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조선총독부가 1927년부터 1937년까지 식민지 아동정책을 수행하는 과정과 강화되는 내용을 살펴보고, 그 성격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통해 조선총독부의 식민지 아동정책 특징을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조선총독부는 1926년 도쿄에서 개최된 제1회 전국아동보호사업대회의 결의에 따라 1927년 ‘아동보호일’을 시행하였다. 1928년에 학무국 주관으로 행사를 개편하였으며, ‘양육’과 ‘보육’에 중점을 두었다. 이를 통해 조선총독부는 식민지 조선 내 ‘관민합동’의 성격인 연중행사로 ‘아동보호일’을 시행하고자 했다.

둘째, 조선총독부는 1931년 제2차 전국아동보호사업대회의 결의에 따라 ‘아동보호일’을 ‘유유아애호주간’으로 행사명을 변경하고, 일주일간 행사를 전개하였다. 그러나 당시 개최된 전국아동보호사업대회에서는 행사에 대한 내용에 논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점 때문에 조선총독부가 변경한 행사 내용은 이전과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셋째, 조선총독부는 1935년 제3회 아동보호사업대회의 결의에 따라 행사명을 ‘유유아애호주간’에서 ‘아동애호주간’으로 변경하였다. 이 과정에서 조선인들은 어린이날을 개최하여 그 정체성을 지키고자 했다. 하지만 1937년 7월 중일전쟁으로 모든 집회와 행사가 폐지됨에 따라 조선인들의 어린이날도 찾아보기 어려워졌다. 다만, 조선총독부의 ‘아동애호주간’은 일제가 패망하기 전까지 개최되었다. 특히 조선총독부는 조선인의 어린이날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이는 조선총독부가 식민지 조선 내 유일한 관변행사로 어린이날 주도권을 완전히 장악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조선총독부의 ‘아동애호주간’은 일제의 식민지 아동정책을 수행하는 도구로 활용되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고려인 역사저술가 계봉우와 이인섭의 역사 글쓰기에 대한 연구 = People's historians, Kye Pong-u and Yi In-sŏp, and their historical writings 하상진 p. 5-50

시카고 한인 사업가 ‘킹’ = Chicago Korean businessman 'King' : the life and economic activities of King Bernard Kim : 재미한인 김경의 생애와 경제활동 연효진 p. 51-100

이규채의 在中 독립운동 = Lee Kyu-chae's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China 최소라 p. 101-133

순종 사망 뒤 경찰과 군의 警戒 활동 = Police and military vigilance activities after the death of Sunjong(純宗) 신주백 p. 135-178

순종 사망과 장례과정 = Death of King Sunjong and the funeral process in the colonial Chosun : from April 1926 to the June 10th Independence Movement : 1926년 4월부터 6·10만세운동까지 최은진 p. 179-214

1919~1926년 朝鮮土地改良株式會社 설립 논의와 성격 = The discussions and characteristics of establishment of Joseon Land Improvement Corporation in 1919-1926 강명진 p. 215-252

조선총독부의 식민지 아동정책 수행과 강화(1927~1937) = Japanese imperial control and the expansion and intensification of child policy in colonial Korea(1927-1937) 이주희 p. 253-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