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논문의 목적은 인구집단별 자살 현황을 면밀히 검토ㆍ비교하고, 인구집단별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환경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기존 연구와 달리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의 물리적, 사회경제적, 서비스 환경요인을 경제활동가능인구와 노인인구집단으로 나누어 파악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경제활가능인구와 노인인구의 자살사망 현황에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두 인구집단이 자살에 이르게 되는 주요 원인과 인구학적 특성 등에 따라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환경요인 역시 다른 양상을 보였다. 경제활동가능인구의 경우 경제적 문제가 자살의 가장 주요한 원인인 만큼, 사회경제적 환경이 자살에 미치는 영향이 큰 반면, 노인인구의 경우 신체적 역량 약화로 인하여 거주지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은 관계로 근린환경 등 물리적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살대응을 위한 정책이 보건 및 의료에만 한정되지 않고 도시환경 개선 등 보다 다양한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인구집단별 자살양상이 다르기 때문에 차별화된 정책이 요구됨을 알려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closely examine and compare the current status of suicide by population groups but to identify urban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suicide by population groups. To this end, the physical, socioeconomic and service environmental factors of cities that affect suicide are figured out by economically active and elderly population groups. As a resul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current status of suicide deaths between two population groups, and the urban environmental factors that influence suicide also show different patterns depending on the main cause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wo population groups leading to suicide. In terms of suicide of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economic problems are the most important cause of suicide, so socioeconomic environments have a great impact on suicide, while the elderly population is greatly affected by physical environments such as deprived neighborhood environments due to the fact that they spend a lot of time in their residence due to the weakening of their physical capabilities. These results are interpreted that policies for responding to suicide are not limited to health and medical care, but require more diverse approaches such as improving urban environments. It also informs that differentiated policies are required because the suicide patterns of each population group are different.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기술형 입찰사업의 유찰 원인 분석과 활성화 방안 = Analyzing the causes of bidding failures in technology-type bidding projects and plans for stimulation 이치주 p. 3-21

섬 관광자원의 분류체계 정립 및 분포 현황 분석 연구 = Classification system and distribution analysis of Korean island tourism resources 김도은, 김용진, 오영석, 손용훈 p. 23-42

접경지역 공간구조 예측에 따른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 타당성 평가 = Evaluation of the ‘comprehensive plan for the development of border areas’ based on the prediction of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border area 신혜원, 김철민, 고경택, 김영석 p. 43-58

지역사회 계속거주(Aging in Place)에 대한 고령자의 인식과 결정요인 = Aging in place of elderly : perception, needs and determinants 정소양, 김현중 p. 59-77

통화정책의 주택가격에 대한 시간가변 변동 기여도 분석 = A time-varying contribution analysis of monetary policy on fluctuations in housing prices 이태리, 박진백 p. 79-97

주택임차보증금 반환 지연 및 미반환 발생 구조 이해 = Understanding the structure behind delays and non-refunds of housing lease deposits in Korea : 보증금 반환 재원과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윤성진, 이슬 p. 99-117

서울시 폭우 회복력 지수의 공간분포 분석 =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of climate resilience index in heavy rainfall : the case of Seoul 백영선, 김관수, 안동환 p. 119-138

도시환경이 인구집단별 자살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urban environment on suicide rates by population group comparing between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and elderly population : 경제활동가능인구와 노인인구의 비교 이진희, 김동준, 구지영, 백희은 p. 139-161

노후주택 신축은 소형 민간임대주택 임대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How does the replacement of old housing affect the rent level of small-sized private rental housing? : analysis of the case in Seodaemun-gu, Seoul : 서대문구 사례 실증분석 홍정훈, 김수현 p. 163-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