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질병에 대한 분류, 특히 정신장애에 대한 진단이나 분류는 지난 70여 년 동안 괄목할만한 성장과 뚜렷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충동성 조절의 어려움은 본인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들에게도 심각한 고통을 주거나 해로운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이 연구에서는 충동조절장애 관련 하위 유형에 대해, DSM과 ICD 체계를 혼합해서 충동조절장애의 부류에 속하는 하위 유형 중에서 간헐적 폭발장애, 병적 도박, 병적 도벽, 발모광, 병적 방화에 대해 개관하고, 각각 장애의 임상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충동조절장애 관련 연구들을 탐색한 결과, 충동조절장애에 대한 약리학적 치료 방법을 연구하는 데 상당한 진전이 있었지만 대부분의 연구 표본이 높은 위약 반응률, 그리고 제한된 추적 기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연구들의 일반화의 가능성은 제한적이었다. 충동조절장애에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을 찾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약리학적 치료 방법을 비롯한 여러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어떤 치료법이 누구에게 효과적인지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유망한 치료 연구에 대한 반복 연구와 약물치료와 기타 치료법을 비교하는 추가 임상 시험이 필요하겠다. 이 연구들을 통해 얻은 지식은 충동조절장애 치료를 발전시킬 뿐만 아니라 충동조절장애를 가진 사람들과 그 질환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사람들의 삶을 상당히 개선시킬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사회서비스 지원방안으로서 심리운동 고찰 = Untersuchung der Psychomotorik als Methode zur Unterstützung sozialer Dienste : Im Bezug auf Menschen mit Entwicklungsstörungen : 발달장애인을 중심으로 박재우 p. 141-157

품행장애의 ‘제한된 친사회적 정서’ 명시자 기준에 대한 검토 = Review of the ‘limited prosocial emotion’ specifier criteria for conduct disorder 송희선, 전유지 p. 119-139

충동조절장애의 개관과 임상적 특성에 대한 검토 = An overview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impulse control disorder 정병종 p. 99-118

현대사회의 신체 지위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status of the body in modern society 노정식, 한성희 p. 83-97

외향성과 산림치유프로그램 유형이 중학생의 스트룹과 사회불안,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extraversion and forest therapy program type on stroop, social anxiety, and self-esteem in middle school students 신민자, 신원섭 p. 61-81

심리운동과 실존주의 심리치료의 동화통합 연구 = Studie zur Assimilation Integration von Psychomotorik und existenzieller Psychotherapie Jin, Xin, Ren, Haitao p. 43-60

심리운동 활동이 청소년 발달장애인 방과후활동서비스 제공인력의 인식도와 적용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prior experience with psychomotorik activities on the awareness and application of after-school activity service providers for youth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홍세화, 박규호 p. 27-41

성인의 긍정심리자본 향상을 위한 숲심리운동 프로그램 효과 연구 = Effect of forest psychomotoric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김윤수 p. 17-26

발달지연유아의 심리운동 치료 사례 연구 = Case study on psychomotorik therapy for developmentally delayed infant 전지수, 진은희 p. 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