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논문의 목적은 접경지역 15개 시군을 대상으로 정주인구 및 유동인구 예측과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에서 제시된 개발사업의 성격을 시군을 중심으로 중첩 분석하여 접경지역 개발사업을 평가하고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 공간 마코브 체인을 통해 읍면동 단위로 정주/인구 예측하고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의 사업 특성을 정주인구 및 유동인구 유치사업으로 분류하여 이를 중첩 분석하였다. 인구예측과 개발사업의 현황을 중첩 분석한 결과, 유동인구 유치사업을 강조하고 있는 고성군, 양구군, 춘천시, 연천군, 강화군의 경우 유동인구의 예측 결과가 긍정적으로 나타나 개발사업의 방향성이 적합한 것으로 보이나 정주인구의 확보가 유리한 인제군도 유동인구를 강조하고 있어 개발사업의 효율성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 할 수 있다. 정주인구 및 유동인구의 예측이 부정적인 철원군, 옹진군, 화천군을 살펴보면, 철원군은 유동인구사업을 강조하고 있어 개발사업의 효율성을 확보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으며, 옹진군, 화천군은 개발사업 추진의 의지 또한 약하게 나타나 공공적 성격이 강한 국가사업의 추진이 필요하다. 정주인구나 유동인구 확보가 유리한 파주시와 포천시는 각각 유동인구 유치사업, 정주인구 유치사업에 집중하고 있다. 파주시는 고양시, 김포시와 연계한 (관광/비관광)산업권의 형성이 효율적일 것으로 보이며, 포천시가 강조하고 있는 정주인구 확보사업의 경우 양주-의정부시와 접해있는 소흘읍, 내촌면을 중심으로 추진한다면 사업의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development projects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the border regions of South Korea by analyzing the predicted resident/floating population and reclassifying development projects proposed in the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for Border Areas" across 15 cities and counties. As a result, regions such as Goseong-gun, Yanggu-gun, Chuncheon-si, Yeoncheon-si, and Ganghwa-gun showed positive predictions for floating population, indicating tha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projects is appropriate. However, Inje-gun, which is favorable for securing a settled population, is also emphasizing floating population, suggesting a high possibility of reduced efficiency in development projects. The negative predictions for both settled and floating populations in Cheolwon-gun, Ongjin-gun, and Hwacheon-gun suggest that these regions may face difficulties in securing efficiency for their development projects. This is because these regions have a relatively weaker willingness to prioritize floating population when pursuing development projects. Paju-si and Pocheon-si, which are favorable for securing both settled and floating populations, are focusing on projects to attract permanent and floating populations, respectively. In the case of Paju-si, it appears that establishing tourism and non-tourism industrial complexes in connection with Goyang-si and Gimpo-si would be an effective strategy. For Pocheon-si, it seems that pursuing projects to secure settled population would be more effective if centered around Sohol-eup and Naechon-myeon, which are located on the border with Yangju-si and Uijeongbu-si.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기술형 입찰사업의 유찰 원인 분석과 활성화 방안 = Analyzing the causes of bidding failures in technology-type bidding projects and plans for stimulation 이치주 p. 3-21

섬 관광자원의 분류체계 정립 및 분포 현황 분석 연구 = Classification system and distribution analysis of Korean island tourism resources 김도은, 김용진, 오영석, 손용훈 p. 23-42

접경지역 공간구조 예측에 따른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 타당성 평가 = Evaluation of the ‘comprehensive plan for the development of border areas’ based on the prediction of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border area 신혜원, 김철민, 고경택, 김영석 p. 43-58

지역사회 계속거주(Aging in Place)에 대한 고령자의 인식과 결정요인 = Aging in place of elderly : perception, needs and determinants 정소양, 김현중 p. 59-77

통화정책의 주택가격에 대한 시간가변 변동 기여도 분석 = A time-varying contribution analysis of monetary policy on fluctuations in housing prices 이태리, 박진백 p. 79-97

주택임차보증금 반환 지연 및 미반환 발생 구조 이해 = Understanding the structure behind delays and non-refunds of housing lease deposits in Korea : 보증금 반환 재원과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윤성진, 이슬 p. 99-117

서울시 폭우 회복력 지수의 공간분포 분석 =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of climate resilience index in heavy rainfall : the case of Seoul 백영선, 김관수, 안동환 p. 119-138

도시환경이 인구집단별 자살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urban environment on suicide rates by population group comparing between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and elderly population : 경제활동가능인구와 노인인구의 비교 이진희, 김동준, 구지영, 백희은 p. 139-161

노후주택 신축은 소형 민간임대주택 임대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How does the replacement of old housing affect the rent level of small-sized private rental housing? : analysis of the case in Seodaemun-gu, Seoul : 서대문구 사례 실증분석 홍정훈, 김수현 p. 163-179

참고문헌 (2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민조, 임용호, 강호제, 김종진, 유현아, 최용환. 2018. 경기북부 접경지역의 균형개발을 위한 종합 발전구상과 실천방안연구Ⅰ. 세종: 국토연구원. Kang Min Jo, Lim Young Ho, Kang Ho Jae, Kim Jong Jin, Yu Hyun A, Choi Young Whan. 2018. A Study on the Comprehensive Strategies and Practical Application for Balanced Development in the Border Areas of Northern Gyeonggi Province. Anyang: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미소장
2 김기준. 2023. 접경지 발전계획 ‘포기’ 절반 이상이 ‘신규’ 사업. 인천일보. 7월 30일. https://www.inche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205020 (2024년 6월 25일 검색). Kim Ki-jun. 2023. More than half of the ‘abandoned’border area development plans are ‘new’ projects, July 30. Incheon Ilbo. https://www.incheonilbo.com/news/arti cleView.html?idxno=1205020 (accessed June 25, 2024). 미소장
3 김상빈, 이원호, 이현주, 박삼옥. 2003. 접경지역연구의 이론적고찰. 대한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9-24. Kim, Sang-bin, Won-ho Lee, Hyun-joo Lee, and Sam-ock Park. 2003. Theoretical Review of Border Region Studies.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Conference, 19-24. 미소장
4 김의준. 신혜원, 2014. 공간마코브체인을 이용한 서울시 창조산업의 집적변화 분석. 서울도시연구 15권, 3호: 147-164. Shin Hyewon, Kim Euijune. 2014. Analysis of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Creative industries in Seoul Using Spatial Markov Chain. Seoul Studies 15, no.3: 147-164. 미소장
5 김재한. 2016. 접경지역의 발전/낙후 현황. 한국지방정치학회보 6권, 1호: 55-101. Kim, Chae-Han. 2016. Socioeconomic and Legal Status of the Korean Border Area. The Korean Regional Politics Review 6, no.1: 55-101. 미소장
6 민성희, 김선희, 이순자, 김동근, 차은혜, 최성연, 송정현. 2018. 저성장시대에 대응한 도시·지역계획 수립의 합리화 방안 연구. 세종: 국토연구원. Min Sunghee, Kim Sunhee , Lee Soonja, Kim Donggeun, Cha Eunhye, Choi Sungyeon, Song Junghyun. 2018.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Urban and Regional Planning in the Age of Low Growth. Sejong: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미소장
7 안전행정부. 2011.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 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istration. 2011.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for Border Area. 미소장
8 안홍기, 서태성, 박경현. 2014. 지역개발사업의 과다수요추정원인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안양: 국토연구원. Ahn, Honggi, Seo Tase Sung, Park Kyoung Hyun. 2014. A study on the Causes of Excess demand prediction and its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Anyang: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미소장
9 양철. 2022. 접경지역 지원 법·제도 개선방안. 춘천: 강원연구원. Yang, Cheol. 2022. Improvement Measures for Border Area Support Laws and Systems. Chuncheon: Kangwon Institute. 미소장
10 이소영, 김민영, 강현정. 2022. 접경지역 특화발전방안 연구. 원주: 한국지방행정연구원. Lee So-young, Kim Min-young, Kang Hyun-jung. 2022. Study on Specialized Development Strategies for Border Areas. Wonju: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Local Administration 미소장
11 이소현, 송창현, 임업. 2018. 수도권 지역 직종 숙련의 시공간분포 변화: 공간 마르코프 체인 모형을 이용하여. 국토연구99권: 131-150. Lee Sohyun, Song Changhyun, Lim Up. 2018. Sptio-Temporal Distribution of Occupational Skills in the Capital Region, Korea: A Spatial Markov Chain Approach.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99: 131-150. 미소장
12 접경지역 지원 특별법. 2011. 법률 제10653호(5. 19., 전부개정). 제2조 1호. Special Act on Support for Border Area. 2011. Act No. 10653. art.2, clau.1. 미소장
13 행정안전부. 인구감소지역 지정. https://www.mois.go.kr /frt/sub/a06/b06/populationDecline/screen.do (2024년 3월 5일 검색).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Designation of Population Declining Areas. https://www.mois.go.kr/frt/sub/a06/b06/populationDecline/screen.do (accessed March 5, 2024). 미소장
14 허훈. 2007. 한국 접경지역의 성격과 접경지역정책의 변화방향:경기도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현대사회와 행정 17권, 3호: 127-150. Hur, Hoon. 2007. The Character and Cooperation Policy of Border Area in Korea: Focused on the Northern Part of Gyeonggi Province. Moder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17, no.3: 127-150. 미소장
15 Bosker, M. 2009. The spatial evolution of regional GDP disparities in the ‘old’ and the ‘new’ Europe. Papers in Regional Science 88, no.1: 3-27. 미소장
16 Fingleton, B. 1997. Specification and testing of Markov chain models: An application to convergence in the European. Union. Oxford Bulletin of Economics and Statistics 59: 385-403. 미소장
17 Fingleton, B. 1999. Spurious spatial regression: Some Monte Carlo results with a spatial unit root and spatial cointegration. Journal of Regional Science 39: 1-19. 미소장
18 Hammond, G. W. 2004. Metropolitan/non-metropolitan divergence: a spatial Markov chains approach. Regional Science 83, no.3: 543–563. 미소장
19 Holsti, O. 1969. Content Analysis for the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Boston: Addison-Wesley. 미소장
20 Le Gallo, J. 2004. Space-Time Analysis of GDP Disparities among European Regions: A Markov Chains Approach. International Regional Science Review 27, no.2: 138-163. 미소장
21 Le Gallo, J. and Chasco, C. 2008. Spatial analysis of urban growth in Spain, 1900–2001. Empirical Economics 34: 59–80. 미소장
22 Mossi, M., Aroca, P., Fernandez, I. and Azzoni, C. 2003. Growth dynamics and space in Brazil. International Regional Science Review 26, no3.: 393–418. 미소장
23 Quah, D. 1993. Galton’s Fallacy and Tests of the Convergence Hypothesis. Scandinavian Journal of Economics 95, no.4: 427-443. 미소장
24 Rey, S. 2001. Spatial empirics for economic growth and convergence. Geographical Analysis 33, no.3:195-214. 미소장
25 Schettini, D., Azzoni, C. and Paez. A. 2011. Neighborhood and efficiency in manufacturing in Brazilian regions:A spatial Markov chain analysis. International Regional Science Review 34, no.4: 397–418. 미소장
26 한국관광 데이터랩. https://datalab.visitkorea.or.kr/datal ab/portal/main/getMainForm.do (2024년 1월 25일 검색). Visit Korea. https://datalab.visitkorea.or.kr/datalab/po rtal/main/getMainForm.do (accessed January 25, 2024).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