하고자 하는데, 본문에서는 주로 세계문화론의 관점에서 우룩 팽창 현상을 통해 문명의 조건들을 살펴보았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문명의 조건 = Conditions of civilization : Uruk expansion in West Asia in the 4th millennium : 제4천년기 서아시아의 우룩 팽창 현상 박성진 p. 5-56

고대 근동 다신교의 문화 전략과 유일신교의 발달 = Cultural strategies of polytheism and the development of monotheism in ancient Near East : focusing on Atenism and Yahwism : 아텐과 야훼를 중심으로 김구원 p. 57-114

인더스문명 기원 연구 = Research on the origin of Harappan civilization : debates on the background and origin of the first urbanization in Indian subcontinent : 인도아대륙 최초 도시복합사회 발전의 배경과 기원을 둘러싼 논쟁 김용준 p. 115-137

좌절과 도약의 교차로 = Crossroads of frustration and progress : the path to the establishment of early civilization in China : 중국 초기문명 성립의 길 김정열 p. 139-203

고고학으로 본 용인지역의 삼국시대 주거문화 = A study on the housing culture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Yongin area through archaeology : 삼국 점유 세력의 변화와 관련하여 이형원 p. 205-239
원삼국~백제 한성기 (장)방형 주거지의 계통과 성격 = Lineage and characteristics of (long) square dwellings from the Proto-Three Kingdoms to the Hanseong period of Baekje 송만영 p. 241-272
정조 『朱文手圈』 편찬의 목적과 의의 =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King Jeongjo's compilation of Zhuwen Shouquan 강문식 p. 273-300
1920년대 초 중국당국의 西間島 지역 단체해산 명령과 韓族會의 대응 = The order to dissolve Hanjokhoi from the Chinese authoritiesin West Gando and its reactions in the early 1920s 홍민석 p. 301-335
국내 언론을 통해 본 김좌진의 항일독립운동과 그 기억 =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of Kim Jwa-jin as seen through the domestic media and its remembrance 황민호 p. 337-362
베트남전쟁 참전 간호장교의 베트남전에 대한 인식과 ‘기억’ = Awareness and 'memory' of the Vietnam War among nurse officers who participated in the Vietnam War : focusing on the oral history of nurse officers participating in the Vietnam War : 베트남전쟁 참전 간호장교의 구술을 중심으로 김수자 p. 363-383
从制玉技术看晚商王朝技术控制 = 제옥(製玉) 기술을 통해서 본 상 왕조 후기의 기술통제 朱芃宇 p. 386-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