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비트(bit)와 아톰(atom)의 세계가 융합되고 경계가 허물어지는 4차산업혁명의 시대가 도래했다. 세계를 이진법의 정보로 인식하는 인터넷의 세계와 원자로 구성된 현실의 세계가 겹쳐지고 융합되어 가상의 세계가 현실의 세계를 대체하는 삶으로 변화된 것이다. 이제 인간에 대한 정의도 변화할 수밖에 없고, 인간중심의 휴머니즘은 트랜스휴먼, 포스트휴먼의 등장에 직면했다. 우리나라에서 포스트휴먼적 상상력이 시작된 시기는 1960년대이다. 청소년 잡지 『학원』은 미소의 우주개발 경쟁을 소개하면서 청소년의 교육핵심역량으로 과학지식을 전달한 잡지이다. 이 잡지는 우주과학 기사가 실리고 과학소설이 실려 인간/외계인/기계의 융합과 우주공간으로의 스페이스 확장이 일어나는 포스트휴먼적 상상력을 보여준다. 특히 과학소설가 한낙원의 『우주벌레 오메가호』는 포스트휴먼적 상상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이다. 이 작품이 인간과 비-인간의 잡종적 상상력을 보여주는 위계해체적 텍스트인지 모험을 통해 다시 인간남성중심의 위계적 특권화를 구성하는 텍스트인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작품은 목성인의 침입에 대항하는 소년주인공의 스페이스오페라 장르이다. 인간/외계인/기계가 충돌하고 결합하는 새로운 우주적 상상력을 보여주는 것은 분명하지만 외계인/괴물/로봇을 퇴치하고 소년리더가 귀환하는 결말을 맺는다. 인간〉동물〉기계의 위계와 결합되면서 외계적 존재도 하위위계화 된다. 동물성과 결합된 외계적 존재는 제거되고 이들과 싸워 지구의 정체성을 지켜낸 소년주인공이 주체로 성장하는 것이다. 포스트휴먼적 상상력으로 우주의 공간을 그려냈지만 남성인간 중심의 휴머니즘적 한계가 남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