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적: 원발개방각녹내장 환자에서 C24-2 표준자동시야검사의 장기 변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경과관찰이 6년 이상, 12회 이상 자동시야검사를 시행한 원발개방각녹내장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했다. Pointwise variability는 시간에 따른 52개의 total deviation 변화에 대해, global variability는 시간에 따른 mean deviation (MD) 변화에 대해 선형 회귀 분석을 시행하여, 모델의 추정 값과 실제 값의 차이를 이용해 평균 제곱근 오차로 계산했다. 모델의 변수 선택을 위해 hierarchical clustering을 이용해 변수 군집화를 시행, 유사도 지표로 squared Spearman 상관분석을 사용했다. 시야검사 장기 변동성과 변수 사이 관계는 선형혼합모형으로 분석했다.
결과: 원발개방각녹내장 환자 157명 246안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망막신경섬유층두께 모델에서 기저 유두주위 망막신경섬유층두께가 얇을수록, 기저 안압, 평균 안압이 낮을수록, 안압 변동이 클수록, 시야 진행 속도가 빠를수록 시야검사의 장기 변동성은 증가하였다(모든 p≤0.037). MD모델에서 기저 MD, 기저 안압, 평균 안압이 낮을수록, 시야 진행 속도가 빠를수록 시야검사의 장기 변동성이 증가했다(모든 p≤0.035).
결론: 안압이 낮고 녹내장 손상이 심한 원발개방각녹내장 환자에서 안압 변동폭이 크고, 시야 진행 속도가 빠를 경우 시야 악화 판단에 있어 시야검사의 장기 변동성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