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고는 한일 다문화가정의 언어환경 현황을 파악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한 수단 중의 하나로 어머니가 자녀에게 사용하는 언어별로 FLP(Family Language Plan)의 언어정책을 구성하는 요소인 ‘언어신념’ 및 ‘언어실천’을 분석의 틀로서 활용하였다. 우선, 언어신념에서는 ‘신념과 가치관’, 언어실천에서는 ‘언어학적 환경’, ‘문화적 환경’이라는 키워드를 단서로 데이터를 분류하였다. 그 후, 그 특징과 경향을 정리 및 분석하였다. 본고에서 사용하는 데이터(유효응답 360건)에서 어머니가 자녀에게 사용하는 언어에서 일본어인 경우는 173건(48.05%),한국어와 일본어 병용인 경우는 156건(43.3%), 한국어인 경우는 19건(5.2%), 기타인 경우는 12건(3.3%)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본고의 분석결과, 사용언어만으로는 파악할 수 없는 각각의 경우에 대한 고민과 노력을 엿볼 수 있었다. 그러나 사용 언어가 일본어인 경우, 가장 높은 계승어교육에 대한 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언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다양한 환경 정비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가정 내 언어 사용의 배경 요인을 살펴본 결과, 조사협력자의 한국어 능력 및 결혼 전후의 한국에 대한 관심도가 높을수록 한국어 사용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고, 남편의 일본어 능력이 높을수록 일본어 사용률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the language environment in Korean-Japanese multicultural families. As one means of doing so, I used ‘language beliefs’ and ‘language practices,’ which are the elements that make up FLP’s language policy, based on the language used by mothers with their children, as a framework for analysis. I categorized the data using the keywords ‘beliefs and values’ for language beliefs and ‘linguistic environment’ and ‘cultural environment’ for language practices, and organized and analyzed their characteristics and trends. The data used in this paper (360 valid responses) showed that 173 (48.05%) of the mothers used Japanese as the language of their children, 156 (43.3%) used both Korean and Japanese, 19 (5.2%) used Korean, and 12 (3.3%) used other languag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anguage used was not generally consistent. As a result, we were able to catch a glimpse of the ingenuity and effort involved in each pattern, which cannot be grasped in terms of the language used alone. However, the study confirmed that awareness of inherited Japanese is the highest when the language used is Japanese, and that various environmental arrangements are made to create a language environment. In addition to this, we examined the background factors of language use at home, and found that the higher the Korean language ability of the survey participants and their level of interest in Korea before and after marriage, the higher the Korean use rate tended to use , while the higher the Japanese language ability of the husband, the higher the Japanese use rate.*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