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나주 송제리에 위치한 백제시대 고분군 중 1호분의 석실 내부에 사용된 마감재의 광물학적, 화학적, 물리적 분석을 수행하여 재료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마감재는 백색의 덩어리 형태에 패각으로 추정되는 편이 혼합된 상태로 석실 내부 벽석의 표면과 틈 사이에 남아있었다. 분석결과, 마감재의 주요 구성광물로 방해석이 검출되었고, 탄산칼슘에서 기인하는 적외선분광스펙트럼, 700-800℃ 구간에서 일어난 탈탄산화 열적 반응, 높은 함량의 칼슘 성분과 작열감량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마감재의 주요 재료는 회로 판단되며 모래나 자갈과 같은 골재가 확인되지 않아 회반죽으로 파악된다. 회반죽에 혼합되어 있던 패각은 짙은 남색 혹은 회백색을 띄며 원형은 남아있지 않다. 표면은 적층식으로 쌓여진 층상 형태로 미세조직 관찰을 통해 기둥형의 각주층과 일정한 방향성을 가진 진주층이 확인되어 이매패류로 추정된다. 또한 X-ray 촬영으로 패각의 표면과 내부에서 천공성 해양생물에 의한 구멍과 통로를 확인하였으며, 방사성 탄소 연대측정 결과 고분의 축조 연대와 부합하였다.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나주 송제리 고분군 1호분에 사용된 마감재는 회반죽과 패각을 혼합하여 활용하였으며 회는 혼합되어 있던 패각을 원재료로 제조한 것으로 추정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영산강유역 삼국시대 목조우물에 대한 검토 = An analysis of wooden well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Yeongsan River basin 최미숙 p. 6-22

딥러닝을 활용한 고대 수막새 이미지 분류 검토 = Application of deep learning for classification of ancient Korean roof-end tile images 김영현 p. 24-35

『규합총서』「봉임측」에 나타난 조선후기 사대부 여성의 향문화(香文化)와 인식 = Noble women’s culture and perception of incense and herbs in the late Joseon Dynasty based on 『Gyuhap Chongseo』, 「BongimCheok」 하수민 p. 38-54

나주 송제리 고분군 1호분에 사용된 마감재의 재료적 특성 = Characteristics of finishing materials used in tomb No.1 of the Songje-ri, in Naju 김은경, 강소영 p. 56-67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 석재의 암석학적 분류와 산지해석 = Petrological classification and provenance interpretation for the stone properties of Three-Story Stone pagoda in Beomhak-ri, Sancheong, Korea 이찬희, 강산하, 조영훈 p. 70-88

19세기 중반 시지(試紙)의 가공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he processing of Siji(試紙) in the mid-19th century : focusing on Lee Mangi’s Sigwon(試卷) : 이만기(李晩耆) 시권(試卷)을 중심으로 전지연, 오준석 p. 90-101

한중영문중국판 한국애국가 악보의 분석 및 보존 = Analysis and conservation of sheet music featuring the National Anthem of Korea with lyrics in Korean, Chinese, and English : focusing on light blue pigment analy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 밝은 청색안료 분석과 보존처리를 중심으로 배수빈, 박세린, 이한형, 정희원 p. 104-114

수구(水口)를 중심으로 분석한 중국 소주고전원림(蘇州古典園林)의 수경관 연출기법 = A study on the waterscape formation techniques of China’s Suzhou Classical Garden based on the water inlet and outlet 노재현, 려원 p. 116-137

국가유산 정보 관리 활성화를 위한 광역자치단체 조례의 개선 방향 연구 = A study on how to improve local government ordinances to promote Korean heritage information management : focusing on the relation aspect of Korean heritage laws and ordinances : 국가유산 관련 법과 조례의 관계적 성격을 중심으로 강보배, 주상훈 p. 140-160

최근 갈등과 관련된 기억유산의 등재 준비를 위한 지침원칙의 의의와 한계 =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the guiding principles for the preparation of nominations concerning sites of memory associated with recent conflicts 허수진 p. 162-182

일기를 통해 본 귀농·귀촌인 ‘일상 경관’ 인식 = Analysis of urban-to-rural migrants’ perceptions of the ‘everyday landscape’ using diary-based text mining : 텍스트 마이닝 적용 오정심 p. 184-199

세계유산 사례를 통해 본 전쟁 유산의 의미 해석 = Interpreting the meaning of war heritage through World Heritage case studies 이제이, 성종상 p. 202-222