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장애 및 장애위험 영유아와 관련된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아울러 선행연구의 연구내용을 탐색하여 그에 따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장애 및 장애위험 영유아 관련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9년부터 2023년까지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총 108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고, 전반적인 연구동향과 선행연구의 연구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장애 및 장애위험 영유아 관련 연구는 2022년에 수적으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고 최근까지도 꾸준하게 진행되고 있었다. 둘째, 연구주제는 장애 및 장애위험 영유아를 위한 지원방안 요인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은 교직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그중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넷째, 연구방법은 문헌연구가 가장 많았고, 양적연구 질적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의 연구내용을 탐색하기 위해 먼저 양적연구 및 질적연구를 살펴보았다. 조사연구에서는 교사 요인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고, 실험연구에서는 중재프로그램 요인 연구가, 비교연구에서는 부모 요인 연구가 더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연구의 면담연구 연구내용으로는 지원방안 요인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선행연구를 연구요인과 연구대상, 연구방법으로 나누어 연도별로 측정한 결과 지원방안 요인 연구는 2020년에 가장 많았고, 2023년까지도 꾸준히 높은 빈도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은 교직원에 대한 연구가 연도별로 증가하였으며, 연구방법에서는 질적연구의 빈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장애 및 장애위험 영유아 관련 연구의 방향성에 대해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