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논문은 공간정보 구축·제공의 사각지대에 있는 섬 지역을 대상으로 전국 단위에서 자원관리에 활용할 수 있는 섬 관광자원 분류체계를 제시하였다. 법·제도적 관점에서 467개의 유인섬 내에 분포하는 자원들을 추출하여 최종 2,072개 섬 관광자원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전국 단위 자원 분류의 기준에서 데이터베이스는 3개의 대분류, 15개의 중분류, 122개의 세분류로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개발대상섬의 주요 자원은 생태 및 자연자원이었으며, 연륙된 유인섬의 경우 높은 개발 압력으로 인하여, 역사문화자원, 전시 및 관람시설 등 시설 위주의 자원구성을 보였다. 이는 연륙 여부로 접근성이 개선된 섬의 경우, 체류형 관광지로서 개발이 진행되어왔음을 시사한다. 지속적이고 효율적인 자원관리를 목표로 국토 공간의 자원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지속해서 구축하고 고도화할 필요가 있다. 특히 섬을 대상으로 한 여러 법적 관리 주체의 존재와 정부 부처의 제도상 파편화는 자원관리를 어렵게 하는 위협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향후 지속적이고 효율적인 자원관리를 위해서는 각 부처 간, 그리고 각 섬이 위치한 지자체와 협의하여 일괄된 형태의 자원 취합 및 관리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을 토대로 관광자원의 관리 관점에서 각 섬이 위치한 지자체와의 논의를 통해 일관된 형태의 자원 취합 및 관리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proposes an island tourism resource classification system that can be utilized for resource management at a national level for island areas. These areas are located in the blind spot of 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and provision. A database of 2,072 island tourism resources was constructed from the legal and institutional perspectives by extracting the resources distributed within 467 inhabited islands. Based on the resource classification, at national level, the database was categorized into 3 large, 15 medium, and 122 small research items. The results showed that ecological and natural resources were the main assets of the islands targeted for development. The inhabited bridged-connected islands, however, due to high development pressure, had a more facility-oriented resource composition including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nd exhibition and viewing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build and upgrade the resource management database of the national territorial space with the goal of sustainable and efficient resource management. In particular, the existence of multiple legal management entities for islands and the institutional fragmentation of government departments may pose a threat to resource management. For sustainable and efficient resource management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seek a unified form of resource collection and management in consultation with each ministry involved and the local governments where each island is located. Based o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seek a consistent form of resource aggregation and management through discussions with the local govern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tourism resource management.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기술형 입찰사업의 유찰 원인 분석과 활성화 방안 = Analyzing the causes of bidding failures in technology-type bidding projects and plans for stimulation 이치주 p. 3-21

섬 관광자원의 분류체계 정립 및 분포 현황 분석 연구 = Classification system and distribution analysis of Korean island tourism resources 김도은, 김용진, 오영석, 손용훈 p. 23-42

접경지역 공간구조 예측에 따른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 타당성 평가 = Evaluation of the ‘comprehensive plan for the development of border areas’ based on the prediction of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border area 신혜원, 김철민, 고경택, 김영석 p. 43-58

지역사회 계속거주(Aging in Place)에 대한 고령자의 인식과 결정요인 = Aging in place of elderly : perception, needs and determinants 정소양, 김현중 p. 59-77

통화정책의 주택가격에 대한 시간가변 변동 기여도 분석 = A time-varying contribution analysis of monetary policy on fluctuations in housing prices 이태리, 박진백 p. 79-97

주택임차보증금 반환 지연 및 미반환 발생 구조 이해 = Understanding the structure behind delays and non-refunds of housing lease deposits in Korea : 보증금 반환 재원과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윤성진, 이슬 p. 99-117

서울시 폭우 회복력 지수의 공간분포 분석 =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of climate resilience index in heavy rainfall : the case of Seoul 백영선, 김관수, 안동환 p. 119-138

도시환경이 인구집단별 자살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urban environment on suicide rates by population group comparing between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and elderly population : 경제활동가능인구와 노인인구의 비교 이진희, 김동준, 구지영, 백희은 p. 139-161

노후주택 신축은 소형 민간임대주택 임대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How does the replacement of old housing affect the rent level of small-sized private rental housing? : analysis of the case in Seodaemun-gu, Seoul : 서대문구 사례 실증분석 홍정훈, 김수현 p. 163-179

참고문헌 (4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공공데이터 포털. https://www.data.go.kr/data/15021141/standard.do (2023년 8월 19일 검색). Public Data Portal. https://www.data.go.kr/data/15021141/standard.do (accessed August 19, 2023). 미소장
2 구호, 김농오. 2009. 신안군 생태관광자원을 활용한 에코투어리즘 적지분석. 관광연구저널 23권, 1호: 267-278. Koo Ho and Kim Nong Oh. 2009. A Study on the Suitability Analysis for Sinangun Eco-Tourism Area.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3, no.1:267-278. 미소장
3 국가공간정보포털. nsdi.go.kr (2023년 8월 14일 검색). Korea National Spatial Data Information Portal, https://www.nsdi.go.kr (accessed August 14, 2023). 미소장
4 국립해양조사원. 개방海 POI. http://www.khoa.go.kr/oce anmap/main.do (2023년 8월 19일 검색)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Open Sea POI. http://www.khoa.go.kr/oceanmap/main.do (accessed August 19, 2023). 미소장
5 국민일보 2019. 4개 부처 손 잡고 섬 관광 활성화 - 문체부·행안부·국토부·해수부, ‘섬 관광 활성화 협약’ 체결, 2월 19일. Kukmin Ilbo. 2019. Four Ministries Join Hands to Revitalize Island Tourism -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Ministry of Interior and Safety,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Sign ‘Island Tourism Revitalization Agreement.’ February 19. 미소장
6 김병문. 1984. 지역개발로서 관광개발 특성화에 관한 연구-강원도의 경우. 국토지리학회지 9권: 277-304. Kim, Byung-Moon. 1984.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ourist resorts in Kangwon Province.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9: 277-304. 미소장
7 김영준. 2011. 섬 관광의 동향과 지속가능한 발전 전략. 월간국토 358호, 34-39. 안양: 국토연구원. Kim, Young-Jun. 2011. Trends in island tourism and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ies. Planning and Policy no.358, 34-39. Anyang: KRIHS. 미소장
8 김영준. 2012. 섬관광의 현재와 미래 발전 전략. 경남발전121호: 6-13. Kim, Young-Jun. 2012. Current and future development strategies for island tourism. Gyeongnam Development no.121: 6-13. 미소장
9 김용진, 양우진, 이효정, 최경, 김도은, 이성희, 이주경. 2023. 국내 섬 관광자원의 향유 형태분석 연구: 수요자 인식을 중심으로. 목포: 한국섬진흥원. Kim, Yong-Jin, Yang, Woo-Jin, Lee, Hyo-Jung, Choi, Kyung, Kim, Do-Eun, Lee, Seong-Hee, and Lee, Joo-Kyung. 2023. A Study on the Utilization Patterns of Tourist Resources on Korean Islands - Focusing on Visitor Perceptions. Mokpo: Korea Island Development Institute. 미소장
10 김윤호, 임재훈, 강찬영, 편유진. 2022. 섬 지원 정책 현황분석. 목포: 한국섬진흥원. Kim, Yun-Ho, Lim, Jae-Hoon, Kang, Chan-Young and Pyeon, Yoo-Jin. 2022. Analysis on the Current State of Public Support Policies for Korean Islands. Mokpo:Korea Island Development Institute. 미소장
11 김윤호, 최경. 2023. 제4차 섬종합발전계획 변경계획 수립을위한 연구. 목포: 한국섬진흥원. Kim, Yun-Ho and Choi, Kyung. 2023. A Preliminary Study on Making the Revised Forth Development Plan for National Islands. Mokpo: Korea Island Development Institute. 미소장
12 김준. 2008. 섬관광 실태와 활성화 방안연구: 전남 도서·연안지역을 중심으로. 도서문화 32호: 3-40. Kim, Jun. 2008. A study on the reality of island tourism and how to invigorate it: with the focus on islands and costal areas in South Jeolla. Journal of the Island Culture no.32: 3-40. 미소장
13 김준. 2016. 섬 자원 이용형태와 지속가능한 섬발전 전략. 나주: 광주전남연구원. Kim, Jun. 2016. Type in Use of Island Resources and Sustainable Island Development Strategies for Islands. Naju: Gwangju-Jeonnam Research Institute. 미소장
14 김철원. 1999. 전국관광자원 기초자료조사를 위한 조사표작성 및 활용방안. 서울: 한국관광연구원. Kim, Chul-Won. 1999. A Study on Designing the Survey Format for Investigating a Basic Data of Nationwide Tourism Resources and Its Utilization. Seoul: Korea Tourism Institute. 미소장
15 김향자, 김성민, 이아정. 2013. 섬 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Kim, Hyang-Ja, Kim, Seong-Min, and Lee, Ah-Jung. 2013. Effective Policy Measures for Revitalization of Island Tourism. Seoul: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미소장
16 김향자. 2020. 섬 관광정책 진단 및 과제.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Kim, Hyang-Ja. 2020. Diagnosis and Tasks of Island Tourism Policy. Seoul: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미소장
17 남도여행길잡이. https://www.namdokorea.com/ (2022년 8월 31일 검색). Namdo Travel Guide. https://www.namdokorea.com/(Accessed August 31, 2022). 미소장
18 도지윤. 2022. 빅데이터를 활용한 섬 경관 특성 분석에 관한연구: 전라남·북도의 섬을 대상으로.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Do Jee Yoon. 2022. A Study on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the Island Using Big Data: An Island in Jeollanam-do and Jeollabuk-do. Ph.D. diss., Kyung Hee University Graduate School. 미소장
19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 2024. 법률제20309호(2월 13일 타법개정). 제2조(정의). Special Act on the Conservation of Ecosystems in Island Areas Including Dokdo. 2024. Law No. 20309 (Amended February 13). Article 2 (Definition). 미소장
20 무인도서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 2024. 법률 제20194호(2월 6일 타법개정). 제2조(정의). Act on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Uninhabited Islands. 2024. Law No. 20194 (Amended February 6). Article 2 (Definition). 미소장
21 문화재보호법 제25조(사적, 명승, 천연기념물의 지정). 2020. 문화재청예규 제227호(12월 10일 일부개정). 제2조(정의).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Article 25 (Designation of Historic Sites, Scenic Spots, and Natural Monuments). 2020.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rdinance No. 227 (Partially Amended December 10). Article 2 (Definition). 미소장
22 비짓제주: 제주도 공식 관광정보 포털. https://visitjeju.net /kr (2023년 9월 7일 검색). Visit Jeju: Official Tourism Information Portal of Jeju Island. https://visitjeju.net/kr (Accessed September 7, 2023). 미소장
23 섬 발전 촉진법 제4조(개발대상섬의 지정). 2023. 법률 제19025호(11월 15일 일부개정). 제2조. Island Development Promotion Act Article 4 (Designation of Islands for Development). 2023. Law No. 19025(Partially Amended November 15). Article 2. 미소장
24 송재호, 이성은. 2005 그린 투어리즘 프로그램 개발 평가를위한 구조모델 구축과 적용. 관광연구저널 19권, 1호: 81-97. Jae Ho Song, and Sung Eun Lee. 2005. Structural Model Building and Its Application for the Development/Evaluation of Green Tourism Programs.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19, no.1:81-97. 미소장
25 심진범, 김지선. 2015. 개항창조도시 융합관광 육성의 의미와과제. 도시연구 9호: 31-63. Shim, Jin-Beom and Kim, Ji-Sun. 2015. The Meaning and Tasks of Promoting Convergent Tourism in Open Port Creative Cities. Korean Journal of Urban Studies no.9: 31-63. 미소장
26 이순자, 이동우, 박태선, 박경현 장은교. 2015. 국토문화자원을 활용한 지역발전전략 연구. 안양: 국토연구원. Lee, Soon-Ja, Lee, Dong-Woo, Park, Tae-Sun, Park, Kyung-Hyun, and Jang, Eun-Gyo. 2015. Making the Effective Use of Cultural Resources for Regional Development: Critical Factors, Verification and Policy Implications. Anyang: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미소장
27 이순자, 장철순, 박경현, 장은교. 2012. 국토품격과 삶의질 제고를 위한 섬자원 활용방안 연구. 안양: 국토연구원. Lee, Soon-Ja, Jang Chulsun, Park Kyung-Hyun and Jang Eun-Gyo. 2012.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Island Resources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and National Dignity. Anyang: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미소장
28 이정철, 신강현, 박재완. 2017. 해양관광자원 분류체계에관한 탐색적 연구. 해양관광연구 10권, 1호: 9-21. Lee, Jung-Cheol, Shin, Kang-Hyun, and Park, Jae-Wan. 2017.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Marine Tourism Resources. Journal of Marine Tourism Research 10, no.1: 9-21. 미소장
29 임화순, 박종준. 2013. 관광자원 분포에 기반한 관광권역설정 및 발전전략: 제주지역을 대상으로. 관광레저연구 25권, 4호: 377-394. Im, Hwa-Soon and Park, Jong-Jun. 2013. Developmental strategy and tourism zoning based on tourism resources: A case study of Jeju Region.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25, no.4:377-394. 미소장
30 국토지리정보원. 전국 연속수치지형도 해안선 데이터. https://www.ngii.go.kr (2022년 8월 31일 검색). Nationwide Digital Topographic Map Coastal Data,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https://www. ngii.go.kr (accessed August 31, 2022). 미소장
31 지역n문화. 지역문화지도._한국문화원연합회. https://www. nculture.org/map/cultureMap.do (2023년 12월 1일 검색). Local Culture Map, Federation of Korean Cultural Centers. https://www.nculture.org/map/cultureMap.do (accessed December 1, 2023). 미소장
32 진영재. 2020. 섬관광연구 분석을 통한 섬관광자원 개발전략탐색: 관광체계 관점 분석과 적용. 해양관광학연구 13권, 1호: 95-112. Jin Young-Jae. 2020. Searching for Development Strategy of Island Tourism: Resources by Analysis on Trends of Island tourism Research. Journal of Marine Tourism Research 13, no.1: 95-112. 미소장
33 한국관광공사. 전국 야영장 등록 현황. https://www.data.g o.kr/data/15037499/fileData.do (2022년 8월 25일 검색). Korea Tourism Organization, Nationwide Campground Registration Status. https://www.data.go.kr/data/15037499/fileData.do (accessed August 25, 2022). 미소장
34 한국관광공사. 1987. 문화유산과 관광자원. 서울: 한국관광공사. Korea Tourism Organization. 1987. Cultural Heritage and Tourism Resources. Seoul: Korea Tourism Organization. Seoul: Korea Tourism Organization. 미소장
35 한국관광공사_비대면 안심관광지 목록. https://www.data. go.kr/data/15105715/fileData.do (2022년 9월 5일 검색). Korea Tourism Organization, Non-Contact Safe Tourist Sites List. https://www.data.go.kr/data/15105715/file Data.do (accessed September 5, 2022). 미소장
36 한국관광공사_생태 관광 정보_GW. https://www.data.go. kr/data/15101908/openapi.do (2023년 1월 10일 검색). Korea Tourism Organization, Ecotourism Information _GW. https://www.data.go.kr/data/15101908/opena pi.do (accessed January 10, 2023). 미소장
37 한국관광공사_열린관광지목록. https://www.data.go.kr/data/15105717/fileData.do (2022년 8월 29일 검색). Korea Tourism Organization, Open Tourist Sites List, Public Data Portal. https://www.data.go.kr/data/15105717/fileData.do (accessed August 29, 2022). 미소장
38 한국관광공사 2021. 무장애 열린관광을 위한 서비스응대매뉴얼. https://access.visitkorea.or.kr/main/infoAltrc rtDetail.do?bbsNo=76 (2022년 8월 25일 검색).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21. Service Response Manual for Barrier-Free Open Tourism. https://access. visitkorea.or.kr/main/infoAltrcrtDetail.do?bbsNo=76(accessed August 25, 2022). 미소장
39 한국관광데이터랩. https://datalab.visitkorea.or.kr/dat alab (2022년 8월~2023년 7월 검색). Korea Tourism Data Lab. https://datalab.visitkorea.or. kr/datalab (accessed between August 2022 and July 2023). 미소장
40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9. KMI 국민 섬 인식조사 결과. KMI 동향분석 128호: 1-14. Korea Maritime Institute. 2019. KMI National Perception Survey Results on Islands. KMI Trend Analysis 128:1-14. 미소장
41 해양수산부. 2020. 제2차 무인도서 종합관리계획. 세종:해양수산부.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20. 2nd Comprehensive Management Plan for Uninhabited Islands. Sejong: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미소장
42 행정안전부. 2009. 도서지역의 고유자원을 활용한 도서지역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행정안전부.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09.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Island Areas Utilizing Indigenous Resources. Anyang: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미소장
43 환경부. 2014. 제2차 특정도서 보전 기본계획(2015~2024). 세종: 환경부. Ministry of Environment. 2014. 2nd Basic Conservation Plan for Designated Islands (2015-2024). Sejong:Ministry of Environment. 미소장
44 Butler, R. W. 2002. Tourism Development in Small Islands: past influences and future directions: In the development process in small island states. United Kingdom: Routledge. 미소장
45 Gunn, C. 1978. Needed: an international alliance for tourism-recreation-conservation. Travel Research Journal no.2: 3-10. 미소장
46 Pearce, P. L. 1982. Perceived changes in holiday destinations. Annals of Tourism Research 9, no.2:145-164.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