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1950년대, 1960년대의 재일조선인의 기관지를 보면 재일조선인의 문화활동은 총련계가 압도적으로 활발했다. 이에 반해 민단계의 문화활동은 미미했다. 그 원인은 민단의 조직력, 지도력이 약한 상황에서 문화단체를 형성하기 어려웠고 기관지 『민주신문』의 문화면 역시 내용이 부실할 수밖에 없었다. 『민주신문』은 대부분 재일조선인 사회 속에서 활동하는 문화인(예술가)의 활동보다는 조선, 한국의 문화를 전하는 역할을 하고 있었고 총련 기관지(紙)처럼 신문을 활용하여 ‘조선어’를 배우거나 예술분야의 신인 양성을 하는 모습은 없었다.

1960년에 한국의 ‘4・19’, 북한의 ‘남북연방제’ 제안 등으로 민단은 크게 동요했었고 ‘5・16 쿠데타’가 일어날 무렵에는 민단 단장도 바뀌어 민단계의 유일한 문화단체와도 대립하게 된다. 또 이 무렵 이례적으로 총련, 민단을 불문하고 문화인이 모여 합동문화제를 개최한 데에 민단의 지도층은 강한 불만을 표시한다. 이로 인해 총련 기관지나 중립입장의 『통일조선신문』에는 합동문화제에 대해 기사가 실리지만 민단의 기관지에는 관련기사가 게재되지 않았다.

1950년대 후반부터는 조직력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이 보이면서 1961년 전후에 유일하다고 할 수가 있는 김파우의 작품이 『민주신문』에 연재된다. 하지만 이후 재일조선인에 의한 작품이 아닌 일본인 작가나 한국에서 발표된 작품을 일본어로 번역해서 연재되다가 이마저도 이어가지 못하고 작가를 양성하려는 새로운 움직임에는 한계가 나타나고 있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18세기 ‘담배 가게 살인사건’의 발생 맥락 연구 = A study on the context of the 18th century 'tobacco shop murder' 김우중 p. 5-38
고려시기 외직 판관의 설치와 변화 = The installation and change of local executive assistant(判官) in the Koryŏ Dynasty 김지영 p. 39-77
조선후기 漂倭入送제도의 변화와 漂倭入送回謝差倭의 소멸 과정 = A study on the changes in the repatriation system for drifting Japanese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extinction process of Pyowaeibsonghaesachawae 심민정 p. 79-113

재일조선인의 문화단체와 문화활동 = Cultural activities of Zainichi Korean : focusing on “Mindan News” around 1960 : 1960년 전후의 『민주신문』을 중심으로 오은영 p. 189-219

푸코의 칸트 『인간학』 독해의 양면성 = The duality of Foucault's reading of Kant's anthropology 윤영광 p. 267-294
18~20세기 초반 황해도지역 灌漑시설의 변동양상과 그 특성 = A study on the change and characteristics of irrigation facilities in Hwanghae province in the 18th to early 20th centuries 장종진 p. 115-154
신약 성경 명칭의 변천 = The change of the titles of the New Testament 정기문 p. 241-265
휠체어와 전차 = Wheelchairs and tanks : Cosmotechnics and Confucianism of technology : 코스모테크닉스와 유가 기술철학 정두호 p. 221-239
인천항 객주상회소의 형성과 변화과정 = The formation and change process of the merchant association of Incheon Port 조재곤 p. 155-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