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당랑권(螳螂拳)의 기원, 유파 특성 그리고 세대 간 전승과 발전 과정을 포괄적으로 탐구하고, 당랑권의 역사적 배경과 문화적 의미를 깊이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현대의 당랑권 전승과 발전을 촉진하고, 미래의 발전을 위한 제언과 대책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당랑권과 관련된 역사문헌과 전승자의 기록물을 2차자료 분석인 문헌고찰과 역사사회학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당랑권의 계보는 창시자 왕랑, 2대 이병소, 3대 조주, 4대 양학향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당랑권은 경당랑와 연당랑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며, 대표적인 것은 칠성당랑권, 매화당랑권, 육합당랑권이다. 셋째, 양학향(梁學香) 시절 개방적인 제자 모집과 산둥주민의 동북3성 이주를 기점으로 당랑권이 대중에게 퍼져나간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나광옥은 동남아와 유럽에 당랑권을 전파하였고, 장상삼, 왕경재 등이 대만에 육합당랑권을 전승하였다. 또한 한국에서의 전파는 산동 출신 화교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마지막으로, 현재 당랑권은 가전무예 형태의 전승의 문제, 시대 흐름의 변화, 서양문화의 유입 등으로 인해 구시대의 유물처럼 여겨지는 어려움에 처해 있으며, 영화나 다큐멘터리 등의 미디어 노출 강화, 종합격투기 형식의 경기 등 현시대에 적합한 방법으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대응책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중국 당랑권(螳螂拳)의 전승과 발전을 통해 본 사회문화적 함의 = Socio-cultural implications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development of the Chinese Tanglangquan(螳螂拳) 조성균, 양태경, An Ning p. 1-26

사콘나콘 람무에보란 동작자세의 문화배경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ultural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Sakon Nakhon Ram Muay Boran postures 권석무, 공성배 p. 27-45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패킹 오페라(peking opera (京劇))에서 보이는 중국 무술의 사회문화적 의미 = Socio-cultural implications of Chinese martial arts observed in peking opera, a UNESCO 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조성균, 양태경, Liu Menglei p. 47-72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복싱 연구동향 분석 = Analysis of boxing research trends using text mining 곽정현 p. 73-90

국기 태권도의 문화콘텐츠 활용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cultural contents in taekwondo 양통일, 양현석, 이문성 p. 91-112

태권도 전공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불안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 =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anxiety of students majoring in taekwondo 남미희, 정명규 p. 113-138

12주간의 태권도 훈련과 저항성 운동이 20대 비만 남성의 신체 조성, 호모시스테인 및 마이오카인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12 weeks of taekwondo training and resistance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homocysteine and myokine of obese male in 20s 김승환 p. 139-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