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중등 읽기 부진 학습자의 맞춤형 교육 운영과 교원 연수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국어 기초학력 미달 중·고등학생 194명의 응답 결과를 바탕으로 국어 기초학력 미달 중·고등학생의 읽기 부진 양상을 실증적으로 탐색하고 읽기 부진 프로파일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 국어 기초학력 미달 학습자는 해독과 유창성 기능 숙달 측면에서 전반적으로 큰 어려움이 없었지만, 일부 학생은 유창성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둘째, 독해 능력의 경우 전반적인 어려움 인식 수준은 낮았으나,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글의 분량, 추론적 읽기 등에서 더 높은 수준의 어려움을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어휘력에 대한 어려움 인식 수준은 다소 낮았다. 넷째, 읽기 불안은 낮은 수준으로 인식되었으나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다섯째, 난독증 주요 지표에서도 다소 낮은 수준의 어려움을 인식하였으며, 고등학생이 일부 지표에서 중학생보다 더 높은 수준의 어려움을 보였다. 여섯째, 군집분석 결과 중등 국어 기초학력 미달 학습자의 읽기 부진 프로파일은 3개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해독 기능에 대한 어려움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나, 유창성, 독해력, 읽기 불안, 난독증 지표에서 서로 다른 특성을 보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중등 국어 기초학력 미달 학습자의 읽기 부진 프로파일 분석 = Analysis of reading underachievement profile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below basic proficiency level in Korean language 최숙기, 사민선 p. 7-34

한국어 글쓰기 자동채점 및 피드백 프로그램(Ask1.0)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automated scoring and feedback program for Korean writing (Ask1.0) 권태현 p. 35-65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for digital textbooks of Korean language art 서수현, 정혜승, 옥현진, 박치범, 노들 p. 67-107

랜덤포레스트 방법을 활용한 인문계 고등학생의 여가 독서에 미치는 영향 요인 탐색 = Exploring factors influencing high school students' leisure reading using the Random Forest method 박찬흥 p. 109-138

공공언어의 요건과 국어과 교수·학습 방안 = Public language requirements and Korea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public language 김재은, 전은주 p. 141-185

외래어 오표기에 대한 음운론적 고찰 = A phonological study on mistranscription of loanwords 김아영 p. 187-217

국어 교육 측면에서 살펴본 표준국어대사전의 개편 방향 = Direction of revision of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윤천탁 p. 219-250

애도 문학으로서 <환부자탄가>의 교육적 가치 연구 = Exploring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Hwanbujatan-ga> as mourning literature 권대광 p. 253-288

초등 문학교육에서 시 창작 활동의 개선 방향 =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poetry creative activities in elementary literature education : focusing on the 'sensory expression' and 'figurative expression' units of the 2015 Korean language textbook : 2015 국어 교과서의 ‘감각적 표현’과 ‘비유적 표현’을 중심으로 이운영 p. 289-314

횡단-신체성의 생태적 인식과 문학교육적 의의 = A study on the ecological perception of trans-corporeality and the educational use 강서희 p. 315-338

김주영 성장소설 『홍어』에 나타난 인물 중심의 서사 전개와 표현의 효과 = Effects of character-centered narrative development and expression in Kim Joo-young's growth novel 『Skate』 진솔 p. 339-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