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일본은 19세기 후반 근대화를 추진하면서 적극적으로 서양건축을 도입했다. 당시 서양건축을 실제로 지은 기술자는 일본의 전통 목수들이었고, 그들은 단기간에 서양건축의 기술을 익히고 일본의 전통적인 목조건축 양식과 기술을 접목해 의양풍 건축이라는 새로운 양식을 만들어 냈다. 일본의 목수들이 단기간에 서양건축을 만들고 응용할 수 있었던 가장 중요한 이유는 당시 도입된 서양건축이 콜로니얼 양식의 목조건축이었기 때문이었다. 장구한 목조건축의 전통을 가진 일본에서는 우수한 건축 용재가 풍부하게 산출되었고 중세 이전부터 인공조림 기술이 발달했다. 일본의 전통 목수들은 나무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근대 이전까지 다양한 규모와 복잡한 형태를 갖는 목조건축을 지을 수 있는 기술을 체계적으로 발전, 축적해 왔다. 에도시대에는 다양한 건축기술서들이 간행되어 있었고 목수들이 기술경쟁을 통해 건축 공사를 수주할 수 있는 체제가 마련되어 있었다. 그리고 근대에 일본은 고대, 중세 때 한국과 중국의 건축을 도입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그들의 필요에 의해 서양의 건축을 적극 수용해 익히고 일본의 것으로 만들어 냈다. 이러한 역사적 토대에서 일본의 전통 목수들은 단기간에 서양건축을 만드는 기술을 익히고 새로운 양식의 의양풍 건축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김지영 p. 16-49, 358-360, 381, 387

의양풍(擬洋風) 건축 = Quasi-Western style architecture : a traditional Japanese carpenter's approach to modern times : 일본의 전통 목수가 근대를 맞이한 한 태도 한지만 p. 50-81, 360-361, 381-382, 387-388

지브리의 숲 = Ghibli Animations' tree : memories of laurel forests and the Japanese view of nature : 조엽수림의 기억과 일본적 자연관 배관문 p. 82-111, 361-362, 382, 388-389

무라카미 하루키의 문학과 ‘이동’을 부르는 숲 = Haruki Murakami's literature and a forest that calls for 'movement' : from the perspective of 'realism' : ‘리얼리즘’의 관점에서 이경희 p. 112-149, 362-364, 382-383, 389

인구감소시대 일본의 방치되는 산림 문제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problem of Japan's neglected forests in the depopulation era : focusing on forests with unknown owners : 소유자불명 산림을 중심으로 이호상 p. 150-179, 364-365, 383, 390

후쿠시마 숲의 삶 = The life of forests in Fukushima : the landscape of intertwinement, disturbance, and revival : 얽힘과 교란, 소생의 풍경 오은정 p. 180-217, 365-368, 383-384, 390-391

일본 고도성장기의 ‘집단취직’과 3대 도시권으로의 인구이동 = Group employment during the period of high economic growth and population movement to the three major cities of Japan 김지영 p. 230-249, 368-369, 384, 391
일본 싱글맘 빈곤과 근대가족 모성 규범의 굴레 = Poverty among single mothers in Japan and the constraints of modern family motherhood 박승현 p. 250-269, 369-371, 384, 392

기시다 재정정책의 딜레마 = The dilemma of Kishida's fiscal policy : future-oriented policy introduction and the politics of burden-sharing : 미래지향적 정책과제 도입과 부담 분배 정치 이정환 p. 270-295, 371-374, 384-385, 392-393

위기관리와 중앙-지방 간 충돌 = Central-local conflicts in crisis management : Japan's experience with COVID-19 : 코로나19 사례의 일본적 경험 이주경 p. 296-325, 374-376, 385, 393

일본의 기후위기 대응 정책으로서 GX(Green Transformation)에 대한 비판적 검토 = A critical review on green transformation (GX) as Japan's policy for climate crisis : focusing on the nuclear propulsion structure : 원자력 추진 구조를 중심으로 최종민 p. 326-357, 376-380, 385-386, 393-3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