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자녀 살해 후 자살 사건의 전반적인 발생 현황과 가해자 및 피해자 특성, 범행 이유 등을 확인하기 위해 신문 기사에 나타난 자녀 살해 후 자살 사건을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4년부터 2023년까지 언론에 보도된 자녀 살해 후 자살 사건은 총 160건이었으며, 자녀를 살해한 가해자는 190명, 피해 아동은 232명이었다. 둘째, 자녀를 살해한 가해자는 부에 비해 모가 더 많았고, 연령은 40대가 가장 많았으며, 피해 아동은 남아가 여아에 비해 더 많았고, 연령은 2-7세가 가장 많았다. 셋째, 자녀 살해 후 자살 이유로는 경제적 문제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정신건강 문제의 순이었다. 넷째, 부 단독 범행과 부모 공동 범행의 경우는 경제적 문제가, 모 단독 범행의 경우는 정신건강 문제가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자녀 살해 후 자살 사건의 예방 및 대응 방안 마련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고시원에 거주하는 청년의 사회적 교류와 정신건강에 관한 질적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social interactions and mental health of young people living in Goshiwons 최하영 p. 5-33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만족도가 장애인의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ffect of satisfaction with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for disabled on social participa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liance : 자립의지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안소영, 선미정 p. 35-66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인권의식 향상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 Effectiveness of a program to raise social workers’ awareness of the human rights of persons with mental illness 김선자, 김미경, 서미경 p. 67-94

아동학대 사건 중 자녀 살해 후 자살에 대한 신문 기사 분석 = Analysis of newspaper articles on suicides following child murder in child abuse cases : patterns based on perpetrator characteristics : 가해자 특성에 따른 자녀 살해 경향 김지혜 p. 95-125

지역아동센터 사회복지사의 직무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job experience of social workers in local child center 홍가영, 최정숙 p. 127-160

아동이 원하는 교육 및 교육정책에 관한 인식조사 연구 = Children’s perspectives on their educational needs and policy preferences 이지선, 최려나, 차지현 p. 161-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