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1960-1970년대에 한국의 성경구락부 운동은 교회학교 운동에서 지역사회학교 운동으로 전환되는 양상을 보인다. 본 연구는 세 가지 점에 중점을 두었다. 첫째, 1960-1970년대 한국사회의 변화와 성경구락부 운동의 변화 양상들을 살펴보았다. 둘째, 성경구락부를 지역사회별로 구분하여 성경구락부의 교육내용을 고찰하였다. 끝으로 이 시기 지역사회에 끼친 성경구락부 교육의 기여를 살펴보았다.

이 시기 성경구락부는 지역사회의 변천에 따라 하나의 교회를 중심으로 학교가 세워졌다. 교회와 성경구락부는 지역을 기반으로 하여 구락부-학교-지역-교회가 일체가 되는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구락부 학교는 지역사회가 필요로 하는 공민적 시민양성을 목적으로 하였다. 농(어)촌지역 성경구락부, 산업 및 공단지역 성경구락부, 특수사회 성경구락부의 사례들은 지역사회의 개발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지역사회학교 운동으로 전개되었음을 알 수 있다.

In the 1960s and 1970s, the Bible Club movement in Korea shifted from church school activities to community school activities. This study emphasizes three main points: first, it examines the changes in Korean society and the corresponding changes in the Bible Club movement during the 1960s and 1970s. Second, it analyzes the educational contents of Bible Clubs by categorizing them according to different communities. Finally, it investigates the contributions of Bible Club education to the communities during this period.

During this period, Bible Club schools were established around central churches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local communities. The church and the Bible Club are based in the local area, forming a structure where the Bible Club, school, community, and church are integrated into one entity. The goal of these Bible Club schools was to cultivate civic-minded citizens needed by the community. Examples of Bible Club schools in rural areas, industrial and factory regions, and special social contexts show that they were closely connected to community development and evolved into community school movement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강원돈의 기독교 경제윤리의 유형과 방법론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types and methodologies of Kang Won Don’s Christian economic ethics 최경석 p. 89-118

‘대조경험’으로서의 예수 = Christ as the contrast experience : where spirituality for social transformation begins : 실천영성의 원천 권영파 p. 121-148

아감벤의 ‘생명정치론’의 현대 생태신학적 함의 연구 = A study on the modern eco-theological implications of Agamben’s ‘bioPolitics’ 김석 p. 149-184

주권 국가의 ‘이주민 환대’의 어려운 가능성에 대한 기독교 정치윤리학적 연구 = A Christian political ethical study on the difficult possibility of ‘hospitality towards migrants’ in sovereign states : focusing on the ‘hostility’ and ‘indifference’ of Korean conservative Protestantism : 한국 보수개신교의 ‘적대’와 ‘무관심’을 중심으로 김혜령 p. 185-240

교육목회를 위한 에듀테크 활용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EduTech for educational ministry 이성아, 남선우 p. 241-267

1960-1970년대 한국의 성경구락부 운동 = The Bible Club movement in Korea in the 1960’s and 1970’s : from the church school movement to the community school movement : 교회학교 운동에서 지역사회학교 운동으로 마은지 p. 269-307

평화로 나아가는 기독교윤리 = Christian ethics toward peace-building : the ethics of love addressed in House of Hummingbirds and Decision to Leave : 영화 <벌새>와 <헤어질 결심>의 대화를 중심으로 박혜인 p. 309-344

MZ세대의 통일의식과 한반도 ‘두 국가론’의 암묵적 지지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비판 = Christian ethical criticism of the MZ generation’s sense of reunification and of their implicit support of the Korean Peninsula’s “two-state theory“ 이봉석 p. 345-376

Do humans and animals innately possess morality, and are animals capable of moral actions like humans? = 인간과 동물은 선천적으로 선하고 동물도 인간처럼 도덕적 행동을 할 수 있는가? : 마테오 리치와 주희 비교 : a comparison of Matteo Ricci and Zhu Xi Yi Jongwoo p. 377-397

「靑年」(1921-1940)에 나타난 반전(反戰)·평화·비상시국 담론 및 기독교윤리적 해석 = Discourses of anti-war, peace, and emergency in YMCA’s journal “The Young Man”(1921-1940) and Christian ethical interpretations 이장형, 안수강 p. 399-428

글로벌재난 시대 속 기독교의 샬롬 비전과 교회의 과제 = A study on the Shalom-vision and the tasks of the Christianity in the era of global disasters 조용훈 p. 429-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