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고는 2025학년도부터 본격적으로 확대 시행될,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학습자를 위해 융복합 교과목 개발을 제안한 논문이다. 학습개요, 목적, 목표, 수업설계 및 내용 등을 단계별로 제시하였으며, 『자산어보』 텍스트를 중심으로 읽기 융복합 교과목으로 구성하였다. 『자산어보』는 융복합 교재로서 충분히 활용 가치가 있으며 다양한 학문의 영역으로 확장하여 학습자들이 흥미를 갖고, 관심있는 분야의 전공분야를 선택하여 일정정도 탐색할 수 있는 의미있는 텍스트이다.

융복합의 방식은 다학문적 유형을 변형하여 사용한 것으로, 주제나 이슈를 중심에 두지 않고 텍스트를 중심으로 『자산어보』를 다학문의 관점에서 더 심도있게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인물, 역사, 스토리텔링, 국문학, 인간학, 영화영상, 교육학, 콘텐츠 개발, 생물학, 식품공학, 의학, 음식학, 책 출판, 바다의 지형, VR(공학), 생물그리기(예술) 등 다양한 영역을 융복합으로 학습할 수 있다.

기존의 융복합 교과목이 다소 단선적이고 어렵다는 점을 극복하며 텍스트 중심의 융복합 교과목을 설계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리고 텍스트를 넘어 다양한 유형의 융복합 활동 및 과제를 통해 스스로 진로를 설계할 수 있도록 융복합 교과목이 구성된 점도 특징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무전공제 학습자를 위한 융복합 교과목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convergence curriculum for undeclared major system learners : focusing on 『Jasan Eobo』 : 『자산어보(玆山魚譜)』를 중심으로 남진숙 p. 7-29

남학생 독자 개발을 위한 몰입 인문 고전 독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Development research of a flow-based humanities classics literacy instructional program for male reader development 이현아 p. 31-71

대학생의 독자로서의 자기 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university students' reader self-perception 윤신원 p. 73-99

미디어, 휴대전화, 자기 주도성이 읽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media and mobile phones on reading attitudes 곽수범 p. 101-140

담화 처리에서의 설득 저항 인식 양상 고찰 = A study on persuasion resistance recognition aspects in discourse processing 서종훈 p. 141-169

레진 드탕벨의 창조적 독서치료와 문학 리텔링 글쓰기의 치유성 = The creative literary therapy by Régine Detambel and the healing power of literary retelling writing 이은숙 p. 171-192

사회적 공감 역량 신장을 위한 토론 교육 연구 = A study on debate education for increasing social empathy competency 박재현 p. 193-217

화법 수업이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communication classes on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efficacy : focusing on the differences betwee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teaching methods : 대면/비대면 수업 방식의 효과성 차이를 중심으로 임혜원, 전정미 p. 219-242

「세계명작세미나」 수업에서 팀기반학습을 적용한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 문제해결력, 학습성과 간 구조적 관계 =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engagement, problem-solving ability, and learning outcomes in team-based learning applied to the 「World Masterpieces Seminar」 장미란, 고은선 p. 243-265

과정 중심의 학술적 글쓰기 교육 사례 연구 = Case study of process-oriented academic writing instruction : focusing on Korean writing course at a science and engineering university in Korea : 국내 한 이공계특성화대학의 <한국어 글쓰기> 수업을 중심으로 정윤나 p. 267-290

외국인 학부생의 기초 역량 함양을 위한 교양 교과목 수업 사례 분석 연구 = A case study on liberal arts classes to cultivate basic competenci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 focus on <Reading Classics of Great Literature> in Pusan National University : 부산대학교 <고전읽기와 토론>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주현희 p. 291-330

융복합 교양교과목 플립러닝 적용사례 연구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in interdisciplinary liberal arts courses : focusing on course design and student perceptions : 수업설계와 학습자 인식을 중심으로 손미란, 이다현, 주소영 p. 331-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