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율리 체의 『새해 Neujahr』(2018)는 21세기의 남녀평등이라는 젠더 질서 속에서 가정생활을 영위해가는 30대의 젊은 독일 남성의 일상과 그의 내면을 파헤치는 심리스릴러 소설이다. 일과 가정을 병행하면서 과부하에 걸린 현대 남성이 겪는 고통과 그 결과로 나타나는 신경증 그리고 유년기의 트라우마와 직면하는 과정을 통해 자기 정체성과 해방된 남성성이 모색된다. 주인공 남성은 과부하 사회 속에서 과부하 된 가정의 일상을 이어나가면서 공황장애로 고통당하는 남성이다. ‘해방된’ 여성과 남성 간의 정확한 분배에 의한 가사와 육아, 일의 분담은 잘 기능하는 것 같지만, 실은 개개인이 온전히 감당하기 버거운 과도한 요구 사항들의 집적이기도 하다. 게다가 헤닝의 과도한 책임감과 가족과 아이들의 안녕에 대한 불안감은 헤닝의 삶을 더욱 무력하게 만든다. ‘남성 해방’이란 모든 것을 규제하여 자신의 통제하에 두려는 강박적 완벽주의로부터의 해방이라고 할 때, 가족들에게 편안한 돌봄과 사랑을 제공하고, 동생 루나를 놓아줌으로써 자신도 비로소 공황발작의 지배에서 벗어나게 되는 헤닝의 모습은 진정한 남성 해방을 향해 가는 문학사의 새로운 유형이다. 율리 체의 소설은 가부장제로부터의 해방을 시도하고 있는 현대 남성의 일상적 고투와 내적 의식이 현대 문학의 주요한 주제로 자리를 잡기 시작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예가 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음식 분야 독일어의 코퍼스 기반 분석 = Eine korpusbasierte Analyse des Deutschen im Bereich des Essens 조자경 p. 1-27

언어철학사를 위한 기고 = Ein Beitrag zur Sprachphilosophie : In Bezug auf die Sprachkonzept von Heracleitos : 헤라클레이토스(Heracleitos)의 언어 개념을 중심으로 이재원 p. 29-49

칼 뷜러의 상상 직시 = Karl Bühlers Deixis am Phantasma : Ihre Bestimmung, Bedingungen und Typen : 규정, 조건, 유형 진정근 p. 51-69

코로나19 팬데믹 시대에 독일어와 한국어에 나타난 신조어의 형태론적, 의미론적 특징 비교·분석 = Zur vergleichenden Analyse der morphologischen und semantischen Besonderheiten von Neologismen im Deutschen und Koreanischen in der COVID-19-Pandemie 장영익 p. 71-101

독일 인터넷 밈의 인지언어학적 연구 = Eine kognitive Analyse deutscher Internet-Memes : Image Macros in Bezug auf Covid-19 : ‘코로나19’ 이미지 매크로를 중심으로 박미진 p. 103-128

불평 화행에서의 독일어와 한국어 간 공손성(Höflichkeit) 비교 연구 = Eine vergleichende Studie zur Höflichkeit im Sprechakt der Beschwerde im Deutschen und Koreanischen 성상환, 최영은 p. 129-153

카프카와 토마스 만 소설 속의 ‘변신’ = Die Transformation in Kafkas Novelle Die Verwandlung und Thomas Manns Roman Der Erwählte : 「변신」과 『선택받은 사람』 비교 연구 김현진 p. 155-173

안식일의 마법. 하이네의 시 「사바트 공주」 연구 = Zauber des Sabbats. Eine Studie zu Heines Romanze Prinzessin Sabbath 박은경 p. 175-201

작가 인터뷰의 실험적 서사성과 문학적 기능 = Experimentelle Narrativität und literarische Funktion von Autoreninterviews : Am Beispiel von Wolf Haas' Interviewroman Das Wetter vor 15 Jahren : 볼프 하스의 인터뷰 소설 『15년 전의 날씨』를 중심으로 임유영 p. 203-224

트라우마와 치유의 길 찾기 = Trauma und Suche nach dem Heilungsweg : Eine Studie zu Abonjis Roman Tauben fliegen auf : 아본쥐의 소설 『비둘기 날아오르다』 연구 이홍경 p. 225-245

하인리히 하이네와 출판인 율리우스 캄페 = Heinrich Heine und der Verleger Julius Campe : Wirtschaftliche Probleme und politische Zensur : 경제적 문제와 정치적 검열을 중심으로 신종락 p. 247-263

괴테의 카타르시스 해석과 시대진단 = Goethes Katharsisinterpretation und Zeitdiagnose : Am Beispiel von Goethes klassischem Schauspiel Iphigenie auf Tauris : 고전주의 드라마 『타우리스의 이피게니에』를 중심으로 함경희 p. 265-293

세기 전환기 시대 혼돈의 메타포로서 「672번째 밤의 동화」 = Das Märchen der 672. Nacht als Metapher für das Chaos der Jahrhundertwende 명정 p. 295-312

율리 체의 소설 『새해』와 남성 해방 = Juli Zehs Roman Neujahr und die Männeremanzipation 서유정 p. 313-331

고통에 감춰진 의미 = Die verborgene Bedeutung von Schmerz : Eine Analyse von Ernst Jüngers Aufsatz Über den Schmerz : 에른스트 윙어의 고통론 : 철학 에세이 「고통에 관하여」를 중심으로 최동민 p. 333-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